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맥 초음파는 언제 누구에게 하는 것이 좋은가? (PACAS risk score)

Common carotid artery 의 IMT 가 0.1mm 증가할 때 심근경색은 1.15배, 뇌졸중은 1.18배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남자의 경우 40대 이후로, 여성의 경우는 50대 이후로 Carotid artery 의 atherosclerosis 의 위험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2016년 European guideline 에서는 IMT 가 0.9 mm 를 초과하여 두꺼울때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기술 하였으나, 이를 위해 … 더 읽기

어떤 검사를 해야할까? (3) 내시경과 초음파 그리고 CT

복통이 있거나 속이 쓰리고 불편한 느낌이 지속되어 뭔가 검사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 때 흔히 생각나는 검사가 내시경입니다. 외래로 내원한 환자 분들 중에서는 내시경을 했으니 초음파나 CT 검사를 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고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아 기본적인 내용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내시경 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위장과 대장의 점막 병변을 확인하기에 좋은 검사법입니다. 쉽게 할 … 더 읽기

상복부 초음파의 급여기준 개정 (2023. 6. 7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05호)

상복부 질환 외 수술 시 환자의 상복부 질환이 의심되어 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 급여 인정 (예시)– 허리디스크 수술 예정으로 상복부 질환이 의심되어 검사한 경우  : //수술 전 시행한 혈액검사 상 간수치(AST, ALT 등) 높아 내과협진 후 상복부초음파 검사 시행 (JX999 기재)  * 청구 시 초음파검사 시행 사유를 포함한 판독결과는 “JX999”에 free text로 기재함 급여확대 초음파 … 더 읽기

[심초음파 02] 대동맥 판막 질환 (2) 대동맥판 협착증, AS (2)

* Aortic Valve 의 Area 계산 (1) 2D planimetry  – 판막의 석회화가 심한 경우 정확한 판구 면적의 측정이 어렵다.  – 최소한 대동맥 cusp 내면의 80% 는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TTE 보다 TEE 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판막의 첨단 (orifice tip) 에서 측정하여야 한다.어느 부위에서 그림을 그리냐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날 수 … 더 읽기

갑상선 전절제 수술 후 초음파 소견

갑상선 절제 후 정상 초음파 모습 갑상선절제술 후 central neck compartment의 정상 소견. 초음파(US) 영상에서 보이는 것은 (a) 갑상선 자리(thyroid bed)에서 fibrofatty connective tissue로 인한 균일한 echogenic texture(화살표머리); (b) 식도(arrow)가 차지하고 있는 좌측 갑상선 자리. 갑상선 절제 후 재발 모습 초음파(US) 영상에서 central neck compartment에서 악성 의심 소견을 보여줌. 이후 시행한 생검에서 재발이 확인됨. US … 더 읽기

[MN] 신장 초음파 (Kindey Ultrasonography)

Probe maker 의 위치 약속  환자가 누워있을 때는 marker 가 오른쪽, 머리쪽으로 방향을 두는 것이 원칙이며, 엎드려 있을 때는 왼쪽, 머리쪽으로 방향을 둔다. Normal sonographic findings of kidney   신장 실질의 두께는 약 1~2cm 정도이며, 1cm 미만일 경우 CKD가 의심되는 소견이다. Renal pole 의 실질 두께는 다른 부위보다 두꺼우며, 신장의 크기는 연령, 성별, 신체 체형, 특히 … 더 읽기

[ME] 경동맥 초음파 후려치기

Carotid Ultrasound ICA 의 Stenosis 정도의 파악 Consensus Criteria – NASCET criteria   NASCET criteria 가 중요하다. 외우지는 못할테니 출력하여 초음파 주위에 붙여놓고 매번 검사시마다 확인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여기에는 Primary parameter 가 있고, Additional parameter 가 있는데, 예를 들어 ICA 의 PSA (Peak systolic velocity) 가 정상인 경우 125 cm/sec 미만이 되고, 70% 이상의 … 더 읽기

[ME] 도플러 후려치기

1. Doppler principle   도플러란, source 와 receiver 사이에서 움직임에 따라 frequency 와 wavelength 가 변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고정된 reflector 가 고정된 transducer에 일정한 크기의 Frequency 와 Wavelength 를 발산한다면, transducer 로 다가가면 frequency 는 높아지고, Wavelength 는 짧아지며, 반대로 transducer 에서 멀어지면 frequency 는 낮아지고, Wavelength 는 길어진다. Doppler shift (Fd = Fr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