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검사 골밀도검사 급여기준 보험기준 제2023-293호(행위)

고시 제2023-293호(행위) / 게시일 2023-12-29 / 시행일 2024-1-1 다334 골밀도검사의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1. 18세 이상인 경우 가. 급여대상 ※ 상기 가. 2)의 고위험요소는 아래와 같음 나. 급여횟수 1) 진단 시 1회 인정하되, 말단골(peripheral bone) 골밀도검사 결과 추가검사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중심골(central bone; spine, hip)에서 추가검사 인정함. 2) … 더 읽기

중요한 면접, 시험, 발표, 공연 때 긴장과 불안을 줄이기위한 인데놀 보험 급여 기준

가끔 젊은 분들이 오셔서 인데놀을 처방받아가시곤 합니다. 중요한 면접이나 시험, 발표, 공연을 앞두고 긴장과 불안, 떨림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저 또한 예전 의사 면허 국시 때 인데놀을 먹고 시험에 임했던 것이 생각납니다. 매 시험때마다 긴장을 많이 하는 편이었는데, 인데놀 효과가 괜찮았습니다. 예전에 선배로부터 불안, 긴장을 줄이는 목적의 인데놀 처방은 비급여라고 인수인계 받은 적이 있지만, 지금은 복지부 … 더 읽기

대상포진에 항바이러스제와 리리카 또는 뉴론틴 보험 처방 가능한가?

상병코드를 잘 넣으면 보험 인정됩니다.대상포진 상병 (B022 추천) + 대상포진 후 신경통(G530) 상병을 넣어야 급여인정 됩니다. 대상포진과 관련된 상병명 또 pregabalin 의 일반형과 서방형 모두 G530 코드로 처방 가능합니다. 투여기간에 대한 제한은 없다고 합니다. 출처 : 자신만만 보험청구 (군자출판사)

만성콩팥병 관련 약제 보험기준 사구체여과율

최근 만성콩팥병에서 사용가능한 좋은 약제들이 보험 적용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약제로 포시가, 자디앙 같은 SGLT2 inhibitor 및 케렌디아 (finerenone) 가 그 대상입니다. 보험 기준에 명시된 사구체 여과율 범위가 헷갈릴 수도 있어 한번 정리해봅니다. 요약 Empagliflozin 경구제 (품명: 자디앙정 10밀리그램) 고시 제2025-129호 (약제)게시일 2025-08-01 나. 다음을 모두 만족하는 만성 신장병 환자 Dapagliflozin 경구제 (품명: 다파엔정10밀리그램 등) … 더 읽기

Prucalopride 보험기준

Prucalopride 괜찮은 만성 변비 치료약인데, 그전에는 비급여로 사용했었던 약입니다. 보험으로 투여할 수 있어 보험기준에 대해 기록해봅니다. 고시 제2020-79호(약제) 2종 이상의 경구 완하제(부피형성 완하제, 삼투성 완하제 등)를 6개월 이상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증상완화에 실패한 만성변비 환자에게 투여함. 단, 4주간 투여 후 증상 호전을 고려하여 지속 여부를 결정토록 함. 대표적인 약제 : 모비졸로 (한국팜비오)

국가 건강검진 / 본인 희망에 의한 건강검진 실시 당일 이상소견이 있어 검사나 처치 등을 추가로 실시 시 급여기준 (고시 제2024-58호)[2024. 4. 1]

국가 건강검진 실시 당일 이상소견이 있어 검사나 처치 등을 추가로 실시 시 급여기준 1.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에 의거 가입자 등에게 실시하는 건강검진 실시 당일 건강검진 실시기준에 의한 나761 상부소화관 내시경검사 또는 나766 결장경검사 중에 이상 소견이 있어 검사나 처치 등을 추가로 실시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적용함. 다만,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에 의한 건강검진 항목과 중복되는 경우는 요양급여로 산정하지 아니함. – 다 음 – 가. 위의 … 더 읽기

