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검사 골밀도검사 급여기준 보험기준 제2023-293호(행위)

고시 제2023-293호(행위) / 게시일 2023-12-29 / 시행일 2024-1-1 다334 골밀도검사의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1. 18세 이상인 경우 가. 급여대상 ※ 상기 가. 2)의 고위험요소는 아래와 같음 나. 급여횟수 1) 진단 시 1회 인정하되, 말단골(peripheral bone) 골밀도검사 결과 추가검사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중심골(central bone; spine, hip)에서 추가검사 인정함. 2) … 더 읽기

골다공증 약제에 대한 간단한 설명

골다공증 치료약은 다양합니다. 너무 심한 골다공증인 경우 쓸 약이 한정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약제 마다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저는 이 부분을 환자분에게 설명드리고 선택할 수 있게끔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대한 쉽게 설명해야 합니다. 그 설명을 간략히 적어보겠습니다. A 약제 가장 순한 약입니다. 부작용이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효과가 약합니다. 골다공증은 여성호르몬이 부족해서 생기는데, 이 … 더 읽기

침습적 치과 치료 전 골다공증 약 얼마나 중단?

MRONJ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의 정의 Bisphosphonate KSBMR 2015 position statement J Bone Metab. 2015 Nov 30;22(4):151–165. KSBMR 2021 position statement Therefore conclusively, this committee maintains the previous recommendation that for people taking long-term BPs or concomitant risk factors, BPs should stop for about 2 months before dental treatment and stop until … 더 읽기

칼슘과 비타민D

칼슘 칼슘 보충의 장점 칼슘 보충의 단점 비타민D 비타민 D의 역할 비타민D 결핍의 진단 기준 현대인의 체내 비타민D 농도가 감소하는 이유 비타민D 보충과 골절 예방효과 (1) 비타민D 만 보충한 연구 (2) 비타민D 와 칼슘을 같이 보충한 연구 칼슘과 비타민D 보충 칼슘과 비타민D 의 권장량 칼슘과 비타민D의 보충이 꼭 필요한 경우 칼슘과 비타민D 의 적정 섭취량 … 더 읽기

골다공증 치료 실패 정의 (IOF,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국제골다공증 재단)

골다공증 치료 실패 국제골다공증재단에서는 환자의 순응도 개선 및 이차골다공증 배제 후에도 다음의 세 가지에 해당하는 경우 치료 실패로 정의하고 치료법 변경을 고려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골표지자의 예상되는 변화 골흡수 표지자로 혈청 CTX, 골형성 표지자로 P1NP 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골표지자는 언제 측정해야 하는가? 골표지자 변화의 해석

골다공증 골절 위험군 분류

FRAX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취약 골절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폐경 여성, 50세 이상 남성의 경우 약물치료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FRAX 평가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골절 과거력 및 골밀도 T score, FRAX 에서의 10년 내 골절위험도를 기준으로 골절 위험군을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초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치료합니다. FRAX 에 포함된 위험인자 : 연령, 성별, 체중, 신장, 이전의 골절 … 더 읽기

이차성 골다공증

이차성 골다공증의 정의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나 약물 등으로 인하여 골량이 감소하거나, 골의 미세구조가 악화되어 발생한 골다공증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원인 감별을 위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 이차성 골다공증 원인 감별을 위한 검사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2019-131 / 2019. 8. 1)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 검사의 급여기준 (고시 2019-131 / 2019. 6. 28) 골다공증에 실시한 생화학적 골표지자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골흡수표지자검사와 골형성표지자검사를 각 1종씩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 음 – 가. 골다공증 약물치료 시작 전 1회 나. 골다공증 약물치료 후 약제 효과 판정을 위해 실시 시 연 2회 이내 ※ 골흡수표지자 – 누501 골흡수표지자[정밀면역검사]-C- 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 (CTX), N-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 (NTX), 디옥시피리디놀린 ※ 골형성표지자 … 더 읽기

2023년 골다공증 예방관리 수칙 (10가지) 질병관리청

1. 성장기에 적절한 운동과 영양관리를 통해서 50대부터 시작되는 급격한 골 소실에 대비합니다 뼈는 청소년기를 거쳐 30대 초기 성년기까지 ‘최대 골량’을 이루게 되며, 약 35세에 총 골량이 천천히 감소하여 매 10년마다 약 3%씩 감소한다. 18~30세 사이에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고 운동을 하면 골 질량이 최대로 형성되어 노년기의 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저체중이 되지 않도록 적정 … 더 읽기

골표지자의 종류 (Bone turnover marker)

골표지자란? 골 표지자 검사는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에서 분비되는 효소, 골 교체과정에서 유리되는 성분을 혈액 또는 소변에서 측정하는 것입니다. 골 생성과 골 흡수 표지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골표자자의 임상적 이용 골표지자의 종류 골형성 표지자 골흡수 표지자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광고 아님)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기준

