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의 Active surveilance (능동적 관찰)

갑상선암의 발생률 (global)

  • 여성 : 10만명 당 10.1명
  • 남성 : 10만명 당 3.1명

갑상선암의 사망률 (global)

  • 여성 : 10만명 당 0.5명
  • 남성 : 10만명 당 0.3명

갑상선암의 Active surveilance

  • Papillary thyroid microcalcinoma (PTMC) : 1cm 이하의 크기로 정의, 예후가 좋은 편이다. (사망률 0.1% 이하, 재발률 3%)
  • PTMC 를 바로 수술하지 않고 경과관찰 할 경우 80% 이상에서 stable 한 상태로 크기변화 없이 유지된다.
  • 이러한 PTMC 의 속성에 기초하여 수술하지않고 경과를 보는 것을 active surveilance 라고 한다.
  • 1 cm 미만의 작은 PTC를 과거에는 모두 갑상선엽절제술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active surveillance (AS, 능동적 관찰)가 어려운 조건 (예를 들어 40세 이하의 young age, 이전부터 이미 자라고 있는 결절, 위치가 주변 기도/혈관/갑상선피막 침범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등)이 아니라면 환자의 충분한 이해 하에 능동적 관찰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갑상선암 Active surveilance 가 가능한 경우

  • 1cm 이하 크기의 Papillary thyroid microcalcinoma
  • Cytology 에서 aggressive subtype 이면 안된다.
  • ETE 가 없어야 한다.
  • Trachea 에 접해 있으면 안된다.
  • Thyroid lobe 의 dorsal surface 에 접해있으면 안된다. (자라면서 Recurrent laryngeal nerve 를 invasion 할 수 있기 때문)
  • LN metastasis 가 없어야 한다.
  • A – Active suveillance 를 하기에 이상적인 종양의 위치
  • B – dorsal side 는 Active suveillance 안됨. ventral side 에서는 bulging, capsule 과 contact 했거나, strap muscle 로 invasion 이 의심되더라도 Active suveillance 가능
  • C – Trachea 와 둔각으로 있는 경우 Active suveillance 안됨. 그러나 Trachea 와 예각이나 직각으로 있다면 Active suveillance 고려 가능
  • D – 일부 가이드라인에서는 RLN 근처나 trachea 근처에 위치한 종양은 Active suveillance 를 권장하지 않으며, 정상 갑상선 실질이 2mm 이상 둘러싸인 종양에서 Active suveillance 가 적절하다고 제안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