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ine Na/K ratio
Spot urine 에서 Na/K ratio 를 확인해보면 파악이 가능 합니다.
* 3g/day salt intake 시 Urine Na/K ratio 는 대략 1 정도 나왔음.
(NaCl 3g/day + K 2.5g/day 섭취 → Urine Na/K ratio 51.3/64.1 = 0.8)
* 5g/day salt intake 시 Urine Na/K ratio 는 대략 2 정도 나왔음.
현실적으로 Urine Na/K ratio 가 2 미만이라면 저염식을 비교적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Urine Na/K ratio 를 2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혈압을 낮추고 CVD risk 를 줄일 수 있는 합리적인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 20g/day 의 high salt intake 시 Na/K ratio 는 대략 5 이상 나왔음.
(NaCl 20g/day + K 2.5g/day 섭취 → Urine Na/K ratio 341.9/64.1 = 5.3)
Urine Na/K ratio 가 2.5 이상 (더 확실히 4 이상) 이라면 저염식이 잘 안되고 있다는 것. (짜게 드시고 있다.)
실제 응용 사례
50대 여성, 고혈압으로 혈압약을 복용하였으나,
체중감량, 식이조절로 혈압이 많이 좋아져서 최소 용량의 혈압약만 유지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최근 혈압이 현저하게 상승하여 내원하였습니다.
평상시 수축기 혈압 120~130으로 유지되던 분인데 이번에 오셨을 때는 수축기 혈압이 150 입니다.
자세