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이 약하신 분이 조심해야 할 감기약 종류

검사에서 콩팥 기능이 나쁘다고 들으셨다면? 다음의 수치를 같이 기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일정하게 생성되어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크레아티닌이 높으면 소변으로 배출이 잘 안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다면 콩팥 기능이 나쁜 것입니다. 반대로 크레아티닌 수치가 낮다면 콩팥 기능이 좋은 것입니다. 다만 근육량이 많은 분이라면 크레아티닌의 생성 자체가 많아 콩팥 기능이 나쁜 … 더 읽기

심전도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심전도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70대 여성분입니다. 1주일 전부터 활동시 때 가슴답답함과 흉통이 있어 오셨습니다. 일을 할 때, 걸을 때 악화되고 쉬면 호전되는 통증입니다. 통증은 한 번 시작되면 5분 미만으로 지속되었습니다. 혈압은 140/70 분당심박수도 81회 정도로 측정되었습니다. 협심증이 의심되어 바로 흉부 X-ray 와 심전도를 촬영하였으나 별다른 이상소견은 없어보입니다. 다만 심근효소 수치 (Troponin I) 가 53.7 pg/mL (정상 참고치 32 이하) … 더 읽기

골다공증 이라고요? 골다공증에는 무슨 운동을 해야할까요?

골다공증이라면 운동은 필수 입니다. 운동은 뼈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 줍니다. 그런데 무슨 운동을 해야할까요? 진료실에서도 짧은 시간 운동에 대해 구체적인 상담과 지침을 드리기가 참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또 고령의 골다공증 환자분들도 많기 때문에 무작정 운동을 하시라고 말씀드리기도 조심스럽긴 합니다. 그러던 중 대한골대사학회 유튜브 채널에 운동 강도별, 단계별로 골다공증에 좋은 운동에 대한 영상이 있어 소개합니다.  (1) … 더 읽기

고프로락틴 혈증 (Prolactin 상승)

무월경으로 내원한 젊은 여성, 프로락틴 검사에서 높은 수치가 나왔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emia) 의 정의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emia) 의 증상 유즙분비, 무월경 또는 희발 월경, 불임, 성욕감퇴 및 성기능 저하, 시야장애, 두통 등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emia) 의 원인 Hyperprolactinemia 와 관련된 약제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emia) 의 치료 ※ Prolactinoma

심전도 심방세동 (AFib, AF,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의 분류 심방세동의 증상 심방세동이 오래되면 익숙해져서 두근거리는 증상을 못느낄 수도 있습니다. 심방세동의 진단 심방세동은 흔한 부정맥이면서 심전도로 진단이 쉬운 부정맥입니다. 심전도에서 뚜렷한 P파가 관찰되지 않고 RR 간격이 Irregularly irregular 하면 진단가능합니다. 심방세동의 치료 Rhythm control 심방세동이 발생한지 48시간 이내이면, 혈전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헤파린을 투여한 후 DC cardioversion 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의 … 더 읽기

상병코드 찾는 방법 4가지

(1) 의학계산기 상병코드 검색 페이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Open API 사용)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들어가면 쉽게 상병코드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접속 → 제도 정책 → 보험인정기준 (아래 링크 클릭하면 바로 접속) → 자료실 탭 선택 → 청구관련기준자료로 선택하여 검색 (아래 사진 참조) → 가장 최근 게시글 중 상병마스터 관련 글 클릭 → … 더 읽기

골다공증 치료 실패 정의 (IOF,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국제골다공증 재단)

골다공증 치료 실패 국제골다공증재단에서는 환자의 순응도 개선 및 이차골다공증 배제 후에도 다음의 세 가지에 해당하는 경우 치료 실패로 정의하고 치료법 변경을 고려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골표지자의 예상되는 변화 골흡수 표지자로 혈청 CTX, 골형성 표지자로 P1NP 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골표지자는 언제 측정해야 하는가? 골표지자 변화의 해석

착한 사마리아인 법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 2항)

제5조의2(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생명이 위급한 응급환자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응급의료 또는 응급처치를 제공하여 발생한 재산상 손해와 사상(死傷)에 대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그 행위자는 민사책임과 상해(傷害)에 대한 형사책임을 지지 아니하며 사망에 대한 형사책임은 감면한다. <개정 2011. 3. 8., 2011. 8. 4.>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가 … 더 읽기

골다공증 골절 위험군 분류

FRAX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취약 골절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폐경 여성, 50세 이상 남성의 경우 약물치료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FRAX 평가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골절 과거력 및 골밀도 T score, FRAX 에서의 10년 내 골절위험도를 기준으로 골절 위험군을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초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치료합니다. FRAX 에 포함된 위험인자 : 연령, 성별, 체중, 신장, 이전의 골절 … 더 읽기

이차성 골다공증

이차성 골다공증의 정의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나 약물 등으로 인하여 골량이 감소하거나, 골의 미세구조가 악화되어 발생한 골다공증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원인 감별을 위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 이차성 골다공증 원인 감별을 위한 검사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일 때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가역적 원인들 (6H, 6T)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일 때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가역적 원인들 (6H, 6T) 6H’s cause PEA (1) Hypovolemia (2) Hypoxia (3) Hydrogen ion (acidosis) (4) Hyperkalaemia (5) Hypothermia (6) Hypoglycemia 6T’s cause PEA (1) Tension pneumothorax (2) Tamponade cardiac (3) Toxins (4) Thrombosis, pulmonary (5) Thrombosis, coronary (6) Trauma

심실류, 심실자루 (Ventricular aneurysm)

심실류의 심전도 특징 심근경색이 발생할 경우 심전도엣는 ST 분절이 상승하고 이 후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ST 분절이 원래대로 하강하면서 Q 파가 남습니다. 그러나 심실류가 생기면 적절한 재관류가 생기지 못했다는 것이며, 심근경색 후 Q 파가 생겼으나, ST 분절이 하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상승해 있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CAST 연구 (Cardiac Arrhythmia Suppression Trial)

CAST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이 있었거나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VPC 를 줄이는 약제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여 진행된 연구이나, 오히려 항부정맥제 (Class Ic) 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망률이 더 증가하였습니다. 이 연구로 인해 심장에 기질적인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Class Ic 같은 항부정맥제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지하철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졌어요.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젊은 여성 분, 출퇴근 길에 만원 지하철 안에서 장시간 서있다가 갑자기 어지럽고 울렁거리로 기운이 없다가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며 진료실로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 검사를 해보면 특이 소견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미주신경성 실신이 그 원인입니다. 실신이란?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 후 특별한 조치 없이 저절로 의식이 … 더 읽기

표준 투석기록지 (전원의뢰서) 양식 (hwp 한글 파일, docx 워드 파일 다운로드)

대한신장학회 표준투석기록지 양식이 있으나, PDF 파일로 되어있어 편집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표준투석기록지 양식을 한글문서파일 (hwp 파일) 과 워드파일(docx 파일)로 제작하였습니다. 한글이나 워드에서 바로 적고 인쇄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 첨부파일 링크 참조)

심전도 ST segment (ST 분절)

심전도 ST segment ST segment : J point (QRS complex 의 끝) 에서부터 T wave 시작 전까지를 의미합니다. interval (간격) 은 시간을 재는데 segment (분절)은 따로 시간을 측정하지 않습니다. 기준선보다 상승했는지, 하강했는지가 중요합니다. ※ J point 를 기준으로 ST elevation, ST depression 측정 방법 ※ 시간의 흐름에 따른 STEMI 의 ECG 변화 ※ ST elevation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