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Cushing’s syndrome 은 Glucocorticoid(e.g. 코티솔) 과잉으로 인한 만성노출, 이로 인한 임상 양상을 의미하며, Cushing’s syndrome 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 양상으로는 쉽게 멍이들고, Central obesity, Proximal myopathy, Purple striae (살찐 사람과는 다른 자색선조), Amenorrhea, Hirsutism, Impaired glucose tolerance, Diastolic hypertension, Osteoporosis 등이다. ACTH-의존성 vs ACTH-비의존성   ‘ACTH-의존성 (e.g. 뇌하수체 선종(Cushing’s … 더 읽기

[ME] 갑상샘 종양 및 결절

Thyroid incidentaloma   Thyroid incidentaloma 는 우연히 발견된 종괴로 USG, CT, PET, MRI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를 말한다. 초음파를 안했으면 초음파를 우선 시행하고, 초음파에 따라 FNA 결정한다. PET에서 발견되었는지, 기타 가족력, 방사선 치료력 등을 고려해서 치료 계획을 결정한다.  특히 PET incidentaloma 가 중요한데, 약 2~2.5% 에서 발견되며, 악성률은 difuse hot uptake 가 있을 경우 20~30% … 더 읽기

[ME] 이차성 고혈압 –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이차성 고혈압 24시간 활동 혈압을 재는데 특징적인 것은, 이 검사를 통해 화이트 코트 효과를 배제할 수 있으며, 저녁 혈압이 원래 떨어져야 하는데 오히려 올라간다면, non-dipper 또는 reverse dipper 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secondary HBP 중에서 obstructive sleep apnea 혹은 renovascular HBP 등을 의심 할 수 있겠다. 고혈압 환자의 15% 는 이차성 고혈압이다. (소아에서는 50%, 40세 미만 성인에서는 30% 정도 된다.) 가장 … 더 읽기

[ME] 골다공증 골밀도 BMD 검사의 해석

서론 처음 적는 글이라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블로그는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의 목적은 아니다. 개인적인 정보의 정리, 그리고 나 보다 헷갈려 하는 사람들을 위해 후려치기 식의 쉬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병원에서는 골밀도 검사를 자주 하지만 그 해석이 참 어렵다. 어렵다기보다는 중요하게 생각을 안하는 경우가 대다수 인 것 같다. 골다공증으로 사람의 생명이 좌지우지 되지는 않으니깐. 그래도 알고보면 유용하다. 주변 지인들도 골다공증에 대해 관심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