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담사례] B형 간염 항체가 없다고 합니다. 단백뇨도 있다고 하네요.

40대 남성입니다.건강검진에서 B형 간염 항체가 음성이 나왔습니다.어릴때 백신 접종한 기억은 확실하지 않습니다.예방접종을 해야할까요?또 단백뇨도 있다고 나왔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답변 >> 안녕하세요~!검진하시고 결과를 받아보셨는데, B형 간염 항체 음성, 단백뇨가 있으시군요?우선 B형 간염 항체에 대해 말씀드리면,원칙적으로는 대다수의 일반인들은 B형 간염 항체를 굳이 검사하지 않아도 괜찮지만,요새 검진프로그램이 좋아져서 B형 간염 항체 검사를 자주 하곤 합니다. 우선 B형 간염 … 더 읽기

[건강상담사례] 24시간 소변 검사 결과가 어떤 가요?

[ 의뢰내용 ] 42세 여자환자 분,혈압, 당뇨 등의 기저질환 없으나 단백뇨로 진료 중최근 시행한 24시간 소변 검사 결과가 궁금하여 상담의뢰. 소변량 : 1900 mLUrine protein 119 mg/LUrine protein excretion 250 mgUrine Creatinine 76.24 mg/dLUrine Creatinine excretion 1.2 g * 위 결과에서 Urine Protein, Urine creatinine 은 농도입니다.* 위 결과에서 Excretion 이 붙은 항목은 소변 1900 mL … 더 읽기

[교육] 거품뇨가 나온다구요?

안녕하세요. 손닥터입니다.이번에는 거품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대부분 거품뇨가 나오면 신장이 안좋은 것이라 예로부터 알려져 왔기 때문에, 소변에 거품이 많이 난다면서 외래로 찾아오시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물론 거품뇨라는 것만으로 비정상이라고 특정할 수는 없습니다. 거품뇨라는 것이 환자 본인이 보았을때 주관적인 의미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병적인 거품뇨가 아닐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흥미롭게도 올해 거품뇨에 대해 cJASN (미국 신장학회에서 나오는 … 더 읽기

[MN] 혈뇨와 단백뇨

혈뇨 혈뇨의 정의 한 시야당 3개 이상의 적혈구가 관찰될 때.3회 검사 후 2회 이상의 혈뇨가 있으면 추가검사를 시행한다.(추가검사 : dysmorphic RBC, APCT, Cystoscopy…) Urinary Tract malignancy in patients with Microhematuria 의 주요 Risk factors Urine dipstick 검사 높은 특이도,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위양성 : myoglubulinuria, 혈색소뇨 존재, 농축뇨위음성 : 고용량의 비타민 C 혈뇨의 Evaluation Red color urine … 더 읽기

[MN] 고혈압과 관련된 신장질환

Proteinuria (단백뇨) 의 분류 JNC-8 (2014) 고혈압 가이드라인 KDIGO 가이드라인   ACEi 나 ARB 는 aldosterone 의 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Generalized arterial vasodilation 을 일으켜 BP 를 낮추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신장에서는 Efferent, afferent glomerular arterioles (특히 Efferent) 의 Vasodilation 을 일으키므로, 이로인해 Intra-glomerular pressure 를 감소시키고, GFR을 감소시키나(일시적 – 30% 이상 감소시 중단해야 한다.), Urine … 더 읽기

[MN] 당뇨병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이 의심되는 사람에게서 꼭 필요한 검사는 Diabetic retinopathy 를 확인하기 위한 안저검사이다.   당뇨병성 신장병의 가장 주요한 현미경적 특징은 GBM 이 두꺼워져 있다는 것이며, Mesangial expansion 이며 결국 이로 인해 nodular sclerosis 가 발생한다. 보통 GBM 의 두께는 성인의 경우 250 ~ 450 nm 정도이며, 약 +-50 정도로 남여간 차이가 있다. 태어났을 … 더 읽기

[MN] 단백뇨 및 혈뇨

단백뇨 및 혈뇨 중점체크사항 혈뇨   Microscopic RBC 3-5/HPF 이상을 보통 혈뇨라 정의하는데, 그 중 Dysmorphic RBC 가 중요하다. 사구체성 혈뇨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센터마다 다르지만, 보통 80% 이상은 나와야 의미있게 본다. 또한 단백뇨가 동반되어 있다면 사구체성 혈뇨를 좀더 의심할 수 있다. 혈뇨의 감별 진단   가성혈뇨, 질분비물 오염, 사구체성 혈뇨, 비사구체성 혈뇨, 요로감염, 결성, 악성종양, 낭성질환, 신경색증,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