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병원에 오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혈압을 측정합니다. 보통 진료실 앞이나 복도에 있는 큼지막한 자동혈압계에 팔을 쑥 집어넣은 뒤 진료 보기 전 미리 혈압을 측정합니다. 혈압을 측정하면 조그만 종이가 인쇄되어 나옵니다. 거기에는 최고혈압, 최저혈압, 맥박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혈압을 측정한 결과 종이를 가지고 환자분이 진료실로 들어오십니다. 그 중 몇 가지 놀랄만한 반응 패턴이 있습니다.
첫 번째, 혈압이 높은데 무덤덤한 분. 이미 이전의 건강검진, 혈압측정에서 혈압이 높다고 수차례 들었던 분입니다. 혈압이 150으로 높은데도 크게 걱정도 안하시고 ‘원래 혈압 높았어요.’ 라는 말로 넘어가시는 분입니다.
두 번째, 혈압이 좋은데 걱정하시는 분. 수축기 혈압이 108 정도인데, 너무 낮은 것 아니냐며 걱정하는 분도 계시고, 수축기 혈압이 128 정도인데, 너무 높은 것 아니냐고 걱정하는 분도 계십니다.
아무래도 진료 순서를 기다리며 혈압 결과 종이에 집중해서일까요? 진료실에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도 혈압 종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자기 혈압이 어떤지 살펴봐달라고 하십니다. 그렇게 혈압에 관심있으신 분은 대부분 정상인 분들이 많고 무덤덤한 분들은 혈압이 높은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정상 혈압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대한고혈압 학회 진료지침에 잘 나와있습니다. 다음 표에 혈압 기준이 잘 나와있습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혈압이 바뀌기도 합니다. 진료실에서의 엄숙한 분위기, 낯선 환경에서 혈압이 올라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집에서 혈압 측정할 때는 수축기 혈압 135 이상, 이완기 혈압 85 이상이 고혈압이지만 진료실에서는 수축기 혈압 140 이상, 이완기 혈압 90 이상이 혈압 기준이 됩니다.

아래 페이지로 들어가서 본인의 혈압을 입력하면 고혈압 진료지침에 근거하여 혈압이 어떤지 정상혈압, 주의혈압, 고혈압 전단계, 1기 고혈압, 2기 고혈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3. 7. 3 – 고혈압의 기준 수치, 고혈압 치료 목표 혈압 (feat. 2022 고혈압 진료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