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개 반려동물 알레르기

반려동물 알레르기로 많은 분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제 외래 진료에 오시는 분 중에서도 고양이 알레르기가 심하신데도 고양이를 절대 포기할 수 없다며 약을 타러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또 강아지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려동물 알레르기 증상

반려동물 알레르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려동물 근처에 가거나 만지고 나서 눈 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코막힘, 두드러기,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나 혈액 속 특이 IgE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원인

Fel d 1 이라는 물질이 고양이 알러지의 가장 흔한 단백질 알레르겐 입니다. 전체 환자의 최대 96%가 이 단백질 알레르겐에 반응합니다. Fel d 1 단백질은 1973년 Ohman에 의해 밝혀졌는데, 공기 중 존재 시 대부분 큰 입자(>9 µm)에 붙어 있지만, 약 23%는 작은 입자(<4.7 µm)에 붙어 수일간 부유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물론 Fel d 1 외에도 다른 알레르겐이 밝혀졌습니다. (아래 표 참조)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8 March;10(2):97-105. https://doi.org/10.4168/aair.2018.10.2.97

개 알레르기 원인

대부분의 고양이 환자가 한 가지 주요 단백질에 반응하는 것과 달리, 개 알레르기 진단은 훨씬 어렵습니다. 현재 국제면역학회(International Union of Immunological Societies)에서 7개의 개 알레르겐(Can f 1–7) 을 명명하였습니다. (아래 표 참조)

많은 물질이 주요 알레르겐으로 분류되지만, 알레르기 환자의 50% 이상에게 반응해야 주요 알레르겐으로 인정됩니다. 아직 고양이의 Fel d 1 수준의 반응성을 가진 개 알레르겐은 없습니다.

개 알레르겐 원인 물질을 찾기 어려운데,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알레르겐 농도는 견종 간과 견종 내에서도 다양하고, 나이 많은 개는 피부가 건조하여 비듬, 각질 생성량이 더 많습니다. 일부 견종은 습진(eczema) 및 지성 비듬(oily seborrhea)에 취약합니다. 계절적 변화(seasonal variation)도 개 IgE 항체 수준에 영향을 미칩니다.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8 March;10(2):97-105. https://doi.org/10.4168/aair.2018.10.2.97

    알레르기가 진단되더라도 당장 반려동물과 이별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환경을 관리하고 약물치료로 증상을 조절하면서 같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개와 고양이 알레르기의 치료

    노출 회피

    개와 고양이 allergen 으로 인한 임상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기본 권고는 노출 회피(avoidance) 입니다.

    • 동물을 최소 주 2회 목욕시키면 allergen을 줄일 수 있고,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단,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사람이 목욕을 시키면 안되겠죠?) 또 알레르기를 줄일 수 있는 반려동물 전용 샴푸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침구는 한 달에 2번 이상 뜨거운 물로 세탁합니다.
    • 헤파필터를 장착한 공기청정기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카펫이나 오래된 가구를 치웁니다.
    • 반려동물의 활동 공간을 제한하고, 침실도 구분합니다. (침실에는 반려동물이 절대 들어올 수 없도록 장소를 구분합니다.)
    • 반려동물의 접촉을 최대한 줄이고 손을 자주 씻습니다.
    • 일주일에 2번 이상 헤파필터가 있는 청소기로 청소합니다.

    털을 깎는다고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개와 고양이의 알레르겐은 피부에서 떨어지는 비듬, 각질, 대소변, 침 등에 들어있는 단백질 성분이므로, 털을 깎는다고 해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알레르겐 양은 줄일 수 있을지 몰라도.)

    한편, 반려동물을 집에서 기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증상이 바로 사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포유류 allergen은 매우 안정적이어서 집먼지 속에 최대 6개월까지 유지될 수 있습니다. (특히 집에 카펫이 있는 경우)

    증상에 대한 약물 치료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국소 스테로이드(steroids)는 회피 요법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증상에 따라 흡입 또는 비강에 분무하는 형태의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신 스테로이드는 부작용이 심해 장기간 사용하면 안됩니다.

    면역치료 – SCIT (subcutaneous immunotherapy)

    면역치료는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 알레르겐에 꾸준히 노출시켜 체질 자체를 바꾸는 치료입니다. 처음에는 낮은 농도의 알레르겐을 투여하다가 점차 양을 늘려갑니다. 치료효과가 나타나기까지 3~5년 정도 장시간이 걸립니다.

    개 알레르기

    SCIT에 대한 자료는 효과를 보여주지만, 고양이에 비해서는 임상적 효과가 낮습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SCIT는 효과가 뚜렷합니다. 5주차부터 nasal symptom 및 nasal provocation 데이터에서 좋은 결과를 보인 연구가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