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축(Axis)의 평가, 축 편위(Deviation), 축 회전(Rotation)
일반적으로 심전도의 Axis 라고 하면 심실의 전기 흐름 방향인 QRS axis 를 의미합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전기 흐름 방향입니다. 심근의 탈분극은 방향을 가지고 진행하는데, 이 방향을 Axis 라고 합니다. QRS complex 는 양쪽 심실의 동시 자극 및 수축을 나타내며, QRS complex 의 벡터는 심실 탈분극의 모든 벡터들의 총합입니다. QRS complex 의 벡터의 시작은 AV node … 더 읽기
불규칙한 심전도 리듬 해석 (Irregular rhythm)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리듬 (패턴을 예측하기 어려운 불규칙하고 혼란스러운 리듬) 을 심전도에서 확인했다면, 이러한 불규칙한 리듬은 여러 군데의 활성화된 자동능중심에서 유도된 것입니다. 이러한 불규칙한 심전도 리듬이 보인다면 3가지를 생각합니다. (1) 방황성 페이스 메이커 (wandering pacemaker), (2) 다중 이소성 심방 빈맥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MAT), (3)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Irregular rhythm (1) 방황성 페이스 메이커 … 더 읽기
병원 입원 중 협진 (컨설트) 시스템
병원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병원에 입원하는 창구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외래를 통한 입원, 응급실을 통한 입원입니다. 정말 드물게 사전에 이야기가 된 경우라면, 병원에서 병원으로 전원하면서 입원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입원을 한다는 것은 한 가지 진료과에 입원한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주진단에 맞는 과에 입원합니다. 예를 들어 간에 문제가 생겨 입원하면 소화기내과로, 심근경색이라면 심장내과 앞으로 입원하게 … 더 읽기
기대되는 당뇨약 조합 (Pioglitazone + SGLT2i)
요약 Pioglitazone SGLT2 inhibitor 예상되는 Net effect 뇌경색 ↓ ↓ ↑ ↓ ↓ 심근경색 ↓ ↓ ↓ ↓ ↓ 심혈관질환 사망률 ↓ ↓ ↓ ↓ ↓ 심부전 ↓ ↓ ↓ ↓ ↓ 수분 저류 (Fluid retention) ↑ ↓ – 혈압 ↓ ↓ ↓ ↓ 베타세포 기능 ↑ ↑ ↑ ↑ ↑ ↑ 만성신장질환 ↓ ↓ ↓ … 더 읽기
빈대 (bed bug) 특성, 피부질환, 치료 (사진 有)
최근 빈대가 이슈입니다. 미국, 캐나다, 영국 및 유럽 등지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5성급 호텔과 리조트에서도 발견이 되었다고 합니다. 주간에는 가구나 침실의 벽 틈새 또는 벽지 틈에 끼어들어 숨어 있다가 야간에 흡혈활동을 하며 저녁보자는 이른 새벽에 더 활발히 활동합니다. 주로 야간에 수면 중인 사람을 흡혈하기 때문에 침대 등 사람이 잠을 자는 위치와 가까운 곳에 주로 서식합니다. … 더 읽기
안타까운 폐암 진단 사례
50대 환자분, 처음 내원하신 분입니다. 왼쪽 어깨가 계속 아파서 정형외과에 가서 X-ray 를 촬영하였는데, 폐가 이상하다고 내과에 가보라고 해서 오셨습니다. 정형외과에서 촬영한 X-ray 사진을 스마트폰 사진으로 찍어오셨습니다. 스마트폰 액정으로 사진을 본 후 저는 속으로 ‘허걱’ 하고 짧은 비명을 삼켰습니다. 폐암일 것 같은 좋지 않은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X-ray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붉은 원안에 뭔가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걸핏하면 약이 품절이란다.
