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초음파 01] 혈역학적 평가 (3) 혈류량의 측정 : 역류분획, 역류량, PISA, ERO

도플러 심초음파의 적용 혈류량의 측정 [ 혈류량 (cm3, mL) = 단면적 (cm2) x 혈류이동거리 (cm) ] 1-2. 역류량과 역류 분획의 계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어떤 판막이든 역류가 없다면, 각 판막의 cross sectional area 와 TVI 의 곱은 일정하다. 만일 일정하지 않다면 혈류가 어디로 샌 것이다. MV 역류량 = MV 유입 혈류량 – LVOT 혈류량MV 역류분획 = MV 역류량 / MV 유입 혈류량 아래 그림에서 역류분획은 70 % 가 된다. * PISA (Proximal Isovelocity … 더 읽기

[심초음파 01] 혈역학적 평가 (2) 혈류량의 측정 : Stroke volume, Cardiac output

PW 를 잡을 때 정상 심장의 경우 4 chamber view 에서 Mitral outflow 를 잡으면 대체로 20도 내의 각도이므로, 큰 오차 없지만, LV 가 커지면 그 각도가 커져 오차가 생기므로, 프로브를 조절하여 잘 맞춰줘야 한다.축이 맞지 않을 경우 실제 값보다 작아지면서 PW 그래프의 Baseline 이 지저분하다. Sample volume 은 1~3 mm 정도가 되게, 5mm 를 … 더 읽기

[심초음파 01] 혈역학적 평가 (1) 도플러 심초음파 원리, 종류, 종류

도플러 심초음파의 원리 1842년 오스트리아 수학자인 요한 크리스티안 도플러가 별빛의 변화를 관측하여 처음 기술함. 경종을 울리는 기차가 자신에게 다가올 때 음의 frequency 가 높아져 높은 소리가 들리는 것은 도플러 효과 때문. 도플러 효과는 관측자로 다가오는 음원은 주파수가 높아지고, 멀어지는 음원은 낮아짐. 임상에서 초음파와 혈류방향의 차이가 20도 이하이면 혈류속도 측정이 가능 도플러 흐름과 혈류 흐름의 각도가 20도가 넘게 되면 오차가 발생한다.예를 들어 41도이면 혈류의 속도가 25%가 과소평가된다.반면 10도이면 2% 정도만의 오류를 보인다. 도플러의 종류 Spectral 도플러   – 간헐파형 도플러 (Pulsed wave doppler)  – 연속파형 도플러 (Continuous wave doppler) 색도플러 (Color flow mapping) 간헐파형 도플러 (PW) 관심지역인 sample volume  의 혈류 속도를 측정2m/s 이내의 혈류 속도 측정 (느린 혈류 속도 측정) * 임상 응용  – LVOT 속도 및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