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사마리아인 법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 2항)

제5조의2(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생명이 위급한 응급환자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응급의료 또는 응급처치를 제공하여 발생한 재산상 손해와 사상(死傷)에 대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그 행위자는 민사책임과 상해(傷害)에 대한 형사책임을 지지 아니하며 사망에 대한 형사책임은 감면한다. <개정 2011. 3. 8., 2011. 8. 4.>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가 … 더 읽기

골다공증 골절 위험군 분류

FRAX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취약 골절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폐경 여성, 50세 이상 남성의 경우 약물치료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FRAX 평가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골절 과거력 및 골밀도 T score, FRAX 에서의 10년 내 골절위험도를 기준으로 골절 위험군을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초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치료합니다. FRAX 에 포함된 위험인자 : 연령, 성별, 체중, 신장, 이전의 골절 … 더 읽기

이차성 골다공증

이차성 골다공증의 정의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나 약물 등으로 인하여 골량이 감소하거나, 골의 미세구조가 악화되어 발생한 골다공증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원인 감별을 위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 이차성 골다공증 원인 감별을 위한 검사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일 때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가역적 원인들 (6H, 6T)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일 때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가역적 원인들 (6H, 6T) 6H’s cause PEA (1) Hypovolemia (2) Hypoxia (3) Hydrogen ion (acidosis) (4) Hyperkalaemia (5) Hypothermia (6) Hypoglycemia 6T’s cause PEA (1) Tension pneumothorax (2) Tamponade cardiac (3) Toxins (4) Thrombosis, pulmonary (5) Thrombosis, coronary (6) Trauma

심실류, 심실자루 (Ventricular aneurysm)

심실류의 심전도 특징 심근경색이 발생할 경우 심전도엣는 ST 분절이 상승하고 이 후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ST 분절이 원래대로 하강하면서 Q 파가 남습니다. 그러나 심실류가 생기면 적절한 재관류가 생기지 못했다는 것이며, 심근경색 후 Q 파가 생겼으나, ST 분절이 하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상승해 있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CAST 연구 (Cardiac Arrhythmia Suppression Trial)

CAST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이 있었거나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VPC 를 줄이는 약제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여 진행된 연구이나, 오히려 항부정맥제 (Class Ic) 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망률이 더 증가하였습니다. 이 연구로 인해 심장에 기질적인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Class Ic 같은 항부정맥제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지하철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졌어요.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젊은 여성 분, 출퇴근 길에 만원 지하철 안에서 장시간 서있다가 갑자기 어지럽고 울렁거리로 기운이 없다가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며 진료실로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 검사를 해보면 특이 소견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미주신경성 실신이 그 원인입니다. 실신이란?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 후 특별한 조치 없이 저절로 의식이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쓸쓸한 죽음

70대 후반의 남자환자 분입니다. 기저질환이 많은 분입니다. 과거 심근경색으로 스텐트 시술도 받았으며, 심부전에 당뇨병과 고혈압도 있습니다. 결국 2년전부터 투석치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이어서 혼자 고시원에서 지내고 계십니다. 처음 투석 시작을 주 2회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잔여 콩팥 기능은 떨어져 갔으며 소변량도 감소추세로 이제 주 3회 투석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권하였으나 단번에 거절하였습니다. 결국 수차례 … 더 읽기

표준 투석기록지 (전원의뢰서) 양식 (hwp 한글 파일, docx 워드 파일 다운로드)

대한신장학회 표준투석기록지 양식이 있으나, PDF 파일로 되어있어 편집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표준투석기록지 양식을 한글문서파일 (hwp 파일) 과 워드파일(docx 파일)로 제작하였습니다. 한글이나 워드에서 바로 적고 인쇄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 첨부파일 링크 참조)

심전도 ST segment (ST 분절)

심전도 ST segment ST segment : J point (QRS complex 의 끝) 에서부터 T wave 시작 전까지를 의미합니다. interval (간격) 은 시간을 재는데 segment (분절)은 따로 시간을 측정하지 않습니다. 기준선보다 상승했는지, 하강했는지가 중요합니다. ※ J point 를 기준으로 ST elevation, ST depression 측정 방법 ※ 시간의 흐름에 따른 STEMI 의 ECG 변화 ※ ST elevation … 더 읽기

심전도 QT interval (QT 간격)

