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 운동 촉진제 정리 (prokinetics)

위장운동촉진제 (Prokinetics)

  • (1) D2 antagonist
  • (2) Serotonergic agonist
  • (3) Motilin receptor agonist
Aliment Pharmacol Ther 1999; 13: 1585±1591.

D2 antagonist

  • 장관신경계와 뇌의 구토중추(vomiting center)에 존재하는 도파민 D2 수용체를 억제
    • → 장관 운동성 증가 + 항구토작용
  • 주로 상부위장관에 작용
  • 종류 : metoclopramide, domperidone, levosulpiride, itopride
(1) Metoclopramide 

두 가지 기능 : 도파민 D2 수용체 길항제 효과 (→ 도파민 감소) + 5-HT4 수용체 작용제 효과 (→ 신경말단 아세틸콜린의 분비 촉진)

  • → 하부식도조임근의 조임, 위의 운동과 위압력을 증가, 위전정부와 십이지장 조율을 개선, 위배출시간을 감소
  • → 장관 운동성 증가 + 항구토작용
Blood brain barrier 통과

가역적 부작용 : 졸림, 피곤함, 무기력, 고프로락틴혈증, 우울증의 악화 등

extrapyramidal symptom 중 가역적인 증상 : 전신이나 얼굴의 연축, 사경(torticollis), 안구운동발 작 등을 포함한 급성 긴장이상반응(acute dystonic reaction) 등

extrapyramidal symptom 중에서 비가역적 증상 : 안면, 혀 혹은 사지의 불수의적인 운동을 나타내는 지연성 이상운동증(tardive dyskinesia, 약제를 중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속, 약제 사용 시 가장 주의해야 할 부작용)

tardive dyskinesia 의 발생 위험인자 : 고령, 여성, 유전적 소인, 당뇨의 과거력, 12주 이상의 메토클로프라미드 복용력 등 (3개월 이내로 권고, 유럽 의약청에서는 5일 이내의 사용만을 권고함, 한국에서도 5일 이내의 단기간 처방 및 24시간 최대용량을 체중 kg 당 0.5 mg으로 권고)

(2) Domperidone

metoclopramide 와 비슷 (위장운동 촉진 및 항구역 작용) 이나 BBB 를 통과하지 않음.

하지만 BBB 바깥에 위치한 뇌하수체에는 영향 주므로 두통, 입마름, 설사, 고프로락틴혈증, 유루증 등 발생 가능 (7% 미만)

Cardiotoxicity : QT interval prolongation (하루 30 mg 이상 투여시 더 쉽게 발생)

  • → 높은 농도에서 심근세포의 재분극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hERG 채널을 억제하므로
  • → QT prolongation 유발 약제, CYP3A4를 억제하는 약제와 병용하지 않을 것이 권고됨.
  • → 가능한 최소용량으로 사용하되, 60세 이상 주의 권고
  • → 한국 : 성인 1회 10 mg, 1일 3회, 치료 기간은 최대 1주일 이내로 사용 권고, QT분절 연장 의약품 병용금기
(3) Levosulpiride
  • 두 가지 action : 도파민 수용체 억제 + 5-HT4 / 5-HT3 수용체에도 작용 → 효과 증진 
  • BBB 통과 : extrapyramidal symptom 주의, 파킨슨양 증상에 유의
  • 고령층 사용시 주의
(4) Itopride
  • 말초에서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도파민 억제제
  • extrapyramidal symptom 등의 CNS 부작용 없음.
  • Cardiotoxicity 없음
  • 식후포만감, 조기만복감을 비롯한 전반적인 증상의 호전에도 효과있음.

Serotonergic agonist

  • 5-HT4 receptor 에 작용, 신경 말단에서의 아세틸콜린 방출을 유도 → 장관의 운동성을 증진시키는 약제들
  • 종류 : cisapride, mosapride, tegaserod, prucalopride 등
(1) Cisapride
  • Serotonergic agonist 의 원형
  • Cardiotoxicity (hERG 채널을 억제하여 QT prolongation 유발) 로 시장에서 퇴출됨
(2) Tegaserod

급성 심근경색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2008년 시장에서 퇴출됨

(3) Mosapride
  • 두 가지 action : selective 5-HT4 receptor agonist + 5-HT3 receptor antagonist
  • 주로 상부위장관의 운동성을 증진
  • hERG 채널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아 심각한 Cardiotoxicity 없음.
(4) Prucalopride
  • 5-HT4 receptor에 높은 선택성과 친화도를 가짐.
  • 주로 하부위장관 운동성 증가, 주로 변비약으로 사용
  • 위마비 환자에서도 사용 고려 가능
  • 심독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음
  • 부작용 : 두통, 오심, 복통과 설사 등 (사용 첫 주에 부작용이 10~20%까지 보고, 시간 지나면서 호전)
Aliment Pharmacol Ther 1999; 13: 1585±1591.

인용출처 : Korean J Med 2021;96:478-483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