당뇨병의 급성/만성 합병증
- 01_의학 상식/013_내분비대사
- 2018.11.20 13:57
당뇨병의 급성/만성 합병증
당뇨병 합병증의 분류
1. 급성합병증
- HHS/DKA
- Hypoglycemia
2. 만성합병증
- 미세혈관합병증
- 대혈관합병증
HHS/DKA
DKA 와 HHS 의 진단
Pathogenesis of DKA/HHS
DKA 의 초기치료
HHS 의 초기 치료
* Ketogenesis related to SGLT2 inhibition
* Risk factors for SGLT2 inhibitor-associated DKA
1. Low carbohydrate diet or starvation
2. Low insulin secretory function
3. Previous Surgery
4. Discontinuation of insulin or insulin secretogogue
5. Alcohol abuse
* Ketosis-Prone Type 2 Diabetes
Obese :
- DM 의 Strong familty history
- autoimmune marker 는 low prevalence
- Africans and African-Americans
진단 당시 인슐린의 분비와 작용이 떨어져 있다.
적극적으로 당뇨를 치료하면 beta cell 기능과 insulin sensitivity 가 의미있게 호전된다. 따라서 몇 개월 내로 insulin 치료를 중단할 수도 있다.
Hypoglycemia
저혈당 방어 기전
1. Insulin 의 분비 감소
2. Glucagon 분비의 증가
3. Epinephrine 분비 증가
4. Sympathoadrenal response
1형 당뇨환자의 경우 insulin 분비가 되지 않으며, 이로인해 Glucagon 분비의 증가도 나타나지 않게된다. 따라서 Recent hypoglycemia 는 epinephrine 반응을 감소시키고, Sympathoadrenal resonse 를 감소시키므로서 Hypoglycemia unawareness 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2~3주 이상 저혈당 발생을 방지하고, 혈당을 좀 더 높게 유지시키면 Sympathoadrenal response 가 증가되어 회복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Retinal hypoxemia 에 대한 반응으로 neovascularization 을 일으키는 것이 PDR 의 hall mark 이다. 쉽게 vitreous hemorrhage, fibrosis, retinal detachment 를 일으킨다. 따라서 Diabetic retinopathy 을 일찍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비록 운동이 PDR 을 더 나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안과 의사들은 Diabetic eye disease 가 있는 사람의 경우 반복적인 Valsalva maneuver 와 관계된 신체 활동을 제한할 것을 조언한다.
Aspirin 치료 (650 mg/day) 가 Diabetic retinopathy 의 자연경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당뇨발 (DM foot)
왜 foot ulcer 가 잘 생기는가?
1) Peripheral sensory neuropathy
2) Disordered proprioception
- 걷는 동안 비정상적인 weight bearing 을 하게 한다. 그러므로 callus 나 ulcer 형성이 일어난다.
3) Motor and Sensory neuropathy
- 비정상적인 foot muscle 사용으로 발 자체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4) Autonomic neuropathy
- 발에 땀이 안나고, 표면에 혈류흐름이 변화하여 자꾸 발표면을 마르게 하고 갈라지게 한다.
5) PAD (Peripheral artery disease) and Poor wound healing
끝.
2018-11-20 오후 1:37 - SJH
'01_의학 상식 > 013_내분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샘 결절 케이스 #2 (0) | 2018.12.18 |
---|---|
갑상샘 결절 케이스 #1 (0) | 2018.12.18 |
당뇨병의 급성/만성 합병증 (0) | 2018.11.20 |
[ME] 대사 증후군 (0) | 2018.11.14 |
[ME] 비만 (0) | 2018.11.09 |
[ME] 요붕증 및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 (0) | 2018.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