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결절의 크기변화(자라나는) 기준

갑상선 결절의 크기변화(자라나는) 기준 단, 양성결절이라도 14% 에서는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며 (악성은 25%) 악성이라도 크기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크기 변화만 가지고 malignancy 를 예측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양성 갑상선 결절의 경우 보통 10개 결절 중 1개에서 크기 증가를 보이며, 1년에 약 1mm 정도 크기가 증가 → 1년에 1mm 이상 자란다면 크기가 자라고 있는 결절로 간주할 … 더 읽기

미만성 갑상선 질환 (diffuse thyroid disease) 초음파 소견

미만성 갑상선 질환 (diffuse thyroid disease) 미만성 무독성 갑상선종 Diffuse nontoxic goiter (미만성 과형성 Diffuse hyperplasia) 단순 갑상선종, 콜로이드 갑상선종 등으로도 지칭합니다. 결절이나 hyperthroidism 없이 갑상선이 전체적으로 커진 것을 의미합니다. 요오드 결핍으로 흔히 발생하며, 여성에서 흔합니다. 초음파 전후 직경이 2cm 이상이면 커진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미만성 독성 갑상선종 Diffuse toxic goiter (그레이브스병 Graves’ disease) 비특이적으로 … 더 읽기

진료실 단상 #1.

70대 여성 환자분이 내원하셨습니다.목에 뭐가 튀어나와보인다고 합니다.위치를 보니 딱 갑상선 부위였습니다. “어머니, 이 부위는 갑상선 쪽이네요. 이거 확인해보려면 초음파로 들여다 봐야 해요.” 갑상선 초음파를 해보니 다행히 2.5cm 크기의 단순 물혹이었습니다.단순 물혹은 암이 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결절입니다. “어머니! 다행히 암은 아니고 그냥 단순한 물혹이네요.특별한 치료는 안하셔도 되겠는데요.정기적으로 초음파로 확인해보고 변화가 있으면 그때 정밀 검사를 해봐도 … 더 읽기

갑상선 기능검사의 급여기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2-283호)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2-283호 1. 갑상선 기능장애가 의심되거나, 진단 및 치료를위해 시행하는 갑상선 기능검사는 다음 중 3종이내에 시행하는 경우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2. 상기 1.에 해당하는 갑상선 기능검사 3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본인부담률을 90%로 적용함.

Graves’ orbitopathy VS. IgG4-related orbitopathy

안구 돌출을 보인다고 모두 그레이브스씨 병인가?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IgG4-related orbitopathy 와 구별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찾아보았다.  Graves’ orbitopathy  IgG4-related orbitopathy Exophthalmos 의 감별진단 Graves’ orbitopathy VS. IgG4-related orbitopathy 1. Laboratory fingdings : TFT, IgG4 level 2. Image findings :    – Graves’ orbitopathy : Ptosis, enlarged extraocular muscles, most frequently inferior and medial rectuses, Excessive … 더 읽기

[ME] 갑상선암

갑상선암 갑상선암의 가족력, 방사선 노출력 확인하자. 악성 갑상선 결절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 FNA 검사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Benign 은 malignancy 0~3%, non diagnostic 은 악성 확률이 1~4% (재검 권유) 있으며, AUS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or Follicular lesion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의 경우 5~15% 까지도 악성 확률이 있으므로, Repeat FNA 가 … 더 읽기

[ME] 갑상샘 종양 및 결절

Thyroid incidentaloma   Thyroid incidentaloma 는 우연히 발견된 종괴로 USG, CT, PET, MRI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를 말한다. 초음파를 안했으면 초음파를 우선 시행하고, 초음파에 따라 FNA 결정한다. PET에서 발견되었는지, 기타 가족력, 방사선 치료력 등을 고려해서 치료 계획을 결정한다.  특히 PET incidentaloma 가 중요한데, 약 2~2.5% 에서 발견되며, 악성률은 difuse hot uptake 가 있을 경우 20~30%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