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임상진단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은 보통 가족력과 나이에 따른 낭의 개수를 가지고 임상적으로 진단합니다.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의 가족력이 있는 16-40세 환자의 경우 MRI 에서 양측 합하여 총 10개 이상의 낭이 있는 경우 100%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다낭콩팥병 진단을 배제할 목적으로 초음파를 시행하는 경우 40세 이전의 젊은 나이에서는 음성 예측도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40세까지는 반복적으로 영상검사를 통해 낭의 유무를 판별하는 … 더 읽기

지난 주말 아이 들쳐업고 응급실간 일

사건의 시작 초등학교 1학년된 아들이 있습니다. 어렸을때 모세기관지염을 앓은 적이 있었고 그 때 한번 고생하긴 했으나 이 후로 문제없이 잘 지냈습니다. 몇 일전부터 콧물이 생기더니 간간히 기침도 합니다. 토요일에 소아과를 갔었는데 이미 접수 마감이라 근처 이비인후과에서 겨우 진료를 받았습니다. 오후가 되어 저는 진료를 마치고 집으로 왔습니다. 아들을 보니 컨디션이 영 좋지가 않습니다. 청진을 해보니 전체 … 더 읽기

세이노의 가르침 : 좋은 의사를 만나는 법 – 개업의를 제대로 고르려면

‘세이노의 가르침’ 이 책은 너무나 유명한 책입니다. 경제부문 베스트 셀러 1위를 계속 기록하고 있는 책입니다. 이번 3월에 새로 개정판이 나온다고 하여 예약구매 했던 책입니다. 내용 중 ‘좋은 의사를 만나는 법’ 챕터가 있어 요약해보았습니다. 1. 건물 자체를 보아야 한다. 병원 시설이 호화롭다면 당연히 의사는 병원을 꾸미는데 돈을 처발랐다는 뜻이고 그 돈을 메꾸기 위해 환자의 건강과 재정 … 더 읽기

흉부 X-ray 후려치기(2) : 심장과 관련된 X-ray 소견 (CT ratio, LA enlargement, LV enlargement, Rt. heart enlargement, Cephalization, Interstitial edema, Alveolar edema, Pericardial effusion)

* 인용 출처 : Felsons Principles of Chest Roentgenology, 3rd ed CT ratio (Cardiothoracic ratio) Cardiac enlargement 를 판단하는 방법CT ratio = [심장의 horizontal width] / [Thorax 의 widest internal diameter]0.5 (50%) 가 기준 (upper limit of normal)(AP image 는 cardiac magnification 으로 사용 못함.) LA enlargement : 앞에서 봤을때 margin 이 convex 해지고 laterally, … 더 읽기

알아두면 쓸모있는 투석실 빈혈검사 지표들의 개념 (Hb, Hct, MCV, MCH, MCHC, Serum iron, TIBC, Transferrin saturation, Serum ferritin)

투석 환자에서 빈혈은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하게 EPO 를 주어야하고 때로는 IV iron 도 같이 주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석실에서 의료진으로 근무한다면 EPO 와 IV iron 의 보험기준은 무조건 외우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왜 보험기준에서 Hb 과 Hct 이 나올까요? IV iron 보험기준에서 Ferritin 과 Transferrin saturation 은 무슨 개념이길래 기준에 넣어놨을까요? 개념이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 더 읽기

Beta blocker 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

교감신경 수용체 간단 정리 Beta blocker 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 출처 :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11/e) 158-159p Propranolol 같은 beta blocker 는 교감신경을 억제합니다. 교감신경은 lipolysis을 자극하는데, beta blocker 는 이 과정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대사와 관련해서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나 beta blocker 는 간에서의 glycogenolysis 과정은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lipolysis 억제, glycogenolysis 부분적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살이 찌면 건체중도 올려야 한다? (건체중과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은 개념)

“살이 찌면 건체중도 올려야 한다?” 투석에 익숙하신 분이나 투석을 받으신지 오래 되신 분에게는 익숙한 개념일 수 있으나, 투석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는 분이라면 이런 체중 개념이 생소할 수 있습니다. 건체중의 정의는 여분의 수분이 없는 정상체중을 의미합니다. 투석후 저혈압이나 혈액량 감소 증상이 없는, 견딜 수 있는 가장 최저의 체중 입니다. 투석 후 건체중에 잘 맞추면 몸이 … 더 읽기

만성신장병 분석심사 대상 및 지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심사평가체계 개편을 위한 분석심사 선도사업 지침 제 7차 개정 [원문포함])

