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칼륨혈증 (hypokalemia) 교정 프로토콜

고칼륨혈증은 응급상황일 수 있기 때문에 교정방법에 대해 친숙한 반면, 저칼륨혈증은 응급상황일 수 있음에도 정확한 교정방법을 잘 알지 못하며, 막상 적극적으로 교정하고자 할 때 그 방법이 헷갈리고, 너무 과량이 투여될까 주저하게 되어 치료의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1. 교정 방법   – 과일섭취, 경구약제 (경구 칼륨제, Spironolactone 등), 경정맥 투여 (KCL) 1) 경구 섭취 전통적인 방법으로, 혈청 … 더 읽기

침습적인 시술에 앞서 항응고제는 어떻게 해야할까?

일반적인 개념 출혈의 저위험 시술일 경우 항응고 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반대로 출혈의 고위험 시술이고, 환자의 질환이 혈전색전증의 저위험이라면 일시적으로 항응고 치료를 중단한 후 시술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예정된 시술인지, 응급 시술인지에 따라서도 조치는 달라질 수 있다. 혈전 위험의 평가 (1) 심방세동 비판막성 심방세동의 경우 stroke 위험도 평가에 중요한 것이 CHADS2 score (또는 CHA2DS2-VASc … 더 읽기

심전도 후려치기 (1)

1) 심전도의 기본 원리 심근의 탈분극이 (+) 전극을 향해 올 때 심전도에서는 상향파가 그려진다. 심장은 우심실이 앞쪽에 있고, 중격을 사이에 두고 뒤에 좌심실이 위치한다. 우심실은 폐순환을 위한 펌프 역할도 하지만 주로 좌심실로 혈액을 보내는 혈액 저류소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좌심실은 우심실에 비해 근육량이 훨씬 많고 전기 흐름의 방향은 좌심실 쪽을 향하게 된다. (흉부유도 V5-6에 근접) … 더 읽기

Calculation of Daily Urinary Electrolyte Excretion (전해질의 하루 배출량을 spot urine chemistry 검사만으로 추정)

전해질의 하루 배출량을 spot urine chemistry 검사만으로 추정하는 방법   전해질 이상 환자를 만났을 때, 24시간 소변 측정은 중요하다. (특히 칼륨 이상 환자) 하루 동안 소변에서 배출되는 전해질 양을 정확하게 알아야 그 전해질 이상의 원인이 신장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인지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24시간 소변 측정은 환자에게 있어 하기 힘든 검사일 뿐더러 실제 … 더 읽기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비전형 용혈요독증후군)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는 비면역성 hemolytic anemia, thrombocytopenia, renal impairment 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증후군이다. 대부분 5세 이하의 아이들에게 발생하며, 5세 이하의 어린이 10만명당 매년 6.1건 정도의 빈도로 발생한다. 처음 증상은 주로 설사로 시작되며, 대체로 bloody 하다. 이러한 HUS 의 90% 이상의 경우는 E.coli 혈청형 O157:H7, O111:H8, O103:H2, O123, O26 등에 의한 감염의 2차적 … 더 읽기

복막 투석액의 종류 (Baxter 제품)

1. Dianeal (2L/2.5L, 1.5%/2.5%/4.25%) 처음 상용화된, 기본적인 복막투석액 Dianeal 용액에는 고칼륨혈증을 교정하기 위해 투석이 시행될 수 있으므로 칼륨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만성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을 시행 중인 환자에서 평균 혈장 마그네슘 수치가 상승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기 때문에(Nolph et al., 1981), 본 제제의 마그네슘 농도는 0.25 mmol/L로 낮추어 조정되었습니다. 또한, 만성 CAPD 환자에서 평균 혈청 중탄산염 … 더 읽기

발사르탄 발암물질 사건 그리고 해당 약품 목록표

발사르탄 발암물질 사건 그리고 해당 약품 목록표  – 발사르탄이 문제가 아니라 불순물인 NDMA 가 문제다.- 발사르탄 (Valsartan) 은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의 대표적인 약제로서,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RAAS) 을 차단하는 약제이다. RAAS 는 우리 몸에 혈압이 떨어졌을 때 소변으로 배출되는 나트륨을 감소시키고, 재흡수를 촉진하므로서 (수분은 나트륨을 따라오기마련이다.) 유효 혈장량의 증가를 야기하여 혈압을 높인다. 한편 이러한 … 더 읽기

신장 이식 면역검사

0. 개요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 면역반응의 항원 인식 과정에 관여하는 분자를 생성하는 유전자와 단백을 의미하며, 특히 사람의 MHC 를 HLA 라고 한다. 신장 이식 전 시행해야 하는 면역검사로 우선 HLA typing, PRA screening, Crossmatch 를 시행한다. HLA typing 으로 공여자 및 수여자 사이 불일치 항원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며, PRA screening 을 하여 0% … 더 읽기

