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 항진균제 약물별 용법 및 용량

경구 항진균제 약물별 용법 및 용량 항진균제의 경구제 및 외용제별 치료율 손발톱무좀 치료 가이드라인 국소 항진균제(바르는 치료제) Topical antifungal agents 항진균제를 감염부위에 직접 바르는 치료제로, 약 성분이 손발톱 판을 투과한 후 감염 부위에 도달 해 진균을 박멸하는 형태 국소 작용으로 간 대사 및 약물 상호작용이 적으며, 제품별로 치료 효과, 손발톱 투과율, 도포 전 사포질 여부, … 더 읽기

통풍 Gout

통풍의 임상단계 Classic first gout flare Chronic tophaceous gout 의 flare 고요산혈증 (Hyperuricemia) 고요산혈증의 메커니즘 High purine diet 의 예 요산의 신장 배출을 감소시키는 요인 무증상 고요산혈증 통풍의 치료 급성기 통풍 치료 예방 치료 (Prophylactic treatment) 통풍에서의 요산강하치료 통풍에서 요산강하치료의 적응증 요산강하치료 약제 종류 요산형성억제제 (XO inhibitor) : allopurinol, febuxostat Allopurinol : Febuxostat : 요산배설촉진제 … 더 읽기

KDIGO 가이드라인 CKD 2024 간단 정리(2)

CKD 환자의 Risk assessment CKD 환자는 적어도 매년 알부민뇨와 GFR 을 평가해야 합니다. CKD progression 의 higher risk 인 분은 더 자주 검사해야 합니다. CKD 환자에서 eGFR 이 예상 범위의 20% 를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을 경우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hemodynamically active 치료를 시작한 CKD 환자의 경우 eGFR 저하가 30% 초과시) 알부민뇨를 모니터링 하고 있는 CKD … 더 읽기

KDIGO 가이드라인 CKD 2024 간단 정리(1) CKD 의 평가

CKD (chronic kidney disease) 의 정의 (KDIGO) CKD is defined as abnormalities of kidney structure or function, present for a minimum of 3 months, with implications for health. CKD is classified based on Caus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category (G1–G5), and Albuminuria category (A1–A3), abbreviated as CGA. CKD 의 평가 urine albumin 과 GFR 을 평가해야 합니다. ACR 이 … 더 읽기

만성 두드러기 진료지침

만성 두드러기는 두드러기가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뜻합니다. 평균 1~5년 정도의 유병기간을 보입니다. 만성 두드러기는 급성과는 다르게 그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증상이 자주 재발하여 꾸준한 관리와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의 단계적 치료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진료지침 요약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의 일차적 치료 (First-line management) 두드러기는 비만세포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입니다. 히스타민과 다른 매개체들이 활성화된 … 더 읽기

저나트륨혈증 진료지침 (전해질고혈압 연구회, 2022) + SIAD (NEJM)

저나트륨혈증이란? 혈청 소듐 농도가 135mmol/L 미만으로 정의 저나트륨혈증의 중증도 분류 및 증상 분류 저나트륨혈증의 진단 알고리듬 (1) non-hypotonic hyponatremia 를 감별하기 위해 serum Osm 을 확인 serum Osm 이 정상범위에 있으면서 hyponatremia 가 있다면 주로 hyperglycemia 에 의해 발생합니다. 혈당이 증가해있다면 corrected Na 를 계산합니다. hyperglycemia 외에도 고단백혈증, 고지질헐증, 만니톨, 방사선 조영제 등도 non-hypotonic hyponatremia … 더 읽기

결핵의 진단 [결핵진료지침 5판, 2024] (요약)

항산균 도말검사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는 최소한 2회 가능한 3회의 객담 검체(즉석 및 집에서 아침 식사 전 채담, 1차 객담수집은 즉석 채담하는 것을 원칙)를 수집하여 도말 및 배양검사를 시행합니다. 결핵균뿐만 아니라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도 양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항산균 배양검사 결핵을 확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매우 적은 수의 세균만 존재하더라도 검출할 수 있는 민감도가 높은 방법입니다. … 더 읽기

현미경 혈뇨 (미세혈뇨) 가이드라인

대한신장학회에서 발간된 2023 현미경혈뇨 진료지침이 나왔습니다. 주요 내용을 간단히 요약했습니다. 무증상 현미경 혈뇨의 진단 프로토콜 무증상 현미경 혈뇨의 감별진단 혈뇨는 일반적 으로 고배율 시야당 3개 이상의 적혈구로 정의(다만, 혈뇨를 정의하기 위한 고배율 시야당 적혈구 개수의 최적의 cut-off value 는 없음)현미경혈뇨는 전체 인구의 2.4%~31.1%에서 보일 수 있는 흔한 임상 양상으로 원인은 다양 1. 무증상의 현미경 혈뇨가 … 더 읽기

당뇨병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당뇨병 진료지침 2023)

당뇨병 약물치료 가이드라인 1. 당뇨병 진단 즉시 생활습관교정과 자기관리 방법을 적극적으로 교육하고 지속하도록 모니터링한다. [무작위대조연구, 일반적권고] 2. 약물 선택 시 동반질환(심부전, 죽상경화심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여부, 혈당강하 효과, 체중에 대한 효과, 저혈당 위험도, 부작용, 치료 수용성, 나이, 환자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 비용 등을 고려한다. [전문가의견, 일반적권고] 3. 심각한 고혈당(당화혈색소 >9.0%)과 함께 고혈당으로 인한 증상(다음, 다뇨, 체중감소 등)이 동반된 경우는 인슐린치료를 시행한다. [전문가의견, … 더 읽기

