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 경부 림프절병증

경부 림프절병증의 원인   매우 다양한 원인이 있다. –> CHICAGO 상기도 감염에 의한 Benign Cervical LAP (Reactive LAP) 가 가장 흔하다. 병력청취 : Chronic 한지 Acute 한지 확인하며, Age, Sex, B symptoms 유무, 고양이 접촉력, 여행력, 직업력 등을 조사해야 한다. Splenomegaly 가 동반되어 있다면, metastatic cancer 의 가능성은 적다.Infectious mononucleosis (50%), Lymphoma, Leukemia, Kikuchi’s disease 등을 … 더 읽기

[MI] 요로감염

1. 무증상 세균뇨   증상이 없는 환자에게서 요배양검사를 2회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세균이 10^5/ml 이상 동정된 경우를 지칭하며, 일반 성인에게서는 통상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없으며, 항생제 치료도 필요하지 않으나, 선별검사 및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1) 임산부, (2) 침습적 비뇨기 시술 전 (요로계 수수술, 스텐트 삽입, 경요도전립선 절제술, 요로결석 제거술 등) 이다.  * 임산부의 경우 physiologic hydronephrosis 가 있으며, APN 으로 … 더 읽기

[MI] 성인 예방접종

예방접종의 일반 지침 * 3회 접종의 주된 이유 : 1차 접종 후 만들어지는 항체는 많지 않다. 2차와 3차 접종을 통해 더 많은 양의 memory cell 과 항체를 만들기 위함이다. 즉 다회 접종일 때 시기를 놓치더라도 예정된 횟수를 채워서 맞으면 된다. 하지만 최소 접종기간은 지켜야 한다. (당겨 맞으면 무효이다.) 교차접종 교차접종 가능 : 교차접종 후 방어면역획득과 … 더 읽기

[MI] 항균요법 (항생제 사용) 의 원칙

항균요법의 (항생제 사용) 원칙 Acute pharyngitis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 : Centor criteria 3가지 이상이면 bacterial infection 을 시사 (positive predict value 가 약 60%) 항생제를 사용. Modified Centor score (McIsaac Score) 계산기 Acute sinusitis 항생제 사용하는 경우 Infectious diarrhea   특정 종류의 E.coli, Salmonella, Shigella, Campylobacter 등의 감염일 경우 항생제 사용이 도움이 된다. significant fever, … 더 읽기

[MI] 세균 (박테리아) 요약

GPC 1. Staphylococcus 2. Streptococcus 3. Enterococcus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낮으나, 면역 저하상태에서 UTI, IE, 복강내감염, 뇌수막염 가능 (기회감염) * beta-hemolytic 은 완전 용혈, alpha-hemolytic 은 부분 용혈, 배지에 녹색을 띠게되어 녹색연쇄구균이라고도 하는 S. viridans. 사실 Viridans 는 특정 균이라기 보다 그룹이름. GPB (= GPR, 그람양성간균) GNC GNB 1. 폐렴 그룹 2. 장염 그룹 3. 기타 (파퍼프페 … 더 읽기

[MN] 신장 초음파 (Kindey Ultrasonography)

Probe maker 의 위치 약속  환자가 누워있을 때는 marker 가 오른쪽, 머리쪽으로 방향을 두는 것이 원칙이며, 엎드려 있을 때는 왼쪽, 머리쪽으로 방향을 둔다. Normal sonographic findings of kidney   신장 실질의 두께는 약 1~2cm 정도이며, 1cm 미만일 경우 CKD가 의심되는 소견이다. Renal pole 의 실질 두께는 다른 부위보다 두꺼우며, 신장의 크기는 연령, 성별, 신체 체형, 특히 … 더 읽기

[MN] 혈액투석 중 발생가능 한 특수 상황 몇 가지

혈액투석 중 발생가능 한 특수 상황 몇 가지 Dialysis Disequilibrium Syndrome  DDS 예방법 Hungry bone syndrome (post-parathyroidectomy hypocalcemia)   severe hyper-parathyroidism 환자에서 parathyroid gland를 절제하였을 때 Bone 쪽으로 과도하게 calcium influx 를 일으키는 것. (Reversal of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20~70% 정도에서 발생하며, Hypocalcemia, Hypophosphatemia, Hypomagnesemia 를 일으킬 수 있다.  Management Dialysis-associated pericarditis   원인을 잘 … 더 읽기

[MN] 일차성 사구체신염

Glomerulonephritis Glomerular hematuria   Hematuria 는 HPF 상에서 3개 이상의 RBC 가 보일 때 혈뇨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dipstick 상에서 positive 가 나왔다고하여 hematuria 는 아니다. 사구체성 질환에 좀 더 특이적인 소견으로는 Dysmorphic RBC, Proteinuria, Cellular cast 가 있다. Glomerular hematuria 가 의심된다면 Renal Bx. 가 필요하다.   정상 Glomerulus 의 구조는 우선 Capillary 가 … 더 읽기

[MN] 당뇨병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이 의심되는 사람에게서 꼭 필요한 검사는 Diabetic retinopathy 를 확인하기 위한 안저검사이다.   당뇨병성 신장병의 가장 주요한 현미경적 특징은 GBM 이 두꺼워져 있다는 것이며, Mesangial expansion 이며 결국 이로 인해 nodular sclerosis 가 발생한다. 보통 GBM 의 두께는 성인의 경우 250 ~ 450 nm 정도이며, 약 +-50 정도로 남여간 차이가 있다. 태어났을 … 더 읽기