투석환자분들은 신장으로 약물의 배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약 종류와 용량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처방해야 합니다. 따라서 투석하시는 분들에게 처방하는 약의 종류는 제한적입니다. 아무약이나 다 쓸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요새 약을 처방하면 심심치 않게 듣는 말이 있습니다. “약국에서 전화왔어요. OOO약 품절이에요. 다른 약으로 처방달래요.” 몇 년전 코로나가 한창이던 시기에는 국가간 무역과 운송이 제한되어 시나칼셋이라는 부갑상선호르몬을 억제하는 … 더 읽기
당뇨병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당뇨병 진료지침 2023)
당뇨병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1. 당뇨병 진단 즉시 생활습관교정과 자기관리 방법을 적극적으로 교육하고 지속하도록 모니터링한다. [무작위대조연구, 일반적권고] 2. 약물 선택 시 동반질환(심부전, 죽상경화심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여부, 혈당강하 효과, 체중에 대한 효과, 저혈당 위험도, 부작용, 치료 수용성, 나이, 환자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 비용 등을 고려한다. [전문가의견, 일반적권고] 3. 심각한 고혈당(당화혈색소 >9.0%)과 함께 고혈당으로 인한 증상(다음, 다뇨, 체중감소 등)이 동반된 경우는 인슐린치료를 시행한다. [전문가의견, … 더 읽기
어떤 검사를 해야할까? (3) 내시경과 초음파 그리고 CT
복통이 있거나 속이 쓰리고 불편한 느낌이 지속되어 뭔가 검사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 때 흔히 생각나는 검사가 내시경입니다. 외래로 내원한 환자 분들 중에서는 내시경을 했으니 초음파나 CT 검사를 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고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아 기본적인 내용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내시경 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위장과 대장의 점막 병변을 확인하기에 좋은 검사법입니다. 쉽게 할 … 더 읽기
어떤 검사를 해야할까? (2) 혈당과 당화혈색소
건강검진 때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혈당은 얼마 나왔어요? 당뇨가 있나요?건강검진 기본 항목 중에 ‘혈당’ 검사가 있습니다.보통 건강검진시에는 금식 후 오시기 때문에 공복혈당입니다.정상 공복 혈당은 100 mg/dL 미만인데, 100을 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따라서 본인이 당뇨인지 아닌지 궁금해하십니다. 당뇨를 확인하려면 혈당 뿐 아니라 당화혈색소를 같이 봐야한다. 결론적으로 공복혈당이 100을 넘는다고 해서 당뇨는 아닙니다.그런데, 가족 중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운동하다가 갑자기 배가 아파 병원에 오신 분
70대 후반의 남자분이십니다. 당뇨도 심장질환에 고령이지만 본인의 건강을 착실히 관리하셔서 안정적으로 투석치료를 이어가시는 분입니다. 항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서 혈당과 혈압도 꾸준히 체크하셔서 투석하러 오실 때 알려주십니다. 그러다보니 혈압과 혈당의 변동을 빠르게 알 수 있어서 그때그때 약물조절을 하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금요일 평소와 같이 투석을 잘 하고 귀가하셨는데, 다음날 운동을 하다가 갑자기 복통이 생겨 토요일에 병원으로 오셨습니다. … 더 읽기
48시간 초과 홀터기록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제2022-26호(행위) (2022. 2. 1) 48시간 초과 홀터기록 검사인 나725다(2) 심전도 검사-심전도 감시-홀터기록 나) 48시간 초과 7일 이내와 다) 7일 초과 14일 이내는 다음의 경우에 요양급여함. – 다 음 – 가. 적응증 1) 부정맥 증상이 있거나, 심전도에 부정맥이 기록되어 장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2) 반복되는 실신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한 경우 3) 부정맥에 대한 시술적 치료(전극도자 절제술, 냉동 … 더 읽기
어떤 검사를 해야할까? (1) 갑상선 검사
갑상선 검사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기본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따라서 갑상선과 관련된 증상이 있거나, 혹은 없더라도 갑상선에 관한 검사를 권유드리는 경우가 있습니다.“혹시 갑상선 검사 해보신적 있으세요?”이렇게 여쭤보면, 대부분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목을 만지면서) 전에 검사했는데 갑상선에 혹이 2개 있다고 들었어요.”이렇듯 갑상선 검사하면 대체로 갑상선 혹을 확인하는 초음파 검사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 2가지 … 더 읽기
프로코라란 (Ivabradine) 보험급여기준
고시 제2023-23호 (2023. 2. 1)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NYHA Class Ⅱ ∼Ⅳ) 중동리듬(sinus rhythm)을 가지고 / 심박수가 분당 75회 이상이며 / LVEF가 35% 이하인 환자
엔트레스토 (Entresto : Sacubitril-Valsartan) 급여기준
고시 제2023-120호 (2023. 7. 1)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 (NYHA class Ⅱ∼Ⅳ) 중좌심실 박출률(LVEF)이 40% 이하인 환자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서 내원하신 50대 남자 진료상담 사례
검진에서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서 오신 분입니다.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1달전 타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사를 하시고 크레아티닌 수치가 1.8, 추정 사구체여과율이 42 정도로 낮게 나와 결과지를 들고 내원하였습니다. 왜 신장기능이 나쁘다고 나왔을까요? 그 원인을 찾기 위해 탐정모드로 돌입하여 분석합니다. 처음 오신분이라 정보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건강검진센터에서 진행한 자료를 모두 가지고 오셔서 다행입니다. CD 까지 가지고 오셨습니다.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