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혈뇨 (미세혈뇨) 가이드라인

대한신장학회에서 발간된 2023 현미경혈뇨 진료지침이 나왔습니다. 주요 내용을 간단히 요약했습니다. 무증상 현미경 혈뇨의 진단 프로토콜 무증상 현미경 혈뇨의 감별진단 혈뇨는 일반적 으로 고배율 시야당 3개 이상의 적혈구로 정의(다만, 혈뇨를 정의하기 위한 고배율 시야당 적혈구 개수의 최적의 cut-off value 는 없음)현미경혈뇨는 전체 인구의 2.4%~31.1%에서 보일 수 있는 흔한 임상 양상으로 원인은 다양 1. 무증상의 현미경 혈뇨가 … 더 읽기

건강검진에서 혈뇨가 있다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건진에서 혈뇨가 있어서 내원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혈뇨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혈뇨는 육안으로 보이는 육안적 혈뇨와 검사로만 알수있는 미세혈뇨가 있습니다. 보통 육안으로 보이는 혈뇨는 본인이 자각하기 때문에 응급실이나 외래로 바로 내원하게 됩니다. 육안적 혈뇨   눈으로 보이는 혈뇨에는 대체로 요로결석이나 출혈성 방광염이 흔하고, 그 외 전립샘이나 방광의 암 등도 육안적 혈뇨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의 … 더 읽기

붉은 소변이 나올때

붉은 색 소변이 나오는 경우 dipstick 과 urine sediment 의 RBC 를 확인한다. dipstick 에서도 positive, Urine RBC 도 positive : 진짜 혈뇨 dipstick 에서는 positive, Urine RBC 는 negative : 혈색소뇨나 미오글로빈뇨 dipstick 도 negative, Urine RBC 도 negative, 소변색만 붉어 :  pseudohematuria Hemoglobinuria Misidentified as Hematuria: Review of Discolored Urine and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Clin Med Insights Blood Disord. 2013; 6: 7–17.)

[MN] 혈뇨와 단백뇨

혈뇨 혈뇨의 정의 한 시야당 3개 이상의 적혈구가 관찰될 때.3회 검사 후 2회 이상의 혈뇨가 있으면 추가검사를 시행한다.(추가검사 : dysmorphic RBC, APCT, Cystoscopy…) Urinary Tract malignancy in patients with Microhematuria 의 주요 Risk factors Urine dipstick 검사 높은 특이도,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위양성 : myoglubulinuria, 혈색소뇨 존재, 농축뇨위음성 : 고용량의 비타민 C 혈뇨의 Evaluation Red color urine … 더 읽기

[MN] 단백뇨 및 혈뇨

단백뇨 및 혈뇨 중점체크사항 혈뇨   Microscopic RBC 3-5/HPF 이상을 보통 혈뇨라 정의하는데, 그 중 Dysmorphic RBC 가 중요하다. 사구체성 혈뇨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센터마다 다르지만, 보통 80% 이상은 나와야 의미있게 본다. 또한 단백뇨가 동반되어 있다면 사구체성 혈뇨를 좀더 의심할 수 있다. 혈뇨의 감별 진단   가성혈뇨, 질분비물 오염, 사구체성 혈뇨, 비사구체성 혈뇨, 요로감염, 결성, 악성종양, 낭성질환, 신경색증,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