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콩팥병 저단백식 어떻게 해야하나?

만성콩팥병 환자나 단백뇨 환자의 경우 저단백식이가 필요한데 사실 이 내용을 말로 참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자칫 애매하게 설명하여 아예 단백질을 드시지 않으시면 영양결핍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영양분야에 대한 지식은 깊지 않다보니 식사에 대해 다양한 방식, 다채로운 예시를 들어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이 부분은 추후에 계속 공부를 해나가야겠습니다.) 그러던 중 신장학회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내 신장이콩팥콩팥’ 이라는 곳의 … 더 읽기

심방세동과 항응고치료, NOAC 과 만성콩팥병 (feat. 2021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진료지침)

뇌졸중 위험의 평가 심방세동은 뇌졸중 위험을 5배 증가 CHA2DS2-VASc 점수 CHA2DS2-VASc는 혈전 색전증을 지속 발생하는 고위험 환자를 예측하는 것은 조금 약하나, 뇌졸중 위험이 낮은 환자 [CHA2DS2-VASc 0 (남성) 또는 점수 1 (여성)]를 찾아내는데 우수하다. 출혈 위험도 평가 출혈 위험도 점수가 높다고 해서 항응고치료를 중단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항응고치료로 얻을 수 있는 임상적 이익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오히려 출혈 위험도 점수를 평가하여 점수가 높은 환자는 더 일찍, 그리고 더 자주 내원하게 하여 교정가능 위험인자를 재평가하고 관리해야 한다. 항응고제 사용의 절대적 금기증 항응고제를 사용해서는 안되는 절대적 금기증은 현재 진행 중인 중증 출혈 (출혈 부위는 반드시 확인하고 치료되어야 함), 중증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 <50/uL), 검사를 요하는 중증 빈혈, 뇌출혈과 같은 최근에 발생한 고위험 출혈 사건 등이다. 이러한 경우 약제가 아닌 다른 치료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NOAC (비 비타민 K 길항제 항응고제) 말기 신질환이 주요 무작위 전향적 연구에서 제외되었으나, 리바록사반, 에독사반, 아픽사반의 경우 CockcroftGault equation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creatinine clearance, CrCl) 15-30 mL/min 을 보이는 중증 신질환 환자군에서 용량을 감량하여 사용해 볼 수 있다. 실제 진료 현장에서는 NOAC 용량이 부적절하게 감량되어 처방되고 있다. 항혈소판제 단독요법 vs … 더 읽기

[건강상담사례] 콩팥 기능이 나쁘다고 들으신 60대 남성분

콩팥 기능이 나쁘다고 들으신 60대 남성분 현재 Cr 1.3, 사구체여과율 55.8초음파 소견과 여러가지 혈액수치 결과 첨부위장약, 매스틱 복용 중 문의 내용1. 신장 상태는 어느정도인지? 수치가 자주 변화하는지?2. 단백질 보충제를 먹어도 되는지?3. 비타민 D 주사를 맞아도 되는지?4. 기타 주의사항은? 답변 내용 > 안녕하세요~ 상담 메일 보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근 연말 검진기간이기도 하고 생업에 종사하느라, 다소 답장이 늦은 점 … 더 읽기

만성콩팥병의 진단과 치료

차례 만성콩팥병의 정의신장내과로 언제 의뢰해야 하는가?만성콩팥병의 치료 1. 만성콩팥병의 정의 만성콩팥병이란 신장의 구조 혹은 기능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이야기합니다.신장의 구조 이상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신기능은 어떻게 평가를 해야할까요? 흔히 사용하는 수치로 혈액검사의 Creatinine 이 있습니다. 하지만 Creatinine 은 근육에서 나오는 물질이고, 사구체를 통과한 뒤 어느정도 분비와 재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기능을 평가하기는 … 더 읽기

[MN] 만성콩팥병의 정의와 단계 (KDIGO 2012)

KDIGO 가이드라인에 정의된 만성콩팥병 (chronic kidney disease) 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CKD is defined as abnormalities of kidney structure or function, present for 3 months, with implications for health and CKD is classified based on cause, GFR category, and albuminuria category (CGA). 3개월 이상 구조와 기능의 이상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GFR 과 Albuminuria 에 따라 staging … 더 읽기

만성신부전 투석환자 복지 혜택 정보

건강보험 중증난치질환자 산정특례제도 중증난치질환으로 진단받은 건강보험 환자의 요양급여부분 중본인부담률을 20% 에서 10% 로 경감해주는 제도입니다.비급여 100% 본인부담 항목은 제외됩니다. 대상자는 건강보험가입자 중에서 다음과 같은 분들이 해당됩니다.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실시 당일 외래 또는 해당 시술 입원진료를 받는 경우신장 이식술과 직접 관련된 입원치료 및 외래치료를 받는 대상자투석준비를 위해 동정맥루 수술 후 1회 이상 투석을 시행한 자 신청방법은 … 더 읽기

혈액투석의 적절도

혈액투석의 적절도 개념 Dialysis dose refers to delivery of a treatment dose that is considered sufficient to promote optimal long-term outcome 혈액투석에 의한 요독 물질의 감소를 계산하여 적절한 투석이 되었는지를 판단하고자 함.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는 혈중 요소치 (blood urea nitrogen: BUN) 임. 1. Urea reduction ratio (URR, %) { (1-(Ct/C0) } x 100Ct = 투석 후 혈장 Urea 농도C0 = 투석 전 혈장 Urea 농도최소한의 투석 적절도 : URR 65% 이상 URR은 투석으로 요소가 제거된 정도를 말합니다. 만약 투석 초기 요소의 농도가 … 더 읽기

진료실 참고자료 – 만성콩팥병과 식사

1. 저염식이 한국인의 평균 소금 섭취량 1/3 에 해당하는 5g 정도의 저염식이 권고소금 외의 조미료를 활용한 조리법의 변화 등 노력이 필요 저염식이의 이득 : 부종 호전, 단백뇨 개선, 혈압 조절 호전, 심장/콩팥 섬유화 예방, 혈관 수축 조절 호전, 교감신경계 과항진 예방, 호르몬계 과항진 예방 –> 신장기능 저하속도 완화, 투석치료 지연,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저하 * … 더 읽기

[MN] 만성콩팥병과 빈혈

Anemia in CKD 빈혈은 CKD 환자에서 흔한 증상이기도 하지만 나쁜 예후와도 연관이 있다. CKD 환자에서 빈혈은 QOL 을 나쁘게하며, LVH 등의 심혈관 질환과도 연관이 있다. 그 외 hospitalization, Cognitive impairment, Mortality 등과도 연관이 있다. CKD 환자에서 Anemia 가 잘 발생하는 이유는, renal Erythropoietin 생성이 감소되고, Uremia 로 인해 Red cell survival 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CKD … 더 읽기

[MN] 만성콩팥병 (CKD)

만성 콩팥병 (CKD) * KDIGO guideline 참고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   혈액투석 (6만) > 신이식 > 복막투석 순으로 많으며, 보통 우리나라의 8만명 이상의 환자가 신대체요법을 받고 있다. 신부전의 원인은 당뇨병 (48%), 고혈압, 사구체 질환 순으로 많다. 만성 콩팥병에서의 신장 크기   우리나라 성인의 신장 크기 평균은 약 10.50cm/10.65cm 에서 +- 0.8cm 정도 되며,(9cm 이상되면 정상으로 본다.) 대게 ESRD 환자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