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QT interval (QT 간격)

QT interval (QT duration, QT 간격) 심실은 매우 빠르게 탈분극이 일어난 후 바로 재분극에 진입합니다. 따라서 재분극은 T wave 가 일어나기 전에 시작해 T wave 가 종료되는 시점에 끝나게 됩니다. 즉, 전체 재분극이 일어나는 과정을 QT interval 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Corrected QT interval (QTc) 계산기 Long QT syndrome 심실의 탈분극은 순식간에 일어나나, 재분극은 천천히 … 더 읽기

심전도 T wave

심전도의 T wave 비정상적 T wave 의 정의 Tall T wave 급성 심근경색 초기의 hyperacute ST elevation ST 분절의 상승과 함께 T wave 의 크기도 커집니다. QRS complex 가 끝나고 기저선으로 회복되지 못한채 끌려 올라가 tall T wave 로 이어지는 형태입니다. Hyperkalemia 로 인한 Tall T T wave 의 크기가 크고 뾰족한 특징이 있습니다. hyperkalemia … 더 읽기

Septal Q, Pathologic Q, Pseudo Q wave

Septal Q wave 원래 V1 의 QRS 를 보면, 심실에서 전기 흐름이 V1 에서 멀어져 가는 방향이므로 하향파가 나타납니다. 그런데 QRS 초기에 심실 중격에서 잠깐 V1 방향으로 오는 흐름이 있어 살짝 올라갔다가 내려갑니다. 즉 심실 중에서 가장 먼저 탈분극이 일어나는 부위가 심실중격 왼쪽이며, 여기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흐름이 잠깐 있어 상향파를 보이고 그 이 후에 깊은 … 더 읽기

심전도 PR interval (PR 간격)

PR interval (PR 간격) 이란? PR interval 은 P wave 시작시점으로부터 QRS 파의 시작시점까지 간격입니다. 전기가 처음 심방세포를 자극한 시점 부터 처음 심실세포까지 도달하는 시간으로 방실전도시간을 의미합니다. 심방과 심실은 서로 전기가 통하지 않으며 절연된 상태입니다. 다만 유일한 전도로인 His 속을 통해야만 심실로 전도됩니다. 전기가 방실결절(AV node), His 속을 지나는 동안 시간이 필요하며 이 시간이 주로 … 더 읽기

심전도 P wave (LAE, RAE, BAE)

정상 동율동 (sinus rhythm) 은 SA node (동결절) 에서 규칙적으로 전기신호를 만들어 심방, 심실을 지나면서 심장 박동을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입니다. 그러나 SA node 에서 만드는 전기의 강도는 너무 약해서 체표면의 심전도 전극까지 도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심전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심전도의 P wave 는 전기가 심방을 지날 때 나타나므로 SA node 에서 만드는 … 더 읽기

70대 여환 어지럼, 불안감으로 내원, 완전방실차단(complete AV block)으로 진단

70대 여자환자 입니다. 어지럼, 불안감,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습니다. 혈압을 재는데 심장박동이 분당 35회 밖에 되지 않습니다. 분명한 서맥입니다. 이것때문에 증상이 생겼을 것 같습니다. P-P 사이의 간격과 R-R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일정하나, 서로 따로 움직이는 것 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것을 AV dissociation 이라고 표현합니다. complete AV block 또는 3rd degree AV block 이라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이는 동방결절에서 조율되어 일어난 심방의 … 더 읽기

[투석실 이야기] 투석실에서 자꾸 검사를 해요. 무슨 검사인가요?

투석실에서 투석을 받는 환자분들은 최소 한달에 한번 혈액검사를 하게 됩니다.혈액검사 뿐 아니라 심전도, 엑스레이 등등 자꾸 검사를 하자고 합니다.도대체 무슨 검사이고, 왜 하는 걸까요?  투석실에서 정기적으로 하는 검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혈액검사 최소 한 달에 한번은 혈액검사를 합니다.혈액검사를 통해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는데,각 투석실마다 세부적인 차이가 있겠지만,주로 검사하는 항목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그 외 … 더 읽기

[MC] 서맥과 ECG 예시

Ventricular pause 의 4가지 원인 QRS 앞에 P wave 가 존재할 경우 가장 긴 T-P segment 사이를 살펴본다. * P wave 가 없다면 * P wave 가 있다면  Non conducted APC 2nd degree AV block Mobitz type 1 2:1 AV block Complete AV Block Complete AV block with permanent AF QRS 앞에 P wave 가 … 더 읽기

심전도 후려치기 (3) – 빈맥 부정맥

빈맥 부정맥의 기전 1. 비정상 자동능 (abnormal automaticity)  : 원래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기를 만들어 낼 능력이 없는 심근세포가 그 능력을 가지게 되는 것. 시간이 가며 박동이 빨라지는 warming-up 현상이 있다.빈맥이 멈출 때에도 갑자기 멈추지 않고 서서히 단계적으로 정상으로 돌아온다. 2. 방아쇠성 활동 (triggered activity) 먼저 있었던 탈분극이 방아쇠로서 역할을 한 이후에 발생.후분극(after-depolarization) 이라고도 함. 주로 세포 … 더 읽기

심전도 후려치기 (2) – 서맥 부정맥

정상 심전도의 기준 : 정상 동율동 (normal sinus rhythm) 서맥의 기전 (2가지) 1. 동기능부전 (sinus node dysfunction) –> 동서맥이 가장 흔하나 동정지, 동방차단, Chronotropic incompetence 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1) 전기 생성의 장애 * Chronotropic incompetence : 평상시에는 증상이 없으나, 운동 시에 필요한 만큼 심박동수가 충분히 증가하지 못해 운동 시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경우 (2) 동결절에서 만든 전기가 … 더 읽기

심전도 후려치기 (1)

1) 심전도의 기본 원리 심근의 탈분극이 (+) 전극을 향해 올 때 심전도에서는 상향파가 그려진다. 심장은 우심실이 앞쪽에 있고, 중격을 사이에 두고 뒤에 좌심실이 위치한다. 우심실은 폐순환을 위한 펌프 역할도 하지만 주로 좌심실로 혈액을 보내는 혈액 저류소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좌심실은 우심실에 비해 근육량이 훨씬 많고 전기 흐름의 방향은 좌심실 쪽을 향하게 된다. (흉부유도 V5-6에 근접)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