[일반원칙] 골다공증치료제 고시 제2018-253호(약제) ■ 고시 개정 전체내용 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칼슘 및 Estrogen제제 등의 약제 : 골밀도검사에서 T-score가 -1 이하인 경우(T-score ≤ -1.0) 나. Elcatonin제제, Raloxifene제제, Bazedoxifene제제, 활성형 Vit D3제제 및 Bisphosphonate제제 등의 약제(검사지 등 첨부) 1) 투여대상 가) 중심골[Central bone; 요추, 대퇴(Ward’s triangle 제외)〕: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이용하여 골밀도 측정시 T-score가 -2.5 이하인 경우(T-score ≤ -2.5)나) 정량적 전산화 단층 골밀도 검사(QCT) : 80㎎/㎤ 이하인 경우다) 상기 가), 나)항 이외: 골밀도 측정시 T-score가 -3.0 이하인 경우(T-score ≤ -3.0)라) 방사선 촬영 등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이 확인된 경우 2) 투여기간 가) 투여대상 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6개월 이내나) 투여대상 가), 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년 이내, 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3년 이내로 하며, 추적검사에서 T-score가 -2.5 이하(QCT 80㎎/㎤ 이하)로 약제투여가 계속 필요한 경우는 급여토록 함. 다. 단순 X-ray는 골다공증성 골절 확인 진단법으로만 사용할 수 있음 2.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투여 환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요양 급여를 인정함. – 아    래 – 가. 대상 약제 alendronate, risedronate 단일 제제 및 해당 성분과 cholecalciferol 복합제 나. 투여대상 6개월 이내에 최소 90일을 초과하여 prednisolone을 총 450mg 이상(또는 그에 상응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약제 용량)을 투여받은 환자로서 1) 폐경 후 여성 및 만 50세 이상 남성 : T-score※ < -1.52) 폐경 전 여성 및 만 50세 미만 남성 : Z-score※ < -3.0※ 중심골[Central bone; 요추, 대퇴(Ward’s triangle 제외)]을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이용하여 측정해야 한다. 다. 투여기간 1년 이내로 하며, 추적검사에서 나. 의 기준이 유지되고 약제투여가 계속 필요한 경우는 급여토록 함. 3. 골다공증 치료제에는 호르몬요법(Estrogen, Estrogenderivatives 등)과 비호르몬요법(Bisphosphonate, Elcatonin, 활성형 Vit.D3, Raloxifene 및 Bazedoxifene제제 등)이 있으며, 호르몬요법과 비호르몬요법을 병용투여하거나 비호르몬요법 간 병용투여는 인정하지 아니함. 다만 아래의 경우는 인정 가능함. – 아    래 – 가. 칼슘제제와 호르몬대체요법의 병용나. 칼슘제제와 그 외 비호르몬요법의 병용다. Bisphosphonate와 Vit.D 복합경구제(성분: Alendronate + Cholecalciferol 등)를 투여한 경우라. Bisphosphonate 단일제와 활성형 Vit. D3 단일제 병용마. SERM과 Vit.D 복합경구제(성분: Bazedoxifene + Cholecalciferol, Raloxifene + Cholecalciferiol)를 투여한 경우※ SERM : Sele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4. 특정소견 없이 단순히 골다공증 예방목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비급여 함. ■ 고시 개정 고시번호(시행일자)고시 제2018-253호(2018.12.1.) ■ 고시 개정 사유SERM제제인 bazedoxifene과 Vit.D제제인 cholecalciferol의 복합경구제인 ‘비반트플러스디정 등 12품목’이 등재 예정임에 따라, 관련 약제 계열에 성분명을 추가함. ■ 변경 전 고시번호(시행일자)고시 제2018-200호(2018.10.1.)

왜 골다공증 치료로 부갑상선 호르몬제를 사용할까?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에서 칼슘을 내는 호르몬이다.그러면 뼈가 약해질 것 같은데, 골다공증 치료로 부갑상선 호르몬제를 사용한다.예전 학생때 생리학 시간때부터 왜 이런 모순적인 치료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러워 했지만,외우는데 급급하여 알아보려고 하지 않았다. 골세포에서 SOST 유전자를 통해 높게 발현되는 Sclerostin 이라는 단백질이 있다.이는 WNT signaling 의 inhibitor 로서,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따라서 Sclerostin 을 억제하면 골형성이 … 더 읽기

[ME] 골다공증 골밀도 BMD 검사의 해석

서론 처음 적는 글이라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블로그는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의 목적은 아니다. 개인적인 정보의 정리, 그리고 나 보다 헷갈려 하는 사람들을 위해 후려치기 식의 쉬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병원에서는 골밀도 검사를 자주 하지만 그 해석이 참 어렵다. 어렵다기보다는 중요하게 생각을 안하는 경우가 대다수 인 것 같다. 골다공증으로 사람의 생명이 좌지우지 되지는 않으니깐. 그래도 알고보면 유용하다. 주변 지인들도 골다공증에 대해 관심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