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증환자(혈액투석 및 복막투석환자) 필수경구약제 용어정의 (보험인정기준)
02_진료 자료/보험급여기준
2023-02-24 14:42:16
만성신부전증환자(혈액투석 및 복막투석환자) 필수경구약제 용어정의 (보험인정기준)
고시 제2013-127호
만성신부전증환자(혈액투석 및 복막투석환자)
가. 혈압강하제(고혈압 치료제)
1) 이뇨제
2) 교감신경차단제:α, β Adrenoreceptor blocking agents
3) 혈관확장제
4)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Angiotension Ⅱ 수용체 차단제 포함)
5) 칼슘채널 차단제(Ca- Blocker)
나. 인산염흡수방지제
1)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CaCO3)
2) 알루미늄을 포함한 제산제
3) 초산 칼슘정 등
다. 비타민제
1) 수용성비타민제
2) 엽산
3) 비타민D3제제
라. 조혈제:철분제제
2020.09.14 – [투석실이야기] 투석받으시는 분들이 약이 많은 이유
[투석실이야기] 투석받으시는 분들이 약이 많은 이유
투석실에서 한 환자 분이 제게 물어봅니다. “선생님, 왜 저는 약이 이렇게 많은가요?” 투석하시는 분들은 드시는 약이 참 많습니다. 보통 7~8가지는 되는 것 같습니다. 보통 아침, 저녁식후로 드시
sondoctor.co.kr
혈액투석 약제 관련 보험규정
혈액투석 약제 관련 보험규정 관련포스팅 : 2020.09.14 – [투석실이야기] 투석받으시는 분들이 약이 많은 이유 EPO (조혈주사) 시작 투석 중인 말기신부전 – Hb 10 이하 or Hct 30 이하에서 시작 투석을 시
sondoctor.co.kr
#용어 #혈액투석 #보험기준 #투석 #복막투석 #필수경구약제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