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zotinib associated renal cysts (CARCs)

안녕하세요. 손닥터 입니다. 이번에는 흔하지 않지만 흥미로운 질환을 하나 소개할까 합니다.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종양의 돌연변이 마커를 토대로 표적 치료를 결정하게 되는데, 특히 샘암종의 경우 ALK 돌연변이 양성일 경우 Crizotinib (젤코리) 를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최근 crizotinib 을 사용하던 환자에게서 양측 신장 낭종이 갑자기 발생하여 이것이 폐암의 전이일지, CARCs 일지 헷갈렸던 적이 있었는데, 몇 가지 문헌들을 … 더 읽기

[교육] 거품뇨가 나온다구요?

안녕하세요. 손닥터입니다.이번에는 거품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대부분 거품뇨가 나오면 신장이 안좋은 것이라 예로부터 알려져 왔기 때문에, 소변에 거품이 많이 난다면서 외래로 찾아오시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물론 거품뇨라는 것만으로 비정상이라고 특정할 수는 없습니다. 거품뇨라는 것이 환자 본인이 보았을때 주관적인 의미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병적인 거품뇨가 아닐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흥미롭게도 올해 거품뇨에 대해 cJASN (미국 신장학회에서 나오는 … 더 읽기

[전문가] 신장 조직검사 적응증 및 금기

안녕하세요. 손닥터 입니다. 이번에는 신장조직검사의 전문가적 내용을 추려서 만들어본 자료 입니다. 외래에서 진료를 보다보면 결국 신생검을 할지말지로 귀결되어지는 환자 케이스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언제 조직검사를 해야하는지 그 적응증과 합병증, 금기 사항에 대해 확실히 알고자, 여러 문헌들을 참고하여 소개합니다. 브래너 교과서 10판 입니다. 1g 이상의 의미있는 단백뇨가 있을때나, 미세혈뇨와 단백뇨가 같이 있을때가 주요 적응증이 되겠습니다. 비교적 … 더 읽기

[교육] 신장 조직검사 (신생검, 콩팥 조직검사) 를 하자고요?!

안녕하세요.  손닥터 입니다. 날씨가 많이 쌀쌀해졌습니다.  주변에 감기 걸린 사람이 참 많습니다.  항상 감기 조심하시고, 건강 관리 잘하시고요.  오늘은 가벼운 주제로 글을 적고자 합니다. 외래에서 가장 많이 만나는 초진 환자분들은 주로 건강검진에서 소변에 이상이 있어서 오는 분들입니다. 그 중에서는 혈뇨가 가장 많고, 단백뇨, 세균뇨, 농뇨 등으로 자주 만나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소변검사 결과를 자세히 보면, 요비중이 … 더 읽기

담즙 배액을 하고있는 분이 계속 대사성 산증이 생긴다.

위장관 질환에서 산염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특히 담즙이나 췌장액을 배액하는 경우, 거기에는 bicarbonate 가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고, 외부 배액관까지 연결되어 있다면 bicarbonate rich fluid 의 massive loss 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volume depletion 까지도 일어나기 쉽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이 후 췌장액 배액관이나 담즙배액관을 거치시켜 놓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volume … 더 읽기

Dysbaric osteonecrosis (이압성 골괴사)

재미난 증례가 있어 간단히 기록해본다. 환자로 입원한 분의 흉부 엑스레이에서 보이는 위팔뼈가 너무 이상해서 문진해보았더니 본인이 잠수부로 오래 일을 했었고, 잠수부에게 나타나는 AVN 이 있다는 것이다. 이미 고관절 2개는 모두 인공관절로 수술을 했었고, 양쪽 어깨는 하중이 주어지지 않는 곳이라 수술하지 않고 경과를 보고 있다고 한다. 찾아보니 Dysbaric osteonecrosis 라는 병이 있다. 이것은 nitrogen bubbles 이 … 더 읽기

Hypercoagulable state 를 확인하기 위해 Protein C, S 를 확인하는 이유?

