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C
1. Staphylococcus
- (1) S. aureus
- (2) MRSA (vs. MSSA)
- (3) CNS
- coagulase : fibrin 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 (면역에 대한 방어장벽으로 작용)
- contamination 의 원인균
2. Streptococcus
- (1) Group A beta hemolytic streptococcus
- 인두염의 원인균, 피부연부조직감염, 단독, 성홍열 등
- cf. GBS : S. agalactiae – 산도감염
- (2) S. pneumoniae
-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 뇌수막염 (횡격막 위쪽 장기 감염)
- (3) S. viridans (녹색연쇄구균)
- 감염성 심내막염 원인균
3. Enterococcus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낮으나, 면역 저하상태에서 UTI, IE, 복강내감염, 뇌수막염 가능 (기회감염)

* beta-hemolytic 은 완전 용혈, alpha-hemolytic 은 부분 용혈, 배지에 녹색을 띠게되어 녹색연쇄구균이라고도 하는 S. viridans. 사실 Viridans 는 특정 균이라기 보다 그룹이름.
GPB (= GPR, 그람양성간균)
- 1. 디프테리아
- C. diphtheria : 소아에서 인두염 with 위막
- 2. 리스테리아
- 50세 이상 환자에서 뇌수막염
- 3. 노카르디아
- 토양에 서식, 기회감염, 폐나 피부에 농양
GNC
- 1. 임균 (N. gonorrhoeae)
- 소변에서 나오면 성병(성매개 감염), 요도염, 자궁경관염, 다관절염, 가끔 인두염…
- 2. 수막구균 (N. meningitidis)
- 뇌수막염, 패혈증, DIC, 부신부전
- 3. Moraxella catarrhalis
- COPD 환자 등에서 폐렴 가능, 중이염, 부비동염 원인 (폐렴구균과 유사)
GNB
1. 폐렴 그룹
- (1) H. influenza (인플루엔자 간균)
- 비인강에 상주,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 뇌수막염 (폐렴구군과 판박이)
- (2) Legionella
- 에어컨, 물 등을 매개로 비전형 폐렴, 다양한 전신 증상, 저나트륨혈증, Gimenez stain 에 염색
- (3) Klebsiella pneumoniae
- 폐렴간균, 알코올 중독, 흡연자, 당뇨병 환자에서 폐렴 (생활습관 문제 환자)
2. 장염 그룹
- (1) 소장형 : E. coli / Vibrio / Yersinia
- E. coli : EHEC, EIEC 를 기억. EHEC 는 O-157, Verotoxin, HUS, 급성 뇌증, EIEC 는 이질균과 비슷
- Vibrio : 어패류 감염, 수양성 설사, 여름, 잠복기는 반나절 (어제나 오늘 회먹고 설사)
- Yersinia : 반려동물, 음료수, 고기 통해 감염, IC valve 에 염증, 잠복기는 2~7일, 소아.
- (2) 대장형 : E. coli / Salmonella / Campylobacter
- Salmonella : 달걀, 붉은귀거북, 고기 통해 감염, 잠복기 1~3일
- Campylobacter jejuni : 닭고기, 우유 통해 감염, 잠복기 2-7일, 발열, 복통, 점혈변, 저온에도 강함. (냉장고 소용 없음.), 길랑바레증후군 합병증
- (3) 해외여행형 : E. coli / Cholera / Shigella
- Vibrio cholerae : 쌀미음 설사, 탈수, 전해질 이상, 발열/복통은 동반 안함. 잠복기는 1~3일
- Shigella : 동남아시아 여행력, 발열, 복통, 점혈변, 뒤무직(대변은 마려운데 정작 변이 나오지 않는 상태 –> rectum 에 염증이 파급되어 있는 의미), 잠복기는 1~3일
3. 기타 (파퍼프페 티바 그룹)
- (1) 파 : Pylori
- (2) 퍼 : Bordetella pertussis : 야간에 whooping cough, 발열없음, 염증반응 정상, 림프구 증가
- (3) 프 : Proteus : Swarming, 배지를 덮어 다른 균을 making 가능, 단독 균혈증인 줄 알았으나 뒤늦게 다른 균이 발견되기도. (혈액배양일 경우 혼합 감염에 주의)
- (4) 페 : Yersinia pestis (페스트균) : 흑사병
- (5) 티 :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 : 해외여행력, 대식세포 속에서 증식(혈류감염에 의한 전신질환), 장미발진, 서맥, 호산구감소, 파라티푸스는 장티푸스의 경증 버전
- (6) 바 : Bartonella : 고양이 할큄병, 고양이 할 퀸 후 통증을 동반한 림프절 종창.