분석심사 선도사업 대상 만성신장병 분석심사 대상 및 지표 임상영역 분석심사지표 요약 ‘N183 만성신장병3기’가 주상병 또는 제1부상병으로 입력된 경우   – 방문지속환자비율  – 1년 이내 신장기능검사 시행률(Cr/요일반 검사 모두 시행시 인정)  – ARB/ACEI 처방률 임상영역 분석심사 지표로 포함 ‘N184 만성신장병4기’가 주상병 또는 제1부상병으로 입력된 경우   – 방문지속환자비율  – 6개월이내 신장기능검사 및 빈혈검사, 혈청전해질검사(포타슘/인/총칼슘) 시행률  – ARB/ACEI처방률 * 2022년 4분기부터 분석심사가 시작되어 … 더 읽기

항문가려움 (Pruritus ani) 의 원인

항문가려움 1~5% 정도의 사람들이 겪고 있다.남자 : 여자 비율은 4:1 정도40~60대에 주로 발생 항문가려움의 원인 * Primary (idiopathic) pruritus ani :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 Secondary pruritus ani : 전체 케이스의 25~75% 차지  –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으로 구분 (1) 항문직장 질환 : hemorrhoid 와 anal fissure (가장 흔하다)  – 그 외 anal fistula, abscess, proctitis, … 더 읽기

하부요로증상의 약물치료 (0) : 증상 표현, 진단 검사

정상을 알자! 1일 총 소변량 : 약 1.5 ~ 1.7L1회 평균 소변량 : (남) 200 ~ 250mL, (여) 150 ~ 200mL하루 정상 배뇨 횟수 : 약 6 ~ 7회 하부요로증상 Storage Symptoms (male and female) ; 저장증상   – Urgency with/without urge urinary incontinence (UUI)  – Nocturnal frequency  – Nocturnal polyuria – 방광문제가 아닐 수도 있어 구별 필요 Obstructive … 더 읽기

하부요로증상의 약물치료 (3) : Phosphodiesterase type-5 inhibitors, Betanechol chloride

Low urinary tract symptom 에 사용하는 약제들 Phosphodiesterase type-5 inhibitors (PDE5i) PDE5i 는 발기부전 치료제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약제입니다. (비아그라, 시알리스 등) 발기는 NO 로 인해 음경해면체의 smooth muscle 이 이완하여 혈액이 고이면서 발생하는데, NO의 작용은 PDE5 효소에 의해 사라집니다. 이 PDE5 효소를 억제한는 약물입니다. 발기 장애는 보통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하는데, 퇴행성 질환으로도 생각할 수 … 더 읽기

가성저나트륨혈증 (Pseudohyponatremia) 이 생기는 이유 (isotonic hyponatremia)

저나트륨 혈증의 분류 Isotonic (serum Osm 정상 : 가성저나트륨혈증, pseudohyponatremia)   – Hyperproteinemia, Hyperlipidemia 원인 Hypertonic (serum Osm 증가 : Translocational hyponatremia)   – Hyperglycemia, Mannitol 원인 Hypotonic (serum Osm 감소 : 진정한 의미의 hyponatremia)   – Euvolemic hyponatremia (ECF 정상) : SIAD, Hypothyroidism, Adrenal insufficiency   – Hypovolemic hyponatremia (ECF 감소) : Na+-wasting nephropathy, … 더 읽기

하부요로증상의 약물치료 (2) : Desmopressin (DDAVP), Selective alpha-1 blockers, 5ARI (5alpha-reductase inhibitor)

Low urinary tract symptom 에 사용하는 약제들 Desmopressin (DDAVP) : 미니린정 항이뇨효과가 있는 합성 바소프레신, 혈관 수축효과는 없음.Nocturnal polyuria 때 사용 (배뇨일기로 Nocturnal frequency 와 감별, 노인인구의 3% 이상, 남녀 비슷)효과 : 요삼투압 증가, 소변량을 감소부작용 : 저나트륨혈증 (약제 사용 2일 전 후로 혈중 나트륨 농도 확인, NSAIDs 같이 쓰면 더 악화) * Desmopressin (미니린정 등) 보험인정기준 (고시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건체중 500g 만 올려주면 안되나요?

