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RONJ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의 정의
- 1. Current or past use of antiresorptive or antiangiogenic agents
- 2. Exposure of the jaw bone or intraoral or extraoral fistula persisting for more than 8 weeks
- 3. No history of head and neck radiation therapy
Bisphosphonate
KSBMR 2015 position statement
- Bisphosphonate 4년 미만 사용
- 위험인자 없음 : 반드시 휴약할 필요는 없음.
- 위험인자 있음 : 시술 전 2~4개월 이상 휴약 고려, bone healing 후 재투약 (보통 시술 후 1달)
- 위험인자 : DM, steroid 사용 등
- Bisphosphonate 4년 이상 사용
- 시술 전 2~4개월 이상 반드시 휴약, bone healing 후 재투약 (보통 시술 후 1달)
J Bone Metab. 2015 Nov 30;22(4):151–165.
KSBMR 2021 position statement
- 장기 복용 또는 위험인자 동시 치과치료 전 2개월 동안 중단
- 치과 치료 후 점막 치유가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투약금지
Therefore conclusively, this committee maintains the previous recommendation that for people taking long-term BPs or concomitant risk factors, BPs should stop for about 2 months before dental treatment and stop until the wound heals after the dental procedure.
J Bone Metab 2021;28(4):279-296
Denosumab
denosumab 역시 3년 이상 사용할 경우 ONJ 위험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osteoporosis 보다는 암 환자에서 고용량 투여한 경우에 발생했다는 보고입니다. 그럼에도 약제의 작용기전상 골형성을 억제하므로 완전히 ONJ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미국 구강안면외과 가이드라인
- ONJ 발생 위험 : 0.04%
- 4년 미만인 경우 약제 중단 필요 없음.
- 4년 이상 or 구강 위생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마지막 주사 후 4개월 후 치과 수술 고려 (단 denosumab 을 맞아야 하는 날로 부터 2개월 이상 연기되지 않도록 스케줄에 주의)
In conclusion, relevant drug holiday considering the recovery of bone turnover markers for dental treatment is recommended. Given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bone turnover markers and ONJ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yet, it is desirable to judge the above contents at the level of referring to expert opinions. Re-administration of denosumab after invasive dental treatment should be postponed by 2 months until the mucosal and bone healing is completed. It can be usually be done 3 months later
than the planned next administration of denosumab. (J Bone Metab 2021;28(4):279-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