Serum Osm 과 ADH 의 관계

  Hyponatremia 환자에서 SIADH 가 의심이 되더라도 ADH 를 매번 검사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Serum Osm 에 변화에 대한 ADH 분비는 민감한 편인데, Serum Osm 이 280 미만일 경우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이 ADH 분비는 거의 zero 에 수렴한다. 그런데, 환자의 Serum Osm 이 280 미만인데도 ADH 가 분비가 되고 있다면? 그렇다면 SIADH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CMV Infection (CMV 감염)

CMV Infection (CMV 감염) Human cytomegalovirus (HCMV)는 betaherpesvirus에 속합니다. HCMV (Human CMV)는 인간herpesvirus 군에서 가장 큰 바이러스이며, 인간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MV의 유전체는 236 kbp 길이의 선형 이중 가닥 DNA(double-stranded DNA) 분자입니다. CMV double-stranded DNA는 nucleoprotein core에 감싸여 있으며, 이 코어는 matrix protein과 CMV의 pp65 antigen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matrix와 … 더 읽기

Cytomegalovirus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장기이식 환자에서 CMV 감염 진료 지침)

Definition CMV infection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CMV 복제가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CMV 복제는 (1) 핵산 증폭 검사(NAT), (2) 항원 검사, (3) 배양 검사 등을 통해 확인됩니다. 사용된 검사 방법에 따라 CMV 감염은 CMV DNAemia 또는 RNAemia(NAT 기반), CMV antigenemia(바이러스 항원 검사 기반), CMV viremia(배양 기반)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CMV disease 임상적 징후 및 증상을 동반하는 … 더 읽기

Infectious mononucleosis (전염 단핵구증) 진단

Infectious mononucleosis 의 Sign & Symptoms 1. 비정형 림프구 발병 초 2주동안 백혈구 증가를 보이는데, 이 중 50% 는 림프구이며 약 20% 는 비정형 림프구 이다. (정상 림프구보다 크며, Vacuolated cytoplasm 과 Elongated, indented nucleus 에 굵은 염색질이 나타난다.) 2. Heterophil antibody (Paul-Bunnell test, Davidsohn-Henry test) 양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이종 항체를 검사한다. (말의 적혈구는 양보다 … 더 읽기

의료인 안드로이드 추천 어플 version 1

  주로 사용하는 편리한 안드로이드 앱을 소개합니다. 혹시 다른 좋은 앱이 있으면 추천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의약품 검색 (약학정보원)   입원 환자든지 외래 환자든지 환자분들 대부분이 처방전이나 성분명이 적힌 약봉지 없이 그냥 드시던 약을 가져오시는데, 그러면 무슨 약인지 참 알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 무료로 약에 적힌 글자나 모양, 색깔로 약을 검색할 수 있는 좋은 어플입니다. … 더 읽기

신증후군출혈열 한탄바이러스 감염

개요   한탄 바이러스(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등에 의한 급성발열성 질환을 말한다. 기본정보   1951-1953년 한국전쟁 중 UN군에서 약 3200명 이상의 신증후군출혈열 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수백명이 사망함으로써 이에 대한 원인 규명에 나서, 1976년 이호왕 등이 신증후군출혈열 환자의 회복기 혈청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항원을 등줄쥐에서 발견, 이 항원이 신증후군출혈열의 원인바이러스임을 확인하고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의 이름을 … 더 읽기

급성 설사(장염)에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급성 설사에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indication 을 알고 있어야 한다. 요약하면 38.5도씨 이상의 발열과 함께 혈변, Stool WBC 증가, 면역저하자나 고령의 경우 항생제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만 HUS 때는 항생제 사용이 금기이다.   설사란 비정상적인 액상의 변이나, 형태가 없는 변으로 배변의 횟수가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대게 대변의 양이 200g/day 초과시 설사로 여겨지며, 급성의 경우 2주 … 더 읽기

Fever control (해열) 해야하는 경우

fever control 해야하는 indication 을 알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 발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섣불리 열을 떨어뜨리지 않고 열의 패턴과 경과를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정 환자의 경우 열을 내리는 치료가 필요하다. 발열은 37도씨에서 1도씨 체온이 증가할 때마다 산소 요구량이 13% 정도 증가한다. 따라서 기존의 심장이나 폐기능, 중추신경계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에게서 발열은 이러한 질환을 더욱 … 더 읽기

만성 췌장염 (원인, 통증기전, 통증치료, 합병증, 치료)

만성 췌장염의 임상적 특징 만성 췌장염은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췌장의 손상이며, 이로 인해 기능적인 이상을 가져온다. 3가지 임상적인 특징이 있는데, (1) 복통, (2) 췌장의 내분비, 외분비 이상, (3) X-ray 에서 pancreas 의 calcification 이 보이는 것이다. 급성 췌장염의 10% 에서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되며, 반복적인 췌장염의 경우 30% 에서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만성췌장염의 위험인자 및 원인 가장 중요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