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al Q, Pathologic Q, Pseudo Q wave

Septal Q wave 원래 V1 의 QRS 를 보면, 심실에서 전기 흐름이 V1 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이므로 하향파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QRS 초기에 심실 중격에서 잠깐 V1 방향으로 오는 흐름이 있어 살짝 올라갔다가 내려갑니다. 즉 심실 중에서 가장 먼저 탈분극이 일어나는 부위가 심실중격 왼쪽이며, 여기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흐름이 잠깐 있어 상향파를 보이고 그 이 후에 깊은 … 더 읽기

심전도 PR interval (PR 간격)

PR interval (PR 간격) 이란? PR interval 은 P wave 시작시점으로부터 QRS 파의 시작시점까지 간격입니다. 전기가 처음 심방세포를 자극한 시점 부터 처음 심실세포까지 도달하는 시간으로 방실전도시간을 의미합니다. 심방과 심실은 서로 전기가 통하지 않으며 절연된 상태입니다. 다만 유일한 전도로인 His 속을 통해야만 심실로 전도됩니다. 전기가 방실결절(AV node), His 속을 지나는 동안 시간이 필요하며 이 시간이 주로 … 더 읽기

심전도 P wave (LAE, RAE, BAE)

정상 동율동 (sinus rhythm) 은 SA node (동결절) 에서 규칙적으로 전기신호를 만들어 심방, 심실을 지나면서 심장 박동을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입니다. 그러나 SA node 에서 만드는 전기의 강도는 너무 약해서 체표면의 심전도 전극까지 도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심전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심전도의 P wave 는 전기가 심방을 지날 때 나타나므로 SA node 에서 만드는 … 더 읽기

LBBB (좌각차단, Left bundle branch) 의 심전도 기준 (feat. LAFB, LPFB)

LBBB 의 심전도 기준 LBBB 에서는 심실 탈분극 초기의 중격에서 발생하는 전기 흐름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심실중격 전기 흐름은 오른쪽에서 좌측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I, aVL, V5, V6 에서 보였던 정상적인 septal q wave 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V1 에서는 monophasic S (QS파) 또는 아주 작은 r파 다음에 S파가 나오는 rS 파가나타납니다. I, … 더 읽기

RBBB (우각차단, Right bundle branch) 의 심전도 기준

RBBB 의 심전도 기준 RBBB에서 토끼 귀가 만들어지는 원리 (feat. septal q wave) 원래 V1 의 QRS 를 보면, 심실에서 전기 흐름이 V1 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이므로 하향파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QRS 초기에 심실 중격에서 잠깐 V1 방향으로 오는 흐름이 있어 살짝 올라갔다가 내려갑니다. 즉 심실 중에서 가장 먼저 탈분극이 일어나는 부위가 심실중격 왼쪽이며, 여기서 오른쪽으로 … 더 읽기

LVH (좌심실비대) 의 기준

좌심실비대가 있더라도 심장의 전기 흐름 방향은 정상과 같습니다. 그러나 좌심실의 근육이 두꺼워 지므로 끌고 가는 전기의 강도도 더 강해졌습니다. 따라서 방향은 같지만 좌심실로 가는 QRS 의 높이가 더 커지고 강조됩니다. V1, V2 에서 QRS 는 더 깊이 내려가고 V5, V6 에서 QRS 는 더욱 커지는 모습이 됩니다. 참고 : LVH by voltage criteria 체형이 마른 … 더 읽기

RVH (우심실비대) 의 기준

RVH 가 있으면 심장의 전기가 우심실 쪽인 앞 쪽으로 끌려나오게 되면서 V1 lead 에서 QRS 파가 현저하게 위로 올라갑니다. RVH 가 오는 흔한 원인은 폐동맥고혈압 입니다. 폐동맥 고혈압은 COPD 로 생길 수 있습니다. 같은 COPD 환자라도 RVH 가 있는 환자는 예후가 더 나쁠 수 있습니다.

Sinus rhythm (정상 동율동) 의 기준

정상 동율동 (sinus rhythm) 은 SA node (동결절) 에서 규칙적으로 전기신호를 만들어 심방, 심실을 지나면서 심장 박동을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입니다. 그러나 SA node 에서 만드는 전기의 강도는 너무 약해서 체표면의 심전도 전극까지 도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심전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심전도의 P wave 는 전기가 심방을 지날 때 나타나므로 SA node 에서 만드는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무료투석실

80대 여성 환자분입니다.할머니께서 처음 이곳 투석실로 오실 때 모습이 기억납니다. 체중은 40kg 초반으로 체구도 작습니다.그런데, 다리는 코끼리 다리마냥 퉁퉁 부어있습니다.혈액검사에서 영양상태는 매우 좋지 않았습니다.알부민 수치가 바닥입니다.흉부 X선 영상에서는 심장 크기도 매우 크고 폐부종도 동반되어 있었습니다.다리에 힘이 없어 잘 걷지도 못하셨고 병원에 오는 것도 자신이 없어 하셨습니다.투석실로 오실 때도 교회를 다니시는 권사님과 함께 오셨습니다.권사님이 바쁘면 할머니는 그냥 … 더 읽기

