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복통으로 내원한 젊은 여성분 알고보니 요로결석

20대 여성분이 배를 움켜잡고 내원하였습니다.전날 새벽에 갑자기 배가 아프기 시작하였고 통증이 심해 응급실에도 다녀왔다고 합니다.응급실에서는 그냥 장염 같다고 하였고 응급 처치 후 증상이 좋아져 퇴원하였습니다.그러나 다시 집에 돌아온 후 통증이 다시 악화되었고 집근처 다른 병원에서 장염약을 다시 지었으나그 약을 먹은 후 구토를 한 차례 하여 이 곳으로 내원했다고 합니다. 통증이 심해서 그런지 표정이 좋지 않았습니다.일반적인 장염이라하기에도 통증이 … 더 읽기

인플루엔자 독감 예방접종

인플루엔자 (독감) 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독감 접종) 은 누가 해야 하나? 우선접종권장 대상 (질병관리청 고시 제2023-5호) 다음의 대상자에게 매년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 이전에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장 1)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 시 합병증 발생이 높은 대상자(고위험군) 2) 고위험군에게 인플루엔자를 전파시킬 위험이 있는 대상자 3) 집단생활로 인한 인플루엔자 유행 방지를 위해 접종이 권장되는 대상자 생후 60개월~18세 소아 … 더 읽기

대상포진 예방접종 (조스타박스 스카이조스터 싱그릭스)

대상포진이란? 피부분절을 따라서 수포성 발진이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과거 어릴때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에 1차 감염이 된 이 후 감각신경절에 잠복해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거 수두에 걸린 적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병할 수 있습니다. 노인일 수록 노화, 질병 등으로 면역세포 기능이 떨어져 대상포진이 잘 발생합니다. 국내 대상포진 환자의 64%가 50대 이상이라고 합니다. 한번 대상포진을 … 더 읽기

어느 중년남성의 뒤늦은 후회 (8개월전 이미 폐암이 의심되었지만 병원에 오지 않으셨던 분)

최근 어느 중년 남성분이 외래로 내원하였습니다. 진료실 의자에 털썩 몸을 던지듯 내려앉으면서, 요새들어 온몸이 아프고 피곤하다고 호소하였습니다. 사실 ‘온몸이 다 아프다.’, ‘여기저기 다 힘들다.’라고 하면 어디서부터 진단을 해야하나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코로나인가? 감기몸살인가?’ 여러가지 생각을 하면서 찬찬히 그분의 겉모습을 훑어보았습니다. 과거 진료 기록을 보니, 어떤 병이 있어서 계속 병원을 다니시는 분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8개월 전에 … 더 읽기

성인예방접종 B형 간염

B형 간염 접종 후 반드시 항체 형성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B형간염의 고위험군에만 적용다음의 대상자에게는 백신 접종 후 anti-HBs 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이 권장항체 확인 검사는 검사 대상자에게 백신 3회 접종 후 1-2개월 후 검사 B형 간염 백신을 3회 접종하고도 항체가 안생길 경우 (무반응자 대책) 아래 3가지 방법 중 한 가지를 선택 … 더 읽기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설명자료

아직까지 헬리코박터 검사를 언제, 누구에게 해야하는지 명확한 지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를 받기전 미리 헬리코박터 검사에 관해 상의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하지 않으며 특정 내시경상 점막 병변이 있거나 헬리코박터 감염 의심 병변이 보일 때 시행합니다. 그러므로 헬리코박터 검사를 희망한다면, 내시경 검사 전 검사를 해달라는 요청을 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내시경상 궤양이 확인되는 등 … 더 읽기

위식도 역류질환 가이드라인 (Seoul consensus, 2020)

위식도 역류질환 가이드라인 (Seoul consensus, 2020) 01_손닥터 의학정보/016_손닥터 소화기 2023-10-02 21:01:12   https://sondoctor.com/   https://ekjm.org/journal/view.php?number=25789   위식도 역류 질환 (GERD) 의 정의 위식도 역류 질환은 위 내용물이 식도나 구강으로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2006년 몬트리올 합의의 정의 채택) 불편한 증상 : 경도의 증상들이 일주일에 2일 이상 발생하거나 중등도 이상의 증상들이 일주일에 하루 이상 … 더 읽기

성인예방접종 폐렴구균 백신

폐렴구균 백신은 외래진료에서 예방접종에 대해 가장 많이 문의하시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제가 폐렴 예방접종을 맞아야 할까요?’, ‘두 가지 다 맞아야 하나요?’, ‘언제 맞아야 하나요?’ 등 경우의 수가 많기 때문에 자주 문의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입니다. 폐렴구균(Pneumococcus) 이란? 폐렴구균은 급성 중이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고 폐렴, 수막염, 균혈증 및 부비동염의 원인이 … 더 읽기

성인예방접종 파상풍

파상풍 예방접종

파상풍은 Clostridium tetani 가 생산하는 tetanolysin, tetanospasmin 이라는 두 가지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질환입니다. 특히 tetanospasmin 독소는 신경독소로 극미량으로도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상처를 통해 균이 인체에 유입되면, 혐기상태에서 독소를 생성하고 그 독소가 몸속에 퍼져 신경조직에 작용합니다. 잠복기는 다양하나 보통 3~21일 이내 증상이 발생합니다. 중추신경계에서 가까운 곳의 상처일 수록 잠복기는 줄어듭니다. 임상 증상에 따라 … 더 읽기