[MN] 단백뇨 및 혈뇨

단백뇨 및 혈뇨 중점체크사항 혈뇨   Microscopic RBC 3-5/HPF 이상을 보통 혈뇨라 정의하는데, 그 중 Dysmorphic RBC 가 중요하다. 사구체성 혈뇨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센터마다 다르지만, 보통 80% 이상은 나와야 의미있게 본다. 또한 단백뇨가 동반되어 있다면 사구체성 혈뇨를 좀더 의심할 수 있다. 혈뇨의 감별 진단   가성혈뇨, 질분비물 오염, 사구체성 혈뇨, 비사구체성 혈뇨, 요로감염, 결성, 악성종양, 낭성질환, 신경색증, … 더 읽기

[ME] 쿠싱병, Cushing’s disease

최근 쿠싱병 의심되는 분이 있어 HDDST 를 시행하는데, Classic test 와 8mg overnight DST 중에 어떤 것이 정확한지 의문이 들어 자료를 찾아보던 중 좋은 내용이 있어 발췌한 내용이다. Cushing Disease John D.C Newell-Price, in The Pituitary (Fourth Edition), 2017 쿠싱증후군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표이다. Cortisol 과다 상태가 확인이 되면 그 Cortisol 이 어디에서 나오는지를 생각해야 하겠다. … 더 읽기

[ME] 갑상선암

갑상선암 갑상선암의 가족력, 방사선 노출력 확인하자. 악성 갑상선 결절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 FNA 검사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Benign 은 malignancy 0~3%, non diagnostic 은 악성 확률이 1~4% (재검 권유) 있으며, AUS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or Follicular lesion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의 경우 5~15% 까지도 악성 확률이 있으므로, Repeat FNA 가 … 더 읽기

[ME] 경동맥 초음파 후려치기

Carotid Ultrasound ICA 의 Stenosis 정도의 파악 Consensus Criteria – NASCET criteria   NASCET criteria 가 중요하다. 외우지는 못할테니 출력하여 초음파 주위에 붙여놓고 매번 검사시마다 확인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여기에는 Primary parameter 가 있고, Additional parameter 가 있는데, 예를 들어 ICA 의 PSA (Peak systolic velocity) 가 정상인 경우 125 cm/sec 미만이 되고, 70% 이상의 … 더 읽기

[MN] 만성콩팥병 (CKD)

만성 콩팥병 (CKD) * KDIGO guideline 참고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   혈액투석 (6만) > 신이식 > 복막투석 순으로 많으며, 보통 우리나라의 8만명 이상의 환자가 신대체요법을 받고 있다. 신부전의 원인은 당뇨병 (48%), 고혈압, 사구체 질환 순으로 많다. 만성 콩팥병에서의 신장 크기   우리나라 성인의 신장 크기 평균은 약 10.50cm/10.65cm 에서 +- 0.8cm 정도 되며,(9cm 이상되면 정상으로 본다.) 대게 ESRD 환자의 … 더 읽기

[ME] 비만

비만 (Obesity)   비만은 지방 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이며, 여러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 질병으로 보아야 한다. 비만의 기준으로 대한 비만학회의 기준은 BMI 23 이상이 overweight, 25 이상이 obesity 로 볼 수 있다. (다른 학회 기준은 각각 25, 30 이다.) 하지만 BMI (체질량지수)는 Paradox 가 있는데, 실제 질병과 관련된 morbidity 와 mortality 를 정확히 반영하지 … 더 읽기

[ME] 갑상샘 기능 항진증

갑상샘 기능 항진증 * 정의 * 원인질환에 따른 갑상선중독증의 분류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동반하는 경우 1. TSH 과다 분비 : 종양성 (TSH 분비 종양) / 비종양성 (갑상선호르몬에 대한 뇌하수체 내성) 2. 비정상 갑상선자극물질 : 그레이브스병, 영양막종양 (hCG), 임신입덧 (hCG), 입신성 갑상선중독증 (hCG 에 과반응) 3. 갑상선 자율성 : 중독성 선종, 중독성 다결절 갑상선종, 비자가면역성 상염색체우성 갑상선기능항진증 … 더 읽기

[ME]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1. 당뇨병의 분류 2. 당뇨병 치료 목표 권고안 (비임산부 성인)   HbA1c 는 7.0% 미만이 되게 하며, 공복혈당은 80~130, 식후 혈당은 180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권고안이나, 반드시 이러한 목표는 개별화 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고위험군은 덜 intensive 하게 care 한다.) HbA1c 7.0% 은 대략 평균 혈당 154가 되며, 1% 전후로 약 … 더 읽기

[ME] Diabetes Amyotrophy

Diabetes Amyotrophy 최근 환자 중에 근위부의 근력 저하 및 근 위축이 있으며 신경과 협진하 diabetic amyotrophy 의심된다는 분이 있어 이에 관해 찾아보았다.   세계적으로 당뇨병을 앓고있는 사람의 약 반수이상이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 을 앓고 있지만, 가장흔한 DPN의 양상은 symmetrical, predominantly sensory, polyneuropathy with distal onset and slow proximal progression 이다. 하지만 몇명의 환자 들은 … 더 읽기

[ME] 도플러 후려치기

1. Doppler principle   도플러란, source 와 receiver 사이에서 움직임에 따라 frequency 와 wavelength 가 변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고정된 reflector 가 고정된 transducer에 일정한 크기의 Frequency 와 Wavelength 를 발산한다면, transducer 로 다가가면 frequency 는 높아지고, Wavelength 는 짧아지며, 반대로 transducer 에서 멀어지면 frequency 는 낮아지고, Wavelength 는 길어진다. Doppler shift (Fd = Fr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