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검사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사용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와파린, NOAC 등)

아스피린 모든 시술에서 복용 유지는 가능하지만, 혈전증 저위험군에서 ESD(점막하박리술)나 EMR(점막절제술) 시행 예정시에는 아스피린 5~7일 중단하는 것을 고려 내시경 시술의 출혈 위험도 저위험 시술 고위험시술 혈전증 고위험군 (항혈소판제제) *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이 없는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등은 저위험군 혈전증 고위험군 (항응고제) * 대동맥 금속인공심장판막, 조직인공심장판막, 판막질환 없는 심방세동 등은 저위험군 혈전증 저위험군  – 내시경 출혈위험도 … 더 읽기

와파린 복용시 필수지식, 와파린의 효능에 영향을 주는 음식과 약물

와파린은 항응고제로 혈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해주는 약입니다. 심방세동, 혈전색전증, 기계판막 등 혈전생성을 억제해야 할 때, 혈전을 치료해야할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출혈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출혈이 있을 수 있는 시술이나 수술 (내시경, 치과치료 등) 전에는 중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담당 주치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와파린은 2mg 와 5mg 제제가 있는데 PT INR 수치를 기준으로 용량을 조절합니다. … 더 읽기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동시에 사용해야할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항혈소판제의 대표적인 것에는 아스피린이 있습니다. 항응고제는 대표적인 약이 와파린입니다. 둘다 혈액응고를 지연시키는 약이지만 각각 쓰임새가 다릅니다. 예를들면 관상동맥이 좁아져 스텐트 시술을 한 경우에는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항혈소판제를 사용합니다. 뇌졸중이 생겨 이 후 예방을 위해서도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를 사용합니다. 반면 하지의 심부정맥이나 폐혈관에 혈전이 생긴 경우에는 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사용합니다. 심방세동과 같이 혈전이 생길 수 있는 … 더 읽기

내시경전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언제 끊어야 하나?

해리슨 19판 자료 Low-risk endoscopic procedures: EGD, CFS with/without biopsy, EUS without FNA, ERCP with stent exchange High-risk endoscopic procedures: EGD or CFS with dilatation, polypectomy, thermal ablation, PEG, EUS with FNA, ERCP with sphincterotomy or pseudocyst drainage. High-risk for thromboembolism (warfarin 중단 시 Heparin briding therapy 고려): MVR, AVR with other risk factors  – … 더 읽기

침습적인 시술에 앞서 항응고제는 어떻게 해야할까?

일반적인 개념 출혈의 저위험 시술일 경우 항응고 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반대로 출혈의 고위험 시술이고, 환자의 질환이 혈전색전증의 저위험이라면 일시적으로 항응고 치료를 중단한 후 시술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예정된 시술인지, 응급 시술인지에 따라서도 조치는 달라질 수 있다. 혈전 위험의 평가 (1) 심방세동 비판막성 심방세동의 경우 stroke 위험도 평가에 중요한 것이 CHADS2 score (또는 CHA2DS2-VASc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