고혈압, 약만 먹으면 끝? 고혈압 고급정보 총정리

고혈압 단순히 약만 드시면 된다고 알고계신가요? 아닙니다. 고혈압의 가장 무서운 점은 합병증입니다. 고혈압이 진단이 되었다고 치료하면 끝이 아니라 합병증이 있는지 탐색하고 합병증이 생기지 않게 예방해야 합니다. 그래서 고혈압이라고 해서 간단하지만은 않습니다. 여러검사를 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이 글을 통해 고혈압의 전문적인 지식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대한 고혈압학회에서 발행한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더 읽기

대한비만학회 비만진료지침 2022년 8판 요약

1. 비만의 진단 성인 비만의 기준은 동반 질환의 위험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 25 이상성인 복부 비만의 기준은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 2. 비만 치료전 평가 이차성 비만의 원인 평가체중감량의 일차목표 : 치료 전 체중의 5~10% 를 6개월 내에 감량하는 것 * 이차성 비만의 원인 * 체중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약제 3. 식사치료 … 더 읽기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약물치료

고콜레스테롤 혈증 치료 전략 Statin 의 작용기전 Statin의 종류별 약리학적 특징 Lovastatin, pravastatin, simvastatin, fluvastatin, atorvastatin, rosuvastatin, pitavastatin의 7개 스타틴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중 lovastatin은 천연물이며, pravastatin은 최초의 스타틴인 compactin으로부터 biotransformation되어 만들어졌고, simvastatin은 lovastatin으로부터 반합성물로 만들어졌으며, 그 외의 모든 스타틴 은 전적인 합성물이다. Statin에 대한 LDL-C 강하율 비교 Statin 복용 시간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높을 때 음식은 어떻게 먹어야 할까?

“콜레스테롤이 높습니다. 약 드실 정도는 아니지만, 관리하셔야 합니다.” “어떻게 관리해야하나요? 무엇을 조심해야하죠?” 콜레스테롤이나 고지혈증과 관련하여 자주 물어보시는 질문이 바로 음식입니다.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에 나와있는 식이 관련 내용을 기술해 봅니다.

과민성 방광의 진단과 치료 (2016 대한배뇨장애요실금 학회 가이드라인)

개념 과민성방광 (overactive bladder, OAB) 요로감염이 없 고 다른 명백한 병인이 없는 조건하에서 절박성요실금 (urgency incontinence)의 유무에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경우 흔히 주간 빈뇨와 야간 빈뇨를 동반 요절박 (urgency) 강하고 갑작스럽게 요배출 욕구가 일어나 늦출 수 없 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 절박성요실금 (urgency incontinence) 요절박과 동반하여 또는 요절박이 선행된 직후에 불수의적인 요누 출의 증상을 호소하는 … 더 읽기

2017 결핵진료지침(3판) 요약(1) : 잠복결핵 제외

폐결핵의 진단 항결핵제의 분류 항결핵제의 용량 및 부작용 비만증 환자에서는 과용량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상 체중 (ideal body weight)을 고려하여 용량을 감량할 수 있다. 일차 항결핵제는 최대 효과를 위해서 나누어서 복용하는 것보다 하루치 용량을 한 번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리팜핀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흡수가 억제될 수 있으므로 식사 30분 전 또는 식사 2시간 후와 같은 공복 시에 … 더 읽기

만성폐쇄성 폐질환 (COPD) GOLD 가이드라인 2017

COPD Definiti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common, preventable and treatable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respiratory symptoms and airflow limitation that is due to airway and/or alveolar abnormalities usually caused by significant exposure to noxious particles or gases. Diagnosis and Initial Assessment COPD should be considered in any patient who has … 더 읽기

수혈 가이드라인 2016 (요약)

일반 가이드라인 혈액 주입시간 혈액제제는 세균증식의 위험 때문에 오랜 시간 실온에 방치해서는 안 되며 4시간 이내에 수혈을 마치는 것이 원칙이다. 정맥주입용액 동시 사용 혈액제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는 용액이 칼슘을 함유하는지 여부와 등장성 용액인지 여부를 꼭 확인한다. 저장혈액에 포함된 구연산염(citrate)과 수액에 포함된 칼슘은 혈액응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저장성 혹은 고장성 용액의 접촉은 적혈구 손상을 초래할 … 더 읽기

C. difficile 의 진단과 치료 (2018 update)

C. difficile 감염의 증상 –> 진단이 간과되기 쉬움, C. difficile 감염의 위험인자가 있고, 설명할 수 없는 백혈구 증가가 있는 경우 의심. 15000/ul 이상 C. difficile 감염의 위험인자 C. difficile 감염의 진단 * 진단기준 다른 원인이 없고, 새로 발생한 설사 (24시간 동안 3회 이상) + 검사실적 진단법 중 하나에서 양성일 때. * 검사실 진단법 Cell culture … 더 읽기

[MN] 요로결석

요로 결석   유병률은 5%, 재발률은 5~10년 이내에 50%, 일생 동안 요로결석을 앓을 확률은 10~15% 정도 된다. 발생 원인은 유전적 소인 (대사 이상), 요로 모양의 이상, 환경적 요인, 수분섭취 감소가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 백인과 온대지방의 아시아인에 호발하며, Renal tubular acidosis, cystine, xanthine 의 대사이상 질환에서 잘 생긴다. 20~40대의 남성에 호발하며 (남:여 = 3:1) 남성에서 호발하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