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감소, 백혈구증가 어떻게 접근하나? : Neutropenia, Neutrophilia, Neutrophilia, Lymphocytes, 골수검사

https://www.aboutkidshealth.ca/Article?contentid=1511&language=English&hub=bmt

백혈구 분류와 용어

Myeloid : (형태로 구별 가능)
  – Granulocytes : Neutrophils, Eosinophils, Basophils
  – Monocytes
  – Mast cells

Lymphoid : (세포 표지자 (CD marker) 분석을 통해 아형을 구별)
  – Lymphocytes : T lymphocytes, B lymphocytes, NK cells
  – Plasma cells

정상 백혈구 수의 증가/감소 : Leukocytosis/Leukopnenia
악성 백혈구의 증가 : Leukemia
과립구 연관 :
  – Neutrophilia (호중구증가) / Eosinophilia (호산구 증가) / Basophilia (호염구 증가)
  – Agranulocytosis (무과립구증) / Neutropenia (호중구 감소)
단핵구 단독 증가 : Monocytosis
림프구 증가/감소 : Lymphocytosis/Lymphopenia
형질세포 단독 증가 : Plasmacytosis

Harrison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E

Neutrophil (호중구)

분포

* Bone marrow : 90%
* Tissue : 5~7%
  – infection 시에는 tissue 로 더 분포하게 됨 (전체 호중구수 증가)
* Blood : 2~3%
  – 절반은 circulating pool
  – 나머지 절반은 Marginating pool (비장, 간, 폐 모세혈관) 에 존재
  – Steoid, Epinephrine 등 : 골수 밖으로 이동 촉진 (전체 호중구수는 일정)
수명 : 3~4일 이내 apoptosis

Harrison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E

Neutropenia (호중구 감소증)

Neutropenia 발생시 알고리즘

(1) 감염의 증거가 있나?
(2) 약물
(3) 새로 확인된 결과? : 빈혈, 혈소판 감소 동반?
  – Pancytopenia
    : Low B12, Folate (영양문제) – megaloblastic anemia 진단
    : 자가면역질환 가능성?
  – Isolated neutropenia : 골수검사
* 보통 호중구수가 500 미만으로 감소하기 전까지는 대체적으로 치료를 고려하지 않고 경과 관찰하는 추세 

* Neutropenia 의 원인

  – 골수기능저하 : 재생불량성빈혈, 비타민/엽산 결핍,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약물, 감염, 면역반응 등
  – 조직으로의 분포 증가 : 간/비장 비대 (가성호중구감소증), 급성 감염증
  – 자가면역성 호중구 파괴 : 자가면역성 호중구 감소 (ANCA)

Harrison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E

Neutrophilia (호중구 증가증)

Neutrophilia 발생시 알고리즘

(1) 재검실시 : 정상이면 No further evaluation
(2) 재검에도 neutrophilia 지속시 : PBS 시행
(3) Leukoerythroblastic (말초혈액에서 미성숙 백혈구 및 유핵적혈구 관찰 : 골수 침윤 병변 시사)
  – Yes : 골수질환의심
  – No : 2차성 원인 확인
    : 약물 – Steroid, Lithum, NSAIDs, Epinephrine 등
    : 감염증, 자가면역질환, 대사질환, smoker, 특발성

Harrison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E

Monocytes (단구)

호중구와 비슷한 기능
조직에서 macrophage 로 발달
과잉염증반응 발생시 혈구탐식증의 주요세포 (사이토카인폭풍 및 혈액세포감소를 유발)

Monocytosis 의 원인

Neutrophilia 원인과 비슷
호중구 감소, 무과립구증에서 상승해 보일 수 있으므로 해석시 유의
고령의 경우 악성질환 고려

Lymphocytes (림프구) 

Lymphocytes 의 종류

  – Helper T cell (30~60%)
  – Cytotoxic T cell (15~30%)
  – B cell (20~50%)
  – NK cell (2~13%)

Lymphopenia 의 원인

  – 약물 : 스테로이드, 표적치료제 (Rituximab 등)
  – 감염 : 여러가지 바이러스 감염 (HIV 등)
  – 자가면역질환
  – 골수질환
* Lymphocytes 가 감소하면 여러가지 비전형적 기회감염이 발생 가능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Opportunistic-infection-on-the-basis-of-CD4-count_tbl3_342406376

골수검사

골수검사 적응증

50세 이상에서 원인불명의 단일 혈액세포군 이상 소견
두가지 이상의 원인물명 혈액세포군 이상 소견
범혈구 감소증
명확한 원인이 있다면 해당 세포군은 제외 (철결핍성 빈혈, 면역성 혈소판감소 등)
* 정상세포충실도 (cellularity, %) : 대략 100에서 환자 나이를 빼면 유추가능

골수검사 없이 골수기능 예측하는 방법
MCV 증가

(1) MCV 증가 + Reticulocyte 적절한 수준 (4~5%)
  – 적혈구 DNA 합성 장애 (folate, Vit B12 결핍)
(2) MCV 증가 + Reticulocyte 증가 (10% 이상)
  – 출혈, 용혈 (적혈구를 빠르게 생성해야하는 경우)
(3) MCV 증가 + Reticulocyte 정상 혹은 감소 (2% 미만)
  – 골수 생성능력이 저하 (골수억제약물, 골수질환 등)

Reticulocyte count

  – 골수의 적혈구 생성지표 (RPI) : 빈혈이 있을 때 적절한 증가는 골수기능이 보존되어 있음을 의미
(빈혈이 동반되어 있음에도 정상이하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골수 기능 저하를 예측, 특히 MCV 도 같이 증가되어 있을때.)

(예시) 70대 건강검진에서 백혈구(호중구)만 감소되었다면?
  – MCV 가 높고 Folate, Vit B12 는 정상 : 골수 기능 저하 의심
  – 향후 혈구감소가 진행한다면 골수검사 고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