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 blocker 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

교감신경 수용체 간단 정리

  • Alpha1 : contracts mooth muscles (혈관, 동공, pylorus, urinary sphincter, prostate)
  • Alpha2 : pre-synaptic nerve terminal (inhibitory function – negative feedback)
  • Beta1 : heart (cardiac output 증가), kidneys (renin 증가)
  • Beta2 : relaxes smooth muscles (폐 기관지, 혈관, 위장관, 방광, 자궁), liver (glucose 방출 via glycogneolysis, gluconeogenesis), pancreas, eye
  • Beta3 : adpose tissue (lipolysis 증가), bladder (urination 억제)
Br J Anaesth . 1984 Jul;56(7):751-65

Beta blocker 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

출처 :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11/e) 158-159p

Propranolol 같은 beta blocker 는 교감신경을 억제합니다. 교감신경은 lipolysis을 자극하는데, beta blocker 는 이 과정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대사와 관련해서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나 beta blocker 는 간에서의 glycogenolysis 과정은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lipolysis 억제, glycogenolysis 부분적 억제

Glucagon 은 저혈당 상황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작용하는 혈당을 올리는 호르몬 입니다. 불충분한 glucagon reserve 를 가진 당뇨환자나 췌장절제 한 환자의 경우 glucagon 대신 catecholamine 이 간에서 포도당을 방출하여 혈당을 올리는 주된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이런 환자에게 beta blocker 를 사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Beta1 receptor selective drugs (nebivolol 등) 는 이러한 특성이 덜 한 것으로 보입니다.
Beta blocker 는 hypoglycemic episode 가 없었던 T2DM 환자에서 좀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1DM 이 더 취약함.)
  : Type 1 DM 환자나 췌장절제 환자에서 beta blocker 사용시 저혈당 주의 필요
  : Beta 1 selective blocker 의 경우 이러한 효과가 덜 한 것으로 보임.

Beta blocker 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VLDL 이 높고 HDL-C 가 낮은 것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LDL 은 대체로 변화가 없으나, HDL-C/LDL-C ratio 가 감소하는 것은 coronary artery disease 의 risk 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selective beta blocker, nonselective beta blocker 모두에서 발생합니다.
  : Beta blocker 지속 사용시 VLDL 상승, HDL-C 감소 연관

Nebivolol : most highly selective beta1 blocker (추가적으로 vasodilation 효과도 있음)
Carvedilol : nonselective beta blocker (부분적으로 alpha1 도 block 함), 반감기는 6~8시간, 간에서 대사
oxygen free radical 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vascular smooth muscle mitogenesis 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chronic heart failure 에서 사용시 임상적 이점이 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