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콩팥병 관련 약제 보험기준 사구체여과율

최근 만성콩팥병에서 사용가능한 좋은 약제들이 보험 적용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약제로 포시가, 자디앙 같은 SGLT2 inhibitor 및 케렌디아 (finerenone) 가 그 대상입니다. 보험 기준에 명시된 사구체 여과율 범위가 헷갈릴 수도 있어 한번 정리해봅니다. 요약 Empagliflozin 경구제 (품명: 자디앙정 10밀리그램) 고시 제2025-129호 (약제)게시일 2025-08-01 나. 다음을 모두 만족하는 만성 신장병 환자 Dapagliflozin 경구제 (품명: 다파엔정10밀리그램 등) … 더 읽기

병원 검사 결과지에 나오는 사구체 여과율과 신장학회 홈페이지에서 조회한 사구체 여과율 결과가 차이나는 이유

만성 콩팥병 환자라면 정기적으로 하는 혈액검사를 통해 본인의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 변화에 일희일비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왠만한 의료전문가 못지않은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만성콩팥병 환자분 진료때는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을 메모지에 적어드리면서 수치를 기억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어떤 만성 콩팥병 환자분의 경우 크레아티닌 수치를 가지고 신장학회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 계산기로 계산해보는 분도 계신데, 가끔 … 더 읽기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져 있는 노인, 노화인가? 만성콩팥병인가? (HUGE 공식)

정상 노화의 과정 출생시 신장의 크기는 약 50g 인데 40대까지 점차 크기가 커져 400g 이상이되고이 후 점점 크기가 작아져 90대에는 300g 이하가 됩니다. (주로 피질이 작아지고 수질은 보존됩니다.)연간 한쪽 신장에서 6800개의 네프론이 줄어든다고 합니다.사구체 여과율도 출생시에는 낮았다가 40대까지 140 ml/min/1.73m2 까지 증가하고이 후 10년마다 약 8 ml/min/1.73m2 씩 감소합니다.만일 고혈압이나 당뇨, 흡연,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염증, 비만 등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