QT interval (QT duration, QT 간격) 심실은 매우 빠르게 탈분극이 일어난 후 바로 재분극에 진입합니다. 따라서 재분극은 T wave 가 일어나기 전에 시작해 T wave 가 종료되는 시점에 끝나게 됩니다. 즉, 전체 재분극이 일어나는 과정을 QT interval 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Corrected QT interval (QTc) 계산기 Long QT syndrome 심실의 탈분극은 순식간에 일어나나, 재분극은 천천히 … 더 읽기

심전도 T wave

심전도의 T wave 비정상적 T wave 의 정의 Tall T wave 급성 심근경색 초기의 hyperacute ST elevation ST 분절의 상승과 함께 T wave 의 크기도 커집니다. QRS complex 가 끝나고 기저선으로 회복되지 못한채 끌려 올라가 tall T wave 로 이어지는 형태입니다. Hyperkalemia 로 인한 Tall T T wave 의 크기가 크고 뾰족한 특징이 있습니다. hyperkalemia … 더 읽기

Septal Q, Pathologic Q, Pseudo Q wave

Septal Q wave 원래 V1 의 QRS 를 보면, 심실에서 전기 흐름이 V1 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이므로 하향파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QRS 초기에 심실 중격에서 잠깐 V1 방향으로 오는 흐름이 있어 살짝 올라갔다가 내려갑니다. 즉 심실 중에서 가장 먼저 탈분극이 일어나는 부위가 심실중격 왼쪽이며, 여기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흐름이 잠깐 있어 상향파를 보이고 그 이 후에 깊은 … 더 읽기

심전도 PR interval (PR 간격)

PR interval (PR 간격) 이란? PR interval 은 P wave 시작시점으로부터 QRS 파의 시작시점까지 간격입니다. 전기가 처음 심방세포를 자극한 시점 부터 처음 심실세포까지 도달하는 시간으로 방실전도시간을 의미합니다. 심방과 심실은 서로 전기가 통하지 않으며 절연된 상태입니다. 다만 유일한 전도로인 His 속을 통해야만 심실로 전도됩니다. 전기가 방실결절(AV node), His 속을 지나는 동안 시간이 필요하며 이 시간이 주로 … 더 읽기

심전도 P wave (LAE, RAE, BAE)

정상 동율동 (sinus rhythm) 은 SA node (동결절) 에서 규칙적으로 전기신호를 만들어 심방, 심실을 지나면서 심장 박동을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입니다. 그러나 SA node 에서 만드는 전기의 강도는 너무 약해서 체표면의 심전도 전극까지 도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심전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심전도의 P wave 는 전기가 심방을 지날 때 나타나므로 SA node 에서 만드는 … 더 읽기

LBBB (좌각차단, Left bundle branch) 의 심전도 기준 (feat. LAFB, LPFB)

LBBB 의 심전도 기준 LBBB 에서는 심실 탈분극 초기의 중격에서 발생하는 전기 흐름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심실중격 전기 흐름은 오른쪽에서 좌측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I, aVL, V5, V6 에서 보였던 정상적인 septal q wave 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V1 에서는 monophasic S (QS파) 또는 아주 작은 r파 다음에 S파가 나오는 rS 파가나타납니다. I, … 더 읽기

RBBB (우각차단, Right bundle branch) 의 심전도 기준

RBBB 의 심전도 기준 RBBB에서 토끼 귀가 만들어지는 원리 (feat. septal q wave) 원래 V1 의 QRS 를 보면, 심실에서 전기 흐름이 V1 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이므로 하향파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QRS 초기에 심실 중격에서 잠깐 V1 방향으로 오는 흐름이 있어 살짝 올라갔다가 내려갑니다. 즉 심실 중에서 가장 먼저 탈분극이 일어나는 부위가 심실중격 왼쪽이며, 여기서 오른쪽으로 … 더 읽기

LVH (좌심실비대) 의 기준

좌심실비대가 있더라도 심장의 전기 흐름 방향은 정상과 같습니다. 그러나 좌심실의 근육이 두꺼워 지므로 끌고 가는 전기의 강도도 더 강해졌습니다. 따라서 방향은 같지만 좌심실로 가는 QRS 의 높이가 더 커지고 강조됩니다. V1, V2 에서 QRS 는 더 깊이 내려가고 V5, V6 에서 QRS 는 더욱 커지는 모습이 됩니다. 참고 : LVH by voltage criteria 체형이 마른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