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초음파] 대동맥 판막 질환 (AS)
2023-01-18 16:47:29

[심초음파] 대동맥 판막 질환 (AS)
심초음파에서 보이는 정상 대동맥판막
Parasternal short axis
– 정상 대동맥판막은 종이처럼 얇다.
Parasternal short axis
– Rt. coronary cusp
– Lt. coronary cusp
– non coronary cusp

3, 5 chamber view
M-mode
– 닫힐 때 한 줄로 보이는지 확인 가능.

선천성 대동맥판 기형
(1) 단엽 대동맥판
(2) 이엽 대동맥판
(3) 사엽 대동맥판
이엽 대동맥판
– 가장 흔한 대동맥판막의 선천적 이상 (인구의 1~2%)
* Parasternal long axis view

A 는 이완기
–> 대동맥판 첨판이 annular plane 뒤로 넘어간다.
B 는 수축기
–> 대동맥판의 doming 은 첨판의 제한된 움직임을 시사한다.
* Parasternal short axis view

많은 경우 정상으로 발달되지 않은 commissure 인 raphe 가 관찰된다.
대동맥판의 이상은 대동맥류 또는 대동맥축착과 동반되어 있을 수 있다.
정상기능 (15%), 협착 (72%), 역류 (4%), 심내막염 (9%)
대동맥판 협착증 (AS)
* Parasternal long axis view
에서 수축기에 doming 으로 관찰됨

Cusp calcification and thickening
Cusp motion limitation and doming
LVH
* Parasternal short axis view
에서 물고기 입 모양

Cusp calcification and thickening
Cusp motion limitation
Commissureal fusion (in Rheumatic AS)
* Rheumatic AS 와 Degenerative AS 의 차이

Rheumatic AS 의 경우 commissural fusion, Multivalvular involvement
MV 를 더 먼저 침범하기 때문에 같이 involve 하는 경우가 많다.
촛농이 흘러내리는 모양
* Doppler Examination

* CW doppler
– AS severity 평가시 중요
– 그림만 잘 그려주면 Peak pressure gradient, Mean pressure gradient 를 산출해 준다.
– Angle dependency 가 있으므로, 여러 방향에서 측정하여 도플러의 방향이 대동맥판을 지나는 혈류와 최대한 평행이 되도록 해야한다.

* LVOT obstruction 의 감별진단
– Valvular Aortic stenosis
– Subaortic membrane (Membrane 이나 web 이 생겨 obstruction)
– HCMP

* High velocity systolic jets that may be mistaken for AS
– MR, TR, Supravalvular stenosis, VSD, Pulmonary artery stenosis, Peripheral vascular stenosis (e.g. Subclavian artery)
* AS jet vs. MR jet
AS jet : short duration, QRS 이후에 jet 이 시작
MR jet : wide, earlier, 보통 Vmax 가 5m/s 이상, QRS 바로 직후 혹은 동시에 jet 이 시작

* Aortic Valve 의 Area 계산
(1) 2D planimetry
– 판막의 석회화가 심한 경우 정확한 판구 면적의 측정이 어렵다.
– 최소한 대동맥 cusp 내면의 80% 는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TTE 보다 TEE 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 판막의 첨단 (orifice tip) 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어느 부위에서 그림을 그리냐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다.
(2) Continuity Equation
연속성의 공식 (Continuity equation) 을 이용


[ LVOT 면적 x LVOT 혈류속도 ] = [ Aortic Valve 면적 x Aortic valve 혈류속도]
Aortic Valve 면적 = [ LVOT 면적 x LVOT 혈류속도 ] / [ Aortic valve 혈류속도]


LVOT 면적은 3.14 x 0.87 x 0.87 = 2.4 cm2
LVOT flow 는 2.4 x 33 = 79.2 mL
AVA = 79.2 / 107 = 0.74 cm2
* LVOT PW doppler 시 주의할 점

LVOT 에서 PW 획득시 정확한 위치
대동맥판막의 closing click 만 관찰되고, Doppler profile 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현상 (spectral broadening) 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LVOT 에서 PW 획득시 부정확한 위치
표본용적이 대동맥판막에 너무 가까이 위치한다.
Doppler 스펙트럼에서 대동맥판막이 열릴 때와 닫힐 때의 opening click 과 closing click 이 모두 관찰되고 doppler jet 이 넓어져서 TVI 측정시 과대평가 된다.
* Continuity Equation 시 주의할 점
– LVOT area 는 parasternal view, LVOT TVI 측정은 apical view 에서 측정하므로, 측정 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 LVOT 가 원형일 것이라는 기하학적 가정에 의한 측정이다.
– LVOT 를 향하는 혈류가 어느 위치에서도 동일할 것이라는 가정에 의한 측정이다.
– LVOT 직경의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 LVOT 혈류 측정 시 Doppler sample volume 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다.
…
* 대동맥판 협착 중등도 평가



* 대동맥판 협착 중등도 평가 시 주의 사항
Doppler 로 측정된 압력차는 판막을 지나는 혈류량에 의존적이므로 높은 압력차가 항상 심한 판막협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 : 중등도 이상의 대동맥판 역류와 동반된 경우 실제 대동맥판 전후의 압력차 보다 높게 측정된다.)
심방세동이 있는 경우 심박동 마다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
A. fib 이 있는 경우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2D planimetry 를 이용한 측정이나, LVOT/AV TVI ratio 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관련 포스트 :
2018/11/12 – [MC] 판막질환 (1) Aortic Stenosis
2018/10/01 – [MC] 심낭 질환 : Constrictive pericarditis, Congenital Absence of Pericardium (심낭막 결손)
2018/10/01 – [MC] 심낭 질환 : Pericardial Effusion, Cardiac tamponade
끝.
2019-02-03 오전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