“저…체중 500g 만 올려주면 안되나요?”정말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살짝 수줍어 하면서 말씀하십니다. “체중이야 고정된 것이 아니니까 당연히 올려드릴 수는 있죠. 우리 몸이 기계는 아니잖아요. 근데 무엇때문에 체중 올리고 싶으세요? 혹시 지난번 투석 끝나고 힘드셨어요?” “아니요. 그런 것은 아닌데 체중 맞춰서 오는게 힘들어서요. 조금만 더 먹고 싶어서요.” 그런데 잠깐!건체중 500g 을 올린다고 음식 500g 을 더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투석실은 당뇨발과 전쟁 중

투석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은 당뇨병입니다. 그러다보니 투석실에서는 당뇨발을 겪고 계신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당뇨발은 대표적인 당뇨병의 합병증입니다. 당뇨 때문에 신경이 망가지다보니 (신경병증) 감각이 둔해져 쉽게 발에 상처가 나기도 하고 부적절하게 하중이 가해져 궤양이 생깁니다. 게다가 혈관 상태도 좋지않아 (혈관병증) 혈액의 순환이 원할하지 않다보니 상처가 잘 낫지않고 악화되어 감염, 궤양, 발의 변형 등을 유발합니다. 상처는 … 더 읽기

하부요로증상의 약물치료 (1) : antimuscarinics (항무스카린 약물) Oxybutynin, Propiverine, Tolterodine, Solifenacin, Trospium, Fesoterodine / Beta3-agonist (mirabegron)

Low urinary tract symptom 에 사용하는 약제들 Urgency 배뇨일기에서 방광용적이 대부분 감소, 빈뇨 동반절박감과 동반된 요실금이 있는 경우가 있음.방광염이나 방광암 등 다른 원인이 없으면 OAB 로 진단Antimuscarinics 또는 Beta3-agonist 치료 필요(* 반응이 없는 경우 : urodynamic study, imaging study (+ cystoscopy), percutaneous tibial nerve stimulation, Botulinum toxin bladder injection 등) 과민성방광 과민성방광 : 절박성요실금 유무에 … 더 읽기

투석으로 제거되는 고혈압약 / 제거되지 않는 고혈압약 : ACE inhibitor, ARB, Aldosterone antagonist, Beta blocker, Calcium channel blocker, Alpha-adrenalgic blocking agents, Vasodilator

Pharmacokinetics of select antihypertensive agents in hemodialysis ACE inhibitor 대부분의 ACEi (fosinopril 은 제외) 는 투석으로 제거됩니다. 투석으로 제거된다고 해도 대부분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한편 투석 중 제거되므로 투석 중간에 발생하는 저혈압 이벤트를 막아주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보통 ACEi 는 매일 투여가 원칙이나, lisinopril 같은 경우는 반감기가 말기신부전환자에서 길어지기 때문에 (주로 신장 배설하므로) 일주일에 3번만 투여해도 혈압조절효과가 좋습니다. 만일 약물 … 더 읽기

RAA system (renin-angiotensin-aldosterone 시스템)

RAA system (renin-angiotensin-aldosterone 시스템) Renin 사구체 안으로 들어오는 동맥인 afferent arterioles 에 있는 세포들 (juxtaglomerular cells) 은 renin (proteolytic enyme 의 일종) 의 생성과 저장, 분비가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renin 의 방출에는 3가지 중요한 자극요소가 존재합니다. (1) Perfusion pressure afferent arteriole 은 high-pressure baroreceptor 로 작동하는데, 신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의 압력이 감소하면 renin 의 분비가 자극받습니다. 반대로 압력이 상승하면 renin … 더 읽기

항진균제 Antifungal agents (3) : 항진균제의 사용, 예방적, 경험적, Invasive candidiasis, Esophageal candidiasis, Invasive Aspergillosis, Mucomycosis

Uses in antifungal agents 1. Propohylaxis ; all patients with neutropenia (before infection) 2. Pre-emtive or empirical ; Persistent neutropenic fever + alpha (Galactomannan?, Beta-glucan?, PCR?, HRCT?) * Empirical Tx. 를 시작하는 경우 1) High risk patients with prolonged neutropenia (10일 이상)2) Febrile after 4~7 days of broad-spectum antibiotic Tx. * Pre-emptive Tx. 를 시작하는 경우 1) … 더 읽기

항진균제 Antifungal agents (2) : 항진균제의 종류별 특징, Amphotericin B, Azoles, Echinocandins, 5-FC, 부작용

1. Amphotericin B   – Polyene 계열  – AmBd, LAmB, ABLC, ABCD 가 있다.  – Broad spectrum 을 가지고 있다. : Candida, Cryptococcus, Aspergillus, Mucorales  – Fungicidal for both CAndidia and Aspergillus  – AmBd 의 infusion 시 toxicity 로 LAmB 가 개발되었다.* UTI 때는 Amphotericin B deoxycholate 를 사용해야 함. (urine penetration 이 높기때문) PK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