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환자 진료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 네번째 전해질

혈액내 전해질을 균형있게 맞추는 것은 신장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따라서 만성 신부전 환자 및 투석환자에서 전해질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특히 칼륨과 인이 특히 중요하게 봐야할 전해질 입니다. 칼륨은 3.5~5.1 정도가 정상범위인데,너무 낮거나 높아도 심장의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어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대부분의 신부전 환자는 소변으로의 칼륨 배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고칼륨혈증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신부전환자는 칼륨 섭취를 … 더 읽기

Zemplar 에 대해 (Paricalcitol)

PTH 가 칼슘과 인에 미치는 영향 Ca 이 적으면 PTH 분비를 촉진하며, PTH 는 Vit D 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장에서의 Ca, P 흡수를 향상시키며, bone turnover 를 증가시켜 혈중 Ca, P 의 농도를 올린다. 또한 신장에 작용하여 Ca 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반면, P 의 재흡수는 억제하여 소변으로의 P 배출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작용의 결과로 Ca 은 … 더 읽기

진료실 참고자료 – 만성콩팥병과 식사

1. 저염식이 한국인의 평균 소금 섭취량 1/3 에 해당하는 5g 정도의 저염식이 권고소금 외의 조미료를 활용한 조리법의 변화 등 노력이 필요 저염식이의 이득 : 부종 호전, 단백뇨 개선, 혈압 조절 호전, 심장/콩팥 섬유화 예방, 혈관 수축 조절 호전, 교감신경계 과항진 예방, 호르몬계 과항진 예방 –> 신장기능 저하속도 완화, 투석치료 지연,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저하 * … 더 읽기

칼슘(Calcium), 인(Phosphate) 과 관련된 Brenner Textbook (신장학 교과서) 그림 모음

* 저칼슘혈증의 임상특징 (hypocalcemia) * 저칼슘혈증의 원인 (hypocalcemia) * Hypoparathyroidism 과 관련된 유전질환 (hypocalcemia) * 고칼슘혈증의 범위 (hypercalcemia) * 고칼슘혈증의 임상 증상 (hypercalcemia) * 고칼슘혈증의 원인 (hypercalcemia) * 고칼슘혈증의 진단 알고리즘 (hypercalcemia) * 고칼슘혈증의 약물치료 (hypercalcemia) * 저인산혈증의 원인 (hypophosphatemia) * 고인산혈증의 원인 (hyperphosphatemia) * FGF-23 의 생리학적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