나765-1나 캡슐내시경검사-대장의 급여기준 (신설)(고시 제2024-39호)[2024. 3. 1]

1. 나765-1나 캡슐내시경검사-대장은 다음에 해당하면서 결장경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실패한 경우 검사료와 치료재료 비용을 「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본인부담률 80%로 적용함. – 다 음 – 가. 상부소화관내시경에서 출혈 원인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하부위장관질환으로 지속적 또는 반복적 출혈이 의심되는 임상소견이 있는 경우 나. 대장영상검사(복부전산화단층촬영 또는 대장조영촬영술)에서 종양과 궤양 등의 이상 소견이 발견된 경우 2. 상기 1. 이외의 결장경검사에 실패한 경우 … 더 읽기

누300 미량알부민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제2018-105호)[2018. 5. 31]

누300 미량알부민 검사는 다음에 해당되는 환자로서 누225 요 일반검사[화학반응-육안검사/화학반응-장비측정]에서 요단백이 검출되지 아니하여 실시한 경우에 인정함. – 다 음 – 가. 당뇨병성 신증이 의심되는 당뇨병환자 나. 심혈관계 합병 위험인자(비만,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등)가 있는 고혈압환자 (2018.6.1. 시행) * 청구시 요단백 검출여부를 특정내역에 기재해야 함.

에이즈 검사의 보험 급여 기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35호 [2024. 2. 28], 2024. 7. 1부터 시행)

1. 에이즈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 후 본인이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타인에게 전염력이 있게 되므로, 감염자의 조기발견과 수혈 등으로 인한 감염요인 사전규명 및 진료과정에서의 감염예방 등을 위하여 실시한 누720가 일반면역검사-HIV 항체, 누721가 정밀면역검사-HIV 항체 및 누721나 정밀면역검사-HIV 항원/항체(동시 선별)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2. 누720나 일반면역검사-HIV 항체-간이검사는 위 1항의 급여대상 중 다음의 경우 … 더 읽기

요양병원 입원 중인 환자가 외래로 내원했을 때 진료비는?

* 산정특례 대상상병인 경우는 진료의뢰받은 요양기관에서 진료비 청구 * 산정특례가 아닌 다른 상병으로 진료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입원 중인 요양병원에서 청구 (진료내역 모두 전액 본인부담 처리하고 환자 또는 입원 중인 요양병원에 진료비 청구, 상세내역서와 영수증 발급하여 입원 중인 요양병원에 청구할 수 있도록 안내) 고시 제2021-257호 [2021. 10. 12]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 더 읽기

액체형 철분제제 보험 급여기준 (고시 제2020-79호) [2020. 5. 8]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일반적인 철결핍성 빈혈의 경우 혈액검사결과 다음에 해당되고 타 경구 철분제제 투여 시 위장장애가 있는 경우에 급여하며,투여기간은 4~6개월 급여함. – 다 음 – 1) 일반환자 혈청 페리틴(Ferritin) 30ng/mL 미만 또는 트랜스페린포화도(Transferrin saturation) 20% 미만인 경우 2) 만성신부전증 환자 및 항암화학요법을 … 더 읽기

SGLT2 inhibitor 비당뇨 심부전 환자에게 급여 인정 (Dapagliflozin, Empagliflozin, 고시 제2024-20호)[2024. 2. 1]

1. 제2형 당뇨병에 투여 시 [일반원칙] 당뇨병용제 “세부사항” 범위 내에서 요양급여를 인정함. 2. 각 약제별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상기 1. 이외에 비당뇨 환자에게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NYHA class Ⅱ∼ Ⅳ)중, 좌심실 박출률(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이 … 더 읽기

Finerenone 피네레논 케렌디아정 보험 급여기준 [신설] (2024. 2. 1)

Finerenone 경구제(품명: 케렌디아정 10밀리그램 등) 보험 급여기준 [신설] 고시 제2024-20호(약제)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제2형 당뇨가 있는 만성 신장병 성인 환자로서, ACE 억제제 또는 Angiotensin II 수용체 차단제를 최대허용(내약) 용량으로 4주 이상 안정적으로 투여 중에도 불구하고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 더 읽기

