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_프로젝트/투석실 교육

알아두면 쓸모있는 투석실 빈혈검사 지표들의 개념 (Hb, Hct, MCV, MCH, MCHC, Serum iron, TIBC, Transferrin saturation, Serum ferritin)

손닥터 2023. 4. 22. 07:30

알아두면 쓸모있는 투석실 빈혈검사 지표들의 개념 (Hb, Hct, MCV, MCH, MCHC, Serum iron, TIBC, Transferrin saturation, Serum ferritin)

 

 

 

 

투석 환자에서 빈혈은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하게 EPO 를 주어야하고 때로는 IV iron 도 같이 주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석실에서 의료진으로 근무한다면 EPO 와 IV iron 의 보험기준은 무조건 외우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왜 보험기준에서 Hb 과 Hct 이 나올까요? IV iron 보험기준에서 Ferritin 과 Transferrin saturation 은 무슨 개념이길래 기준에 넣어놨을까요? 개념이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진단검사의학 교과서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 정리해보았습니다.

 


* 투석환자 EPO, IV iron 보험기준

- EPO 보험기준 : Hb 11이하 or Hct 33 이하

- IV iron 보험기준 : Hb 11 이하 and (ferritin 200 미만 or T. sat 20% 미만)

 


 

 

* 인용출처 : 진단검사의학 4/e

 

CBC 할때 자동화기계에서 혈색소 (Hb), 적혈구수, MCV 는 보통 실제로 측정을 합니다.

나머지 Hct, MCH, MCHC 는 측정된 값으로 부터 계산을 통해 구해집니다.

 

1. 혈색소 (Hb)

cyanmethemoglobin 방법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여 사용합니다. 이 검사 방법으로 미량으로 존재하는 sulfhemoglobin (SHb, 1% 미만으로 존재) 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혈색소를 측정가능합니다. (Hb, HbO2, Hi, HbCO)

 

적혈구를 용해시킨 뒤 potassium ferricyanide (반응 시 methemoglobin 이 됨) 와 potassium cyanide (최종적으로 cyanmethemoglobin 이 됨) 용액에 희석하여 안정적인 cyanmethemoglobin 으로 전환시킨 뒤 분광광도계 54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표준 cyanmethemoglobin 용액과 비교하여 농도 (g/L) 를 환산합니다.

 

Hb + [potassium ferricyanide] methemoglobin

methemoglobin + [potassium cyanide] cyanmethemoglobin → 540 nm 흡광도 측정

 

*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비정상 혈장 단백이 존재하거나 고지혈증, 백혈구 수가 증가 (30000 이상) 시 흡광도가 증가되어 실제보다 높은 Hb 결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정맥채혈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 혈액을 농축시켜 Hb 가 실제보다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2. 헤마토크릿 (Hct)

혈액 전체 부피에 대한 적혈구 부피의 비율 (% 또는 L/L 로 표기) 입니다. 적혈구 용량은 반영하지만 총 적혈구 용량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e.g. 임산부에서 Hct 은 감소되어 있으나 총 순환하는 적혈구 수는 감소되지 않음.)

자동화기계에서 MCV x 적혈구수 계산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실온에서 6~24시간 방치된 검체는 Hct 와 MCV 의 증가 가능합니다.

(4도씨 보관시 24시간 동안 안정)

 

성인남자 참고치 : 41~51%

성인여자 참고치 : 36~45%

 

3. MCV (Mean corpuscular volume)

: 적혈구의 평균 용적

보통 자동화기기에서 직접 측정합니다.

단위 : fL (10^(-15))

정상참고치 : 80~96 fL

적혈구 응집이 있으면 MCV 가 실제보다 증가되어 측정됩니다.

당뇨환자에서는 삼투현상으로 MCV 가 실제보다 증가됩니다.

 

4.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 적혈구 한 개당 혈색소량

단위 : pg (10^(-12)/L)

정상참고치 : 27~33 pg

고지혈증, 백혈구증가증일 때 Hb 측정에 오류가 생기므로 MCH 도 증가되어 측정됩니다.

 

5.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적혈구 한 개당 평균 혈색소 농도

구하는 공식 : MCHC = Hb (g/dL) / Hct (L/L)

정상참고치 : 33~36 g/dL

Hb 합성 감소가 RBC 크기 감소보다 더 심한 빈혈의 경우 MCHC가 감소된다.

 

 

 

* Iron metabolism

철은 Hb, myoglobin, 일부 효소들의 필수 구성 성분으로, 전체 철의 2/3 는 Hb 에 존재합니다. 나머지는 간세포나 세망내피계(RES)의 대식세포에 분포합니다. 대식세포 내에 있는 Hb 에서 철이 빠져나오면 serum transferrin 과 결합하여 골수에 있는 적혈모세포로 운반됩니다. 철을 가진 Transferrin 이 erythroblast 의 세포막에 있는 Transferrin receptor 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세포내로 유입되면 철이 유리되어 heme 합성에 사용됩니다. heme 합성을 초과하는 철은 apoferrin 과 결합하여 hemosiderin 과 ferritin 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성인은 체내 약 2~4g 의 철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생아는 0.5g 의 철을 가지고 태어남)

일일섭취량 남자 15mg, 여자 11mg. 이 중 각각 6%, 12%가 흡수됩니다.

serum iron 의 평균 농도는 110 ug/dL 이며 이들은 대부분 transferrin 과 결합되어 있습니다.

Transferrin 은 평균적으로 철 330 ug/dL 과 결합가능합니다. (T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따라서 Transferrin 의 약 1/3 은 철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Transferrin saturation)

그 외 소량의 철은 혈청 내 ferritin 상태로 존재합니다.

 

 

6. Serum iron (혈청 철)

정상참고치 : 50~160 ug/dL

철결핍빈혈에서 감소합니다.

일중 변동이 있어 아침에 가장 높고 오후에는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아침식사 전에 검체를 채취해야 한합니다.)

 

7. T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혈청 총 철결합능력)

정상참고치 : 250~400 ug/dL

철결핍빈혈에서 증가합니다. (Transferrin 이 2배 이상 증가)

만성질환 빈혈, 만성 감염에서는 serum iron 은 감소하나 TIBC 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Serum iron : transferrin 에 붙어있는 iron (대부분 결합되어 있음.)

* TIBC : 전체 transferrin 에 결합할 수 있는 iron 의 자리 (붙어있든 않붙어있든)

* UIBC : 전체 transferrin 중 iron 이 붙지 않은 자리

* Transferrin saturation : 전체 transferrin 의 자리 중에서 iron 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

 

8. Transferrin saturation (철포화백분율)

Transferrin 에 포함된 철의 백분율

정상참고치 : 20~55%

15% 이하면 적혈구 조혈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9. Serum ferritin (혈청 페리틴)

상참고치 : 12~300 ug/dL

남자에서 여성보다 높습니다.

serum ferritin 은 RES 의 ferritin 과 평형을 이루므로 저장철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Acute phase reactant 이므로 염증질환, 간질환, 악성종양에서 증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