성인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성인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하셨나요? 우리나라는 아직 B형 간염이 많습니다. 또 건강검진에서 B형 간염 항체를 많이 검사합니다. B형 간염 백신 접종해야 하나요? 항체가 없으면 어떻게 할까요? 이 글을 통해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 개요 접종일정 : 0, 1, 6 개월 일정으로 접종 접종용량 : 0.5mL(HBsAg 10μg, 만 10세 이하), 1.0mL(HBsAg 20μg, 만 11세 … 더 읽기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1차, 2차) 외래 설명자료

현재 건강보험 제도하에서 헬리코박터균의 제균치료는 합법적으로 가능합니다. 물론 대부분 본인부담 100% 의 형태입니다. 과거에는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대상자가 아닌데 제균치료를 했다면 비급여로 치료했다고 해도 임의비급여로서 불법이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헬리코박터 검사를 언제, 누구에게 해야하는지 명확한 지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를 받기전 미리 헬리코박터 검사에 관해 상의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하지 않으며 특정 내시경상 점막 … 더 읽기

위식도역류질환 GERD 가이드라인 변화

GERD 가이드라인

위식도역류질환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는 증상의 스펙트럼이 다양하고 흔하면서도 불편한 질환입니다. 최근 위식도역류질환의 가이드라인이 점점 개정되고 있고 PCAB 으로 분류되는 신약도 출시되었습니다. 최근 트렌드는 GERD 를 정확히 진단하고 제대로된 치료를 받을 것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GERD 의 치료는 역류로 인한 증상 및 식도 손상을 개선시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치료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와 약물 … 더 읽기

PPI 와 P-CAB (케이캡정, 펙수클루정)

기존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제인 PPI 의 단점 P-CABs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s, 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P-CAB 은 위산 분비 최종 단계에 관여하는 H+, K+-ATPase 에 칼륨 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합니다. 칼륨 이온과 H+, K+-ATPase 와 결합을 해야 위산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구조 자체가 이미 benzimidazole carboxamide 구조 (active form)로 위산에 의한 활성화 과정이 불필요하고 직접 H+, … 더 읽기

위산분비 기전

위벽을 구성하는 세포 종류 Proximal part Distal part  위액의 구성 위산분비의 조절 음식이 위에 닿기 전 parietal cell 은 위산을 분비하고, chief cell 은 pepsinogen 을 분비하도록 자극됩니다. 따라서 음식이 위에 도달하면 단백질이 소화되어 분해되고 이는 추가적으로 gastric antrum 에서 gastrin 분비를 촉진합니다. 또한 gastric distention 은 vagovagal reflex 를 일으켜 위산분비와 pepsinogen 분비를 더욱 … 더 읽기

PPI 와 P-CAB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PPI 와 P-CAB

PPI 와 P-CAB, 기존 위식도역류질환에 사용하는 약제로 H2-receptor antagonist (H2RA) 와 Proton pump inhibitor (PPI) 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H2RA는 위산분비 경로 중 히스타민 경로만 차단하기 때문에 쉽게 내성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2주 이상 장기간 투여할 경우 약물 내성(tolerance)이 발생) 또한 PPI의 경우에도 전구 약물(prodrug)로 활성화 과정을 거친 후에 약효를 발휘하기 … 더 읽기

위산 분비의 생리학

위산

위산은 음식물 속의 세균을 없애고 단백질의 소화를 도와주는 좋은 역할을 하지만,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런 질환의 경우 위산분비를 줄여주는 약이 핵심 약제가 됩니다. 최근 여러가지 신약이 개발되었습니다. 약물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위산 분비의 생리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위벽 세포와 위 점막의 구성 위를 생리학적으로 Proximal part 와 Distal part 로 나눌 수 … 더 읽기

간농양 (Liver abscess)

간농양의 원인 간은 2개의 혈관이 들어오는 장기입니다. 그만큼 혈류량이 많습니다. 간 세포 사이에는 Kupffer cell 이 있어 간을 지키고 감시하지만, 침투하는 세균의 양이 매우 많을 때에는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간농양의 원인균 우리나라 및 아시아 국가에서는 K. pneumoniae 가 흔합니다. 그 외 Enterococci 도 흔합니다. 보통 여러가지 균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혐기균 중에서는 B. fragilis 가 가장 많습니다. 면역 … 더 읽기

간농양 (Liver abscess)

간농양

간농양 실제 환자 케이스를 손닥터 블로그에 기록하였습니다. (https://sondoctor.co.kr/1268) 이 환자를 만나고 얼마되지 않아 옛날 오랜 친구에게 연락이 왔었는데, 그간 안부를 묻던 중 그 친구도 최근에 간농양으로 입원했다고 말하길래 깜짝 놀랐습니다. 그 친구는 10일간 열이 38도씨 이상 올라서 참다참다 병원을 갔고 큰 병원으로 가보라고 하여 진단된 케이스였습니다. 은근히 간농양이 주변에 종종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에는 간농양의 … 더 읽기

간농양 환자 케이스

60대 여성입니다. 1주일 이상 지속되는 열과 전신 위약감을 주소로 내원하였습니다.원래 당뇨를 진단받고 약을 복용해야 했으나, 최근 6개월간 자연요법을 하신다고 약을 중단한 상태였습니다.내원 당시 전신 컨디션이 좋지 않아보였으며 내원시 혈당은 270으로 확인됩니다. 1주일 이상 열이 났다고 하나, 증상이 모호합니다. 내원시 미열정도만 있었고 고열은 아닙니다.얼굴 표정이나 움직임이 매우 힘들어 보이지만, 특징적인 증상이 없습니다.인후통이나 기침, 콧물, 가래 등의 감기증상도 별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