프로칼시토닌 (procalcitonin) 정밀면역검사(정량) 보험 급여기준 [신설]

누014 프로칼시토닌 나. 정밀면역검사(정량)의 급여기준 고시 제2024-18호(행위) 누014 프로칼시토닌 나. 정밀면역검사(정량)는 다음과 같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박테리아성 감염을 진단하거나 항균제 치료 중단결정을 위해 실시한 경우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가. 전신성 염증반응증후군이 있거나 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 나. 폐렴환자 2023.07.11 – [투석실 이야기] 염증수치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2019-131 / 2019. 8. 1)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2019-131 / 2019. 6. 28)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골흡수표지자검사와 골형성표지자검사를 각 1종씩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가. 골다공증 약물치료 시작 전 1회 나. 골다공증 약물치료 후 약제 효과 판정을 위해 실시 시 연 2회 이내 ※ 골흡수표지자 – 누501 골흡수표지자[정밀면역검사]-C- 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 (CTX), N-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 (NTX), 디옥시피리디놀린 ※ 골형성표지자 … 더 읽기

경구 만성B형 간염 치료제 보험 급여기준 (2023. 3. 1)

고시 제2023-37호 경구 항바이러스제제 치료 시작 기준 (1) 만성활동성 B형 간염 환자 (간경변 없음) 이면서 (AND) ★ 간생검이 곤란하다는 점을 의무기록에 남겨 둘 것 : 조직검사를 두려워한다던지, 조직검사를 했을 때 심각한 합병증 발생이 예상된다는 점 등 (2) 만성활동성 B형 간염 환자 (간경변 또는 간세포암 동반) HBV DNA 양성인 경우 시작 가능 * 메모 고시 제2023-37호 … 더 읽기

아리셉트 (Donepezil) 보험 급여 기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65호)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65호 1. 각 약제별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투여대상 1) 3mg, 5mg, 10mg 경구제 및 87.5mg, 175mg 패취제 가), 나)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알츠하이머 형태(뇌혈관 질환을 동반한 알츠하이머 포함)의 경증(mild), 중등도(moderate), 중증(severe) 치매증상   가) … 더 읽기

비타민D 검사의 보험 급여 기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2-204호)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2-204호 누490나 비타민-[정밀면역검사]-D2, D3, 총 비타민 D, 25-OH-Vitamin D(total), 누490다 비타민-[정밀분광-질량분석]-D2, D3 검사의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가. 급여대상 나. 산정방법 1) D2, D3, 총 비타민 D, 25-OH-Vitamin D(total) 검사는 1종만 인정 2) 인정횟수   가) 약물 투여 전 진단 시 1회, 약물 투여 3~6개월 후 치료효과 판정 시 1회   … 더 읽기

록소프로펜, 오팔몬(리마프로스트) 급여 범위 축소

28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2023년 급여적정성 재평가 결과 3개 성분에 대한 급여 범위를 축소했습니다. 록소프로펜의 경우 급성 상기도의 해열, 진통에는 임상적 유용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급여의 범위가 축소되었습니다. 리마프로스트 (오팔몬) 은 폐색성혈전혈관염에 의한 궤양, 동통, 냉감 등의 허혈성 증상의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급여 범위가 축소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296호 Loxoprofen sodium 60mg 경구제 보건복지부 고시 … 더 읽기

렉라자정 1차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급여 가능

28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NSCLC) 에서 특정 유전자 변이 (EGFR exon 19 deletion, 또는 L858R mutation) 가 있는 경우 1차 치료제로 급여로 사용가능하도록 결정되었습니다. 상기 약제를 비급여로 사용한다면 1인당 연간 투약비용이 약 6800만원에 육박하나, 건강보험 적용으로 본인 부담금 5% 적용시 연간 투약비용은 약 340만원까지 절감됩니다. 2024년 1월 1일 부터 건강보험 신규 및 확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