DVT 나 PTE, renal infaction 등의 환자를 보면 Hypercoagulable state 를 확인하기 위해 Protein C, S 를 검사를 하는데, 왜 할까? Protein C deficiency Protein C 는 vitamin K 의존 항응고 단백으로, 간에서 합성됩니다. thombin 이 thrombomodulin 에 붙으면 Protein C 를 활성화 시키고, 이는 혈소판 표면에서 Protein S 와 결합하여 활성화된 facter V 와 … 더 읽기

요로결석의 원인과 종류, 대사적 원인 검사 방법, 특히 24시간 소변

결석의 종류 약 80% 의 환자들의 요석은 calcium stone 으로 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Calcium oxalate 가 가장 많고, 드물게는 calcium phosphate 가 있다. 그 외 uric acid, struvite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cystine stone 이 있다. 같은 환자에서 mixed stone 이 있는 경우도 있다. Calcium stones 대부분 calcium oxalate 으로 구성되어 있다. calcium phosphate stone 은 calcium oxalate … 더 읽기

TMP-SMX (박트림) 은 왜 Cr 상승, hyperkalemia, hyponatremia 를 일으키는가?

약물의 배출 경로 및 특징 TMP-SMX 는 복용 후 첫 24시간 내 50% 의 약물이 소변으로 배출되어진다. SMX 는 약 70% 가 단백질에 결합되는데, 61% 는 aceylated, 15% 는 간에서 glucuronide-conjugated 되어 진다. TMP 는 변화 없이 배출되는데,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되고, 30% 까지는 6가지 inactive metabolites 로 대사된다.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30 mL/min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TMP-SMX 와 … 더 읽기

Zemplar 에 대해 (Paricalcitol)

PTH 가 칼슘과 인에 미치는 영향 Ca 이 적으면 PTH 분비를 촉진하며, PTH 는 Vit D 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장에서의 Ca, P 흡수를 향상시키며, bone turnover 를 증가시켜 혈중 Ca, P 의 농도를 올린다. 또한 신장에 작용하여 Ca 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반면, P 의 재흡수는 억제하여 소변으로의 P 배출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작용의 결과로 Ca 은 … 더 읽기

요로결석 및 수신증으로 내원한 59세 여자환자 증례

교통사고 후 갈비뼈 골절로 흉부외과에 입원했다가 퇴원하신 분이 외래 초진으로 내원하셨다.59세 여자환자였고, 가만히 보니 bone scan 에서 hydronephrosis 가 보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hydronephrosis 면 비뇨기과를 안가시고 왜 신장내과로 보냈을까하고 천천히 차트를 리뷰해보고 있는데, 이미 처음 응급실에서 찍었던 CT 에도 hydronephrosis 가 확인되었다. 요관을 따라서 내려가보면 중간에 결석이 보인다. 이분은 결석이 딱 걸려 있는데도 그 동안 … 더 읽기

눈꺼풀이 떨려요. (Twitching Eyelid)

투석실 환자 중에 눈꺼풀이 떨린다는 분이 있어 찾아보았습니다.눈꺼풀이 떨리는 것을 의학용어로는 Blepharospasm 이라고 합니다.Dystonia 의 한 종류로 Dystonia 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Blepharospasm 은 dystonia of periocular muscles 을 의미합니다.주로 30세 이후에 발병하며, 전신으로 퍼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Stress, Eye strain, 특정 약물이나 카페인, 건조한 눈, 수면 부족 등이 … 더 읽기

삭센다 개인 임상 시험 중…

집에서 파리 한마리만 돌아다녀도 무서워 하던 아내.영화에서 피뭍은 잔인한 장면이 나와도 기절 직전이었던 아내.살을 빼고자 하는 여자들의 마음은 없던 용기도 솟아나게 하는가 보다. 1년 6개월 전 삭센다 소식을 접하고, 노보노디스크 주식을 샀고,주식이야기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삭센다 이야기를 했고,“강남 사모님들은 삭센다 엄청 많이 맞는데…”그러면서 삭센다의 장점을 일반인 아내에게 설명하자주저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써보겠다고 하더니.매일같이 삭센다 처방해달라고 재촉한다.삭센다를 … 더 읽기

Acute tubular injury 의 유형 (분자 신장학) : 6. Biomarker 와 SCr

Apples and oranges: biomarkers and SCr 다른 의학의 분야들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종양내과 등) 은 급성 질환을 평가하는 여러가지 도구들이 있지만 신장내과의 경우 single assay 에 대체로 의존하는 모습이 있다. NGAL and KIM1 : provide an assessment of cell stress and damage, tubular injury biomarkers (cell viability) SCr and cystatin C : provide an assessment of steadystate kidney function (kidney function) … 더 읽기

