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만학회 비만진료지침 2022년 8판 요약

1. 비만의 진단

성인 비만의 기준은 동반 질환의 위험을 고려하여 체질량지수 25 이상
성인 복부 비만의 기준은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

2. 비만 치료전 평가

이차성 비만의 원인 평가
체중감량의 일차목표 : 치료 전 체중의 5~10% 를 6개월 내에 감량하는 것

* 이차성 비만의 원인
* 체중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약제

3. 식사치료

4. 운동치료

체중 감량을 위해 유산소운동은 주당 150분 이상, 주당 3~5회 실시하고 근력운동은 대근육군을 이용하여 주 2~3회 실시하는 것을 권고함. 

5. 행동치료

6. 약물치료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환자에서 비약물치료로 체중감량에 실패한 경우에 약물치료 고려
비만치료제 유지 용량 투여 3개월 내에 5% 이상 체중 감량이 없다면 약제를 변경하거나 중단할 것을 권고

7. 수술치료

체질량지수 35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 30 이상이면서 비만 동반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비수술적 치료로 체중 감량에 실패한 경우 비만대사수술을 고려

체질량지수 27.5 이상이면서
비수술적 치료로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2형 당뇨병의 경우 비만대사수술을 고려

8. 대사증후군

  1. 한국 성인에서 다음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A)
    ① 허리둘레: 남자 90cm 이상, 여자 85 cm 이상
    ② 혈압: 130/85 mmHg 이상(혹은 고혈압 치료제 사용 중)
    ③ 공복혈당: 100 mg/dL 이상(혹은 당뇨병 치료제 사용 중)
    ④ 중성지방: 150 mg/dL 이상(혹은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사용 중)
    ⑤ HDL 콜레스테롤 남자 40 mg/dL 미만, 여자 50 mg/dL 미만
    (혹은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사용 중)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