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전절제 수술 후 초음파 소견

갑상선 절제 후 정상 초음파 모습

갑상선절제술 후 central neck compartment의 정상 소견.

초음파(US) 영상에서 보이는 것은 (a) 갑상선 자리(thyroid bed)에서 fibrofatty connective tissue로 인한 균일한 echogenic texture(화살표머리); (b) 식도(arrow)가 차지하고 있는 좌측 갑상선 자리.

갑상선 절제 후 재발 모습

초음파(US) 영상에서 central neck compartment에서 악성 의심 소견을 보여줌.
이후 시행한 생검에서 재발이 확인됨.



US 영상에서 보이는 것은 (a) carotid artery와 trachea 사이에 위치한 재발에 특징적인 둥근, hypoechoic 결절(arrow); (b & c) 갑상선 papillary carcinoma에서 전이된 종양의 hyperechoic 소견(arrowheads), 이는 thyroglobulin 침착 때문임. (c)에서 보인 재발은 이후 조직검사에서 insular type의 thyroid carcinoma로 확인됨.

조직검사로 확인된 재발된 papillary thyroid carcinoma.

초음파(US) 영상에서 central neck 재발 병변이 heterogeneous internal echoes와 cystic components(화살표)를 보임. 여기에서 보이는 cystic necrosis는 papillary carcinoma에서 더 흔하게 나타남.

정상 lymph node 모습

(a) 초음파(US) 영상에서 정상 림프절과 reactive hyperplastic nodes를 보여줌. 특징은 길쭉한 모양과 인접 지방과 연속되는 잘 정의된 echogenic hilum(검은 화살표머리).
(b) Power Doppler 영상에서 림프절 중심부 또는 hilum으로 혈관이 들어가 각 끝부분까지 확장되는 양상을 보여줌.

Echogenic centre를 가진 lymph nodes는 일반적으로 양성이며, oval 또는 cylindrical 형태의 노드도 마찬가지이다.(1) Echogenic centre는 fatty hilum을 나타낸다. 정상 노드와 reactive hyperplastic nodes는 길쭉한 모양과 인접 지방과 연속된 잘 정의된 echogenic hilum을 특징으로 한다 (Figs. 5a & 6a). Power Doppler에서는 혈관이 노드의 중심 또는 hilum으로 들어가 각 끝부분까지 확장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Figs. 5b & 6b).
작은 노드에서는 echogenic fatty hilum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5 mm 미만인 경우 그렇다. 이러한 작은 elongated 노드는 임상에서 흔히 관찰되며, 일반적으로 양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

Fig. 7 초음파(US) 영상에서 5 mm 미만의 작은 elongated node를 보여줌. 이러한 노드는 일반적으로 양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작은 노드에서는 echogenic fatty hilum이 확인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5 mm 미만인 경우 그렇다. 이러한 작은 elongated 노드는 임상에서 흔히 관찰되며, 일반적으로 양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

Fig. 8 초음파(US) 영상에서 작고 다소 둥근 노드(small and somewhat rounded node)를 보여줌. 이는 양성 노드의 elongated shape와 대조되며, indeterminate 또는 완전히 양성으로 보이지 않는 노드를 시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노드에서는 echogenic hilum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indeterminate 소견이 관찰될 경우, 확실한 조치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관리 결정은 환자의 위험 프로파일과 serum thyroglobulin 수치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Metastatic nodes는 일반적으로 hypoechoic이다 (Fig. 8). 그러나 PTCs에서 기원한 metastatic nodes는 hyperechoic인 경향이 있다 (Fig. 10a). 이는 Tg(Thyroglobulin) 침착 때문임.(17) 또한, 노드가 둥글수록 침범 위험이 더 크다 (Figs. 8 & 10a).(1) Nodular calcification은 일반적으로 metastatic nodes에서 드물지만, PTCs에서 기원한 metastatic nodes에서는 흔히 관찰된다 (Figs. 10a & b).

Hilar vessels에서 기원하지 않고 peripheral vascularity를 보이거나, peripheral과 hilar vascularity가 혼합된 경우, 악성을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 (Figs. 11 & 12b). 이러한 peripheral 또는 capsular vessels는 종양 세포가 방출하는 pro-angiogenesis factors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malignant adenopathy의 징후에는 internal calcification, peripheral과 hilar vascularity의 혼합(재발 papillary cancer의 거의 확실한 징후) (Figs. 11 & 12b), cystic 또는 부분적으로 cystic한 노드 (Fig. 12a), 그리고 echogenic nodes가 포함된다.

Fig. 13에서 보이듯, 주변 구조물로의 국소 침습이 있는 진행된 nodal disease를 놓쳐서는 안 된다.
PTC 환자에서 longitudinal US 영상은 오른쪽 internal jugular vein 내강(lumen)에 echogenic mass를 보여준다 (Fig. 13a). 이에 상응하는 CT 영상에서는 인접한 metastatic lymph node가 오른쪽 internal jugular vein을 침습한 것이 확인된다 (Fig. 13b). 또한 오른쪽 thyroid bed에서 종양 재발도 관찰된다.

Leboulleux 등은 보고한 바에 따르면, cystic appearance와 punctate calcifications의 경우 악성 특이도(specificity)는 100%였으나, 민감도(sensitivity)는 각각 46%와 11%로 낮았다.(18) 같은 연구에서 가장 좋은 민감도-특이도 균형(86%와 82%)을 보여준 US 소견은 intranodal vascularisation 패턴이었다.

Reference : Singapore Med J 2014; 55(4): 177-183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