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음의 부가음

(1) Wheezing 과 Rhonchi

Wheezing

연속적인 높은 호흡음. 주로 400Hz 이상의 높은 소리
Airway obstruction 을 유발하는 모든 질환 (기관지 종양, 천식, COPD 등) 에서 나타날 수 있음.
특히 천식환자에서 쌕쌕거리는 특징적인 소리

  •   – Monophonic wheezing : 단일 음색으로 구성된 소리
  •   – Polyphonic wheezing : 여러 음색으로 구성된 소리, 주로 Expiration 시에 주로 일어남, central bronchi 의 compression 에 의해 발생. COPD 환자에서 이 소리가 들리면 광범위한 기도 폐쇄를 의미. 정상인에서도 forced expiration 시에는 이 소리가 들릴 수 있음.
Rhonchi

연속적인 낮은 호흡음. 주로 200Hz 이하의 낮은 소리
코 고는 듯한 소리

(2) Crackles

비연속적인 수포음을 묘사하는 표현
예전에는 Rale 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ATS 에서는 crackle 표현을 권장

Early crackle vs Late crackle
  •   – Early crackle : low pitched, scanty crackle, 주로 COPD 에서 발생, 환자의 입을 통해서도 들릴 수 있음. (Transmission to mouth)
  •   – Late crackle : profuse crackle, 주로 ILD 에서 발생, 청진시 lower lobe 에서 더 잘 들림 (gravity dependency)
Fine crackle vs Coarse crackle
  •   – Fine crackle : explosive opening of small airway 로 인해 발생 (닫혀있던 작은 기도가 airflow 에 의해 갑자기 열려 발생), restrictive lung diesease (IPF, asbestosis 등) 에서 late fine crackle (IFP 에서 velcro-like crackle, snow-shoe crackle 이라고 묘사됨)
  •   – Coarse crackle : airway 분비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 airway secretion 이 증가하는 bronchiectasis 와 COPD 에서 들리며 기침에 의해 분비물이 제거되면 사라지는 특징. CHF 에서도 inspiratory cycle 중 coarse crackle 청진 가능

(3) Stridor

후두나 기관 등 큰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주로 흡기시 발생하는 소리
청진을 하지 않아도 매우 크게 들리는 편.
크룹, 이물질 흡인, Extubation 후 기도 부종, 종양, 기도 협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음.

(4) Pleural friction rub

Pleural space 에 염증이나 섬유화가 발생하여 들리는 소리
낡은 가죽이 삐걱거리는 소리, 드르륵거리는 소리
비연속적인 low pitched sound 로 흡기, 호기 모두에서 들림

* 인용출처 : “쏙쏙들어오는 호흡기생리” 중 발췌

https://medizzy.com/feed/38740451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