미만성 갑상선 질환 (diffuse thyroid disease) 초음파 소견

미만성 갑상선 질환 (diffuse thyroid disease) 미만성 무독성 갑상선종 Diffuse nontoxic goiter (미만성 과형성 Diffuse hyperplasia) 단순 갑상선종, 콜로이드 갑상선종 등으로도 지칭합니다. 결절이나 hyperthroidism 없이 갑상선이 전체적으로 커진 것을 의미합니다. 요오드 결핍으로 흔히 발생하며, 여성에서 흔합니다. 초음파 전후 직경이 2cm 이상이면 커진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미만성 독성 갑상선종 Diffuse toxic goiter (그레이브스병 Graves’ disease) 비특이적으로 … 더 읽기

위험음주 알아보는 계산기

적정음주 vs 위험음주 술은 양날의 검입니다. 다량의 술은 독이되, 소량의 술은 약입니다. 독이 되는 술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충남대 가정의학과 김종성 교수팀이 2019년 한국인을 위한 적정음주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국민건강 검진의 음주량 평가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표준 1잔’이라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 등장하는데, 표준 1잔이란 알코올 14g 에 해당되는 술의 양을 의미합니다. 65세 이하 성인 남성의 경우 1주간 … 더 읽기

투석과 관련된 두통 (Dialysis headache)

투석 중 발생하는 두통은 흔합니다. 연구에 따라 다르지만, 20~70%까지 보고 되고 있습니다. 투석-관련-두통의 진단기준 (ICHD-3 (2013)) 10.2 Dialysis headache Description : Headache with no specific characteristics occurring during and caused by haemodialysis. It resolves spontaneously within 72 hours after the haemodialysis session has ended. Diagnostic criteria: A. At least three episodes of acute headache fulfilling criterion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특수한 목적의 투석

일반적으로 당뇨병이나 고혈압으로 인해 비가역적으로 콩팥이 손상되고 기능을 매우 떨어져 남아있는 콩팥으로는 몸의 기능을 유지하기 힘들때 투석을 시작합니다. 보통 주 3회, 4시간씩 투석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이유 외 특별한 목적의 투석도 있습니다. 아주 중요한 내용은 아니지만, 한 번 읽어볼만한, 참고할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1. 심장을 도와주기 위한 투석 심장은 우리 몸의 혈액 펌프입니다. 심장이 망가지면 … 더 읽기

[진료실 단상] 그때 검사한번 해봤더라면

40대 중반의 여성분이 감기 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 2년전에 딱 한번 코로나 접종을 위해 이곳에 내원한 적이 있는 분입니다. 아무리 간단한 감기약이라도 환자분에게 맞는 해악이 없는 약을 처방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저질환을 여쭙게 됩니다. “혹시 진단 받으신 질환이나, 복용 중인 약은 없으세요?” 그런데 젊은 나이에 걸맞지 않게 여러가지 기저질환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당뇨도 있고, 고지혈증도 있고 이번에 눈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혈액 투석 절대 불변의 법칙 (1)

모건하우절의 책 중 “불변의 법칙”이 오랜 기간 베스트셀러에 자리하며 인기를 끌었습니다. 책을 다 읽고서 투석환자분께 적용 가능한 불변의 법칙은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책 한 권의 분량은 아니지만, 몇 가지 법칙을 제 임의대로 정하여 서술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 내용들은 모두 개인의 경험을 통한 일반적인 견해이며, 학술적인 근거가 확립된 내용은 아닙니다. 따라서 가볍게 읽고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체중은 … 더 읽기

PSA (Prostate-specific antigen, 전립선 특이 항체)

PSA 란?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주로 합성되는 세린 단백분해효소 입니다. 대부분 단백분해효소억제제 등과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하나, 일부의 경우에만 free form 으로 존재합니다. 높은 조직특이성 및 민감도로 전립선암의 선별 및 진단, 위험도 예측, 재발 표지자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전립선암과 양성전립선질환을 구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급성 전립선염 등 양성질환에서도 PSA 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전립선암이 … 더 읽기

불신의 시대

#1. 얼마전 PD 수첩에서 의대증원사태와 관련한 영상을 보았습니다. 두개골 조기 유합증으로 제 때 수술을 받아야 하는 환아가 있었는데, 수술이 무기한 미뤄졌고, 환자의 부모는 발만 동동 구르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국가가 운영하는 피해 구제 센터에 피해 사실을 접수하였으나, 변호사를 소개해 줄 테니, 병원을 상대로 소송하라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환아의 부모가 진정으로 바랬던 것은 소송이 아니라 아이를 치료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과일의 배신

과일은 신선하고 건강한 이미지 입니다. 자연 식품인 과일은 무조건 좋다는 인식이 있지만, 과일이 건강을 해친 몇 가지 사례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지나친 것은 모자람만 못한 것입니다. 1. 혈액 속 칼륨이 쌓여 치명적인 부정맥이 발생, 심장마비가 올 수도 있다. 아마 투석을 하시는 분들 모두가 알고계신 중요한 내용입니다. 과일에는 칼륨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많이 드시면 안된다는 것. 칼륨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