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후군출혈열 한탄바이러스 감염

개요   한탄 바이러스(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등에 의한 급성발열성 질환을 말한다. 기본정보   1951-1953년 한국전쟁 중 UN군에서 약 3200명 이상의 신증후군출혈열 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수백명이 사망함으로써 이에 대한 원인 규명에 나서, 1976년 이호왕 등이 신증후군출혈열 환자의 회복기 혈청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항원을 등줄쥐에서 발견, 이 항원이 신증후군출혈열의 원인바이러스임을 확인하고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의 이름을 … 더 읽기

급성 설사(장염)에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급성 설사에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indication 을 알고 있어야 한다. 요약하면 38.5도씨 이상의 발열과 함께 혈변, Stool WBC 증가, 면역저하자나 고령의 경우 항생제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만 HUS 때는 항생제 사용이 금기이다.   설사란 비정상적인 액상의 변이나, 형태가 없는 변으로 배변의 횟수가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대게 대변의 양이 200g/day 초과시 설사로 여겨지며, 급성의 경우 2주 … 더 읽기

Fever control (해열) 해야하는 경우

fever control 해야하는 indication 을 알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 발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섣불리 열을 떨어뜨리지 않고 열의 패턴과 경과를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정 환자의 경우 열을 내리는 치료가 필요하다. 발열은 37도씨에서 1도씨 체온이 증가할 때마다 산소 요구량이 13% 정도 증가한다. 따라서 기존의 심장이나 폐기능, 중추신경계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에게서 발열은 이러한 질환을 더욱 … 더 읽기

만성 췌장염 (원인, 통증기전, 통증치료, 합병증, 치료)

만성 췌장염의 임상적 특징 만성 췌장염은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췌장의 손상이며, 이로 인해 기능적인 이상을 가져온다. 3가지 임상적인 특징이 있는데, (1) 복통, (2) 췌장의 내분비, 외분비 이상, (3) X-ray 에서 pancreas 의 calcification 이 보이는 것이다. 급성 췌장염의 10% 에서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되며, 반복적인 췌장염의 경우 30% 에서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만성췌장염의 위험인자 및 원인 가장 중요한 … 더 읽기

췌장종양 (췌장암, 자가면역췌장염, IPMN, MCN, 장액성낭선종)

(1) 췌장암   고위험군은 FAP, FAMM, Herediatary pancreatitis 의 유전적인 요인과, 흡연, 만성췌장염, 고령, 오랜 기간의 당뇨, 최근 갑자기 발생한 당뇨 환자인 역학적 요인이 있다. 최근 carcinogenesis 의 key molecular change 가 밝혀 졌는데 (PanIN model), kras –> p16 –> SMAD4 –> p53 mutation 이다. 현재까지 조기 진단의 도구는 없는 상태이다. CA 19-9 는 sensitivity … 더 읽기

[MI] 요로감염 (Based on Mandell)

요로감염 서론   요로감염 처음에는 쉬운 질환이라고 생각했는데, 알면 알수록 간단하지 않고 어려운 질환이다. 치료에 있어서도 디테일이 있어야 하는 것 같다. 만델에 나온 요로감염 파트를 치료를 중심으로 간단히 요약해본다. Terminology   Cystitis 는 dysuria, frequency, urgency, suprapubic tenderness 를 동반한 syndrome 을 지칭한다. Acute pyelonephritis 는 flank pain, tenderness, fever, dysuria, urgency, frequency 등을 동반한 … 더 읽기

[MI] 항생제 종류

Penicillin 1. Beta lactamase susceptable narrow spectrum penicillin 2. Beta lactamase susceptible enteric active penicillin 3. Beta lactamase susceptible enteric active & antiPseudomonal penicillin (1) Carboxypenicillin : 그람음성균 추가, 녹농균 향균력 (2) Ureidopenicillin : 그람음성균 추가, 녹농균 향균력 4. Beta lactamase resistant anti-staphylococcal penicillin (1) Isoxazolyl penicillin (2) Nafcillin : 주로 간에서 대사, 신기능 저하시 감량 필요 없음. … 더 읽기

[MI] 항생제 요약 (Based on 항생제 스타트)

* 서론 스펙트럼이 넓다는 것이 좋은 항생제는 아니다. 불필요한 균까지 커버하는 것은 장래 항생제가 듣지 않는 균을 키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 본론 1. 페니실린 계   (1) 페니실린 G     – 황색포도구균을 제외한 그람양성구균에 잘 듣는다. (A군 용혈연쇄구균, 폐렴구균, 녹색연쇄구균 등) 이전에는 황색포도구균에 잘 들었으나, 내성을 획득하여 90% 이상이 저항성이다.   (2) 아미노 페니실린 … 더 읽기

[MN] 고혈압과 관련된 신장질환

Proteinuria (단백뇨) 의 분류 JNC-8 (2014) 고혈압 가이드라인 KDIGO 가이드라인   ACEi 나 ARB 는 aldosterone 의 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Generalized arterial vasodilation 을 일으켜 BP 를 낮추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신장에서는 Efferent, afferent glomerular arterioles (특히 Efferent) 의 Vasodilation 을 일으키므로, 이로인해 Intra-glomerular pressure 를 감소시키고, GFR을 감소시키나(일시적 – 30% 이상 감소시 중단해야 한다.), Urine … 더 읽기

