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임상진단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은 보통 가족력과 나이에 따른 낭의 개수를 가지고 임상적으로 진단합니다.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의 가족력이 있는 16-40세 환자의 경우 MRI 에서 양측 합하여 총 10개 이상의 낭이 있는 경우 100%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다낭콩팥병 진단을 배제할 목적으로 초음파를 시행하는 경우 40세 이전의 젊은 나이에서는 음성 예측도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40세까지는 반복적으로 영상검사를 통해 낭의 유무를 판별하는 … 더 읽기

B형 바이러스 간염 : 역학 용어 백신 고위험군 백신무반응자 건강검진에서 B형 간염항체 없다면

역학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15~25% 에서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하여 사망만성 B형 간염 보유자는 간암의 발생율이 일반인에 비하여 150~400배 높음우리나라 간암 환자의 약 70%가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관련됨. 잠복기 : 평균 60~90일 (45~180일)임상증상 발현 : 5세 미만 (10% 미만), 5세 이상 (30~50%)급성 감염에 의한 사망율 : 0.5~1% (전격성 간염)만성 감염으로 이행 : 5세 미만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