Acute tubular injury 의 유형 (분자 신장학) : 5. Biomarker 를 통한 신장 손상의 진단

Diagnosis of injury by biomarkers 주로 NGAL 에 대해 살펴보자.   – secreted primarily from cells of the collecting duct and mTAL   – the most widely studied urinary biomarker of tubular damage (animal, human) 1) Ease of measurement 2) ‘Rapid on’ and ‘rapid off’ kinetics   Ngal gene : transcribed within 30 min of NF- κB activation by LPS   – … 더 읽기

Acute tubular injury 의 유형 (분자 신장학) : 4.Molecular anatomy of AKI subtypes

Molecular anatomy of AKI subtypes injured tubule 의 molecular changes 를 밝혀내는 것이 understanding the processes thatunderlie kidney damage 에 중요한 열쇠일 것이다. 저자가 밝혀낸 것들의 예시. Stimuli 에 영향을 받는 dominant regionsVolume depletion predominantly affected the inner medullaischaemia targeted the outer strip of the outer medulla영향을 주는 non- dominant segments 도 있더라.ischaemia- induced RNA expression of Havcr in the proximal tubule and Lcn2 in the distal nephron Anatomical evidence for injury subtypes 1) Toxin- induced tubular injury Several toxins injure very specific segments of the nephron Ex.1 ) myoglobin –> filtered through the glomerulus –> reabsorbed from the ultrafiltrate via the endocytic receptors megalin and cubilin in the proximal tubule –> death of theepithelia 를 유발. Ex.2 ) cadmium –> reabsorbed from glomerular ultrafiltrate via megalin –> injures the proximal tubule   – … 더 읽기

Acute tubular injury 의 유형 (분자 신장학) : 3.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AKI subtypes: a continuum or a collection? 의문 : whether damaged kidneys express distinct clinical, physiological, cellular and molecular patterns of acute injury or whether all instances of elevated SCr level refer to a common final pathway. Current KDIGO definitions : AKI 라면 모든 경우에서 특정 level 이상의 SCr 상승을 보여야 하는 것. definition defends a conceptual framework in which acute tubular injury occurs as a continuum mild volume depletion 부터 시작하여 severe, sustained ischaemic disease 까지의 spectrum 을 … 더 읽기

Acute tubular injury 의 유형 (분자 신장학) : 2. Serum Cr 은 Renal injury 를 평가하기에 문제가 많은 maker 다.

SCr : a problematic marker of renal injury SCr, is the commonly used marker of kidney function in the steady state. steady state has two requirements [ Mass- transfer equation ] Urine Cr × volume of urine ml/min = plasma Cr × glomerular filtration rate–> only valid at steady state for analysis of kidney function Serum Cr 이 왜 문제가 많은 marker 인가? 1) SCr is a delayed marker of dysfunction process of creatinine accumulation in blood to levels sufficient to define an abnormal test result generally takes 24–48 h from the point of injurydepending on a patient’s muscle mass and volume of distribution 이러한 상황이 환자의 급성기 care 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신장의 분비기능이 어떤지 명확하지 않음에도 Cr 이 괜찮다고 쉽게 항생제와 같은 신독성 약제들의 사용이나, 응급실에 온 환자에서 조영제를 사용하게 … 더 읽기

Acute tubular injury 의 유형 (분자 신장학) : 1. 서론

서론 Acute Kidney injury (AKI)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guidelines in 2012 define and stratify kidney injury on the basis of increases in serum creatinine (SCr) level and/or decreases in urine output. diagnosis is still only defined by the reduced excretory function of the kidney rather than cellular injury 이런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및 개념들은 역학적 연구와 임상적 연구에 도움을 주긴했다.AKI 기준에 만족한 환자들은 Cr 상승 하루만에 electrolyte abnormalities 가 명백하게 나타났다.또한 morbidity 와 mortality 는 Cr 상승의 정도와 지속기간과 연관이 있었다.따라서 serum Cr 의 수치로 환자 예후를 계층화 … 더 읽기

암에 대한 짧은 고찰

얼마전 만난 환자 한 분이 있는데, 1년만에 촬영한 흉부 엑스레이에서 폐 종양이 발견된 분입니다. 간혹 최근에 암이 진단된 환자들을 만날 때면,‘내가 이 병원을 00년전부터 계속 다녔었는데, 어떻게 암이 있는지 모를 수가 있지?’라고 푸념섞인 하소연을 들을 때가 많습니다. 참 안타까운 상황인데, 현실적으로 5분마다 짜여있는 외래 스케줄 상 깊이 있는 진료가 쉽지 않습니다. 신장내과라서 혈액검사, 소변검사는 자주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