[MN] 요로결석

요로 결석   유병률은 5%, 재발률은 5~10년 이내에 50%, 일생 동안 요로결석을 앓을 확률은 10~15% 정도 된다. 발생 원인은 유전적 소인 (대사 이상), 요로 모양의 이상, 환경적 요인, 수분섭취 감소가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 백인과 온대지방의 아시아인에 호발하며, Renal tubular acidosis, cystine, xanthine 의 대사이상 질환에서 잘 생긴다. 20~40대의 남성에 호발하며 (남:여 = 3:1) 남성에서 호발하는 … 더 읽기

[MN] 복막 투석

Exit site infection   가장 흔한 원인균은 S. aureus 이며 비교적 흔하면서도 심각한 균은 P. aeruginosa 이다. 치료는 1세대 세팔로스포린이나 Penicillase-resistant penicillin 를 S. aureus 를 cover 하기 위해 empirical oral antibiotics 로 선택한다. 다만 이전 MRSA 나 Pseudomonas spp. 의 감염 혹은 colonization 되지 않았었던 환자여야 한다.   (1) Gram positive 균이라면 S. aureus … 더 읽기

만성 C형 간염

C형 간염 진단   HCV antibody test 가 양성이라면 HCV RNA test 를 시행하여 Not detect 라면 현증의 감염은 없는 상태이므로, 확진을 위해 6개월뒤 재검을 권고하며, detect 가 된다면 current HCV infection 이므로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 급성 C형 간염의 serologic marker 의 변화 HCV Genotype/Subgenotype   HCV 유전자형 검사는 항바이러스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 더 읽기

담낭질환, 담관질환

급성 담낭염을 확진하기 위한 검사   abdomen sono로 담석을 동반한 담낭염이 의심이 된다면 추가로 검사할 만한 것은 가장 도움이 되는 검사를 꼽으라면 DICIDA scan 이다. 급성 담낭염일 경우 담낭이 조영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DICIDA 가 hepatic phase 를 지나 biliary system 으로 배출이 되는데, cystic duct 의 obstruction 을 보이는 급성 담낭염일때는 담낭이 조영이 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 더 읽기

[MI] 신종바이러스 질환들

1. 바이러스 출혈열 (1) 마버그 바이러스 (Marburg hemorrhagic fever)    우간다에서 발생하였고, 에볼라바이러스와 같은 filovirus 종류로, 증상이 유사하다. 잠복기는 2~21일이며 초기 발열 이 후 복통과 설사가 발생하며, 이 후 2차 감염, 신부전, ARDS 등으로 진행하며, 8~9일째 사망에 이르는데, 출혈이나 저혈량에 의한 쇼크로 사망한다. 치료제나 백신은 아직 없다. (2) Lassa fever    나이지리아에서 2016. 12 부터 500여명의 환자가 … 더 읽기

[MI] 면역저하자 감염

Neutropenic fever Neutropenic fever 는 Most common pathogen 을 target 으로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most serious pathogen 을 target 으로 약제를 선택한다. 대체로 Pseudomonas 균을 target으로 사용한다. Ecthyma gangrenosum Pseudomonas seruginosa bacteremia 우리나라 가이드라인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에서 감염의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 경험적 단일 항균제로 pip/taz, cefepime, imipenem/cilastatin, meropenem 을 권장한다. … 더 읽기

[MI] 가을철 열성 질환 및 곤충매개 질환

Tick (참진드기) Mite (털진드기, 좀진드기) 진드기 매개 질병 SFTS   작은소참진드기가 매개하며,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사람을 문 진드기의 약 7% 정도가 SFTS virus를 가지고 있다.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어 접촉시 주의가 필요하다. 임상증상으로는 거의 대부분의 환자가 fever 가 있으며, Anorexia, Nausea, Vomiting, Abdominal pain, Diarrhea 등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며, Lymphadenopathy 도 동반이 … 더 읽기

[MI] 경부 림프절병증

경부 림프절병증의 원인   매우 다양한 원인이 있다. –> CHICAGO 상기도 감염에 의한 Benign Cervical LAP (Reactive LAP) 가 가장 흔하다. 병력청취 : Chronic 한지 Acute 한지 확인하며, Age, Sex, B symptoms 유무, 고양이 접촉력, 여행력, 직업력 등을 조사해야 한다. Splenomegaly 가 동반되어 있다면, metastatic cancer 의 가능성은 적다.Infectious mononucleosis (50%), Lymphoma, Leukemia, Kikuchi’s disease 등을 … 더 읽기

[MI] 요로감염

1. 무증상 세균뇨   증상이 없는 환자에게서 요배양검사를 2회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세균이 10^5/ml 이상 동정된 경우를 지칭하며, 일반 성인에게서는 통상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없으며, 항생제 치료도 필요하지 않으나, 선별검사 및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1) 임산부, (2) 침습적 비뇨기 시술 전 (요로계 수수술, 스텐트 삽입, 경요도전립선 절제술, 요로결석 제거술 등) 이다.  * 임산부의 경우 physiologic hydronephrosis 가 있으며, APN 으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