비정형 세균 (그람염색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경우)
1. Mycoplasma
젊은 사람에서 비정형 폐렴, 마른 기침, 청진소견 부족, 소화기 증상(설사, 구토), 피부증상(홍반, 두드러기), 간기능장애 등
2. Chlamydia
- (1) C. trachomatis
- 성병, 요도염, 불임 유발 가능, 신생아에서 결막염
- (2) C. pneumoniae
- 경증의 비정형 폐렴
- (3) C. psittaci
- 비교적 중증의 비정형 폐렴, 앵무새병 (새를 통해 감염)
3. Rickettsia
쯔쯔가무시, 야외 활동 후 1~2주 후 발병, 감염 증상, 홍역 유사 발진, 전신으로 전파. Eschar, DIC
혐기성균
1. Peptostreptococcus
구강내 상재균, GPC, 흡인성 폐렴의 원인균 (횡격막 위)
2. Bacteroides
소화관에 상재균, GNB, 복강내 감염의 원인균 (횡격막 아래)
3. Clostridium (GPC)
- (1) C. difficile
- 항생제 장기간 사용, 원내 설사, 알코올 소독에 소용 없음.
- (2) C. botulinum
- 통조림 통해 감염, 잠복기 하루, ACh 방출 저해, 이완성 마비, 부교감신경 마비, 독소
- (3) C. tetani
- 토양균, 외상 후 1주일 정도 지나서 발병, ACh 과다 방출, 빛자극으로 경련 유발 가능.
- (4) C. perfringens (Welch bacillus)
- 가스 괴저, 외상 후 감염시 창상부위 종창, 통증, 악취, 가스상, DIC, 식중독 원인균 (경증 장염)
SPACE (기회감염, 원내감염 대표균)
1. Serratia
물가 서식, 폐렴, 요로감염, SSTI, 복강내감염증, 패혈증, 배지에서 붉은색 colony
2. P. aeruginosa
물가 서식, 폐렴, 요로감염, SSTI, 복강내감염증, 패혈증, 면역저하환자, 장기입원환자, ICU 배경, 피부표면의 상처(수술, 외상, 화상), 도관이나 tube 등의 기구 삽관한 사람.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획득하기 쉽다. 알코올 소독이 중요!
3. Acinetobacter
폐렴(기관절개 후), 요로감염, SSTI, 복강내감염증, 패혈증 등. 항생제에 내성 획득이 쉽다. 이 균에 감염된다는 것은 이미 죽음이 가까워진 중증이라는 의미…
4. Citrobacter
장내세균과, 폐렴, 요로감염, SSIT, 복강내감염증, 패혈증 가능 (2017 신생아 중환자실 사망추정원인 균)
5. Enterobacter
장내세균과, (사실 장내세균의 1% 미만, 장내세균은 대부분 혐기성균), 폐렴, 요로감염, SSIT, 복강내감염증, 패혈증 원인
스피로헤타 ; 나선형의 그람음성균
- 1. 매독 : 대표적 성병
- 2. 보렐리아 (Borrelia) : 참진드기, 라임병, 이동홍반
- 3. 렙토스피라 (Leptospira) : 쥐 오줌으로 오염된 물을 매개로 감염, Weil병 (신장장애, 황달, 출혈경향)
항산균
- IGRA : 기존에 감염됐던 경우도 양성으로 나오므로, 과거에 한번이라도 양성으로 나왔다면 이 후에는 스크리닝으로 사용할 수 없음. 음성이면 일단 안심이라는 느낌.
- 전염을 막기 위해 환자 본인은 수술용 마스크, 주변사람은 N95 마스크 착용
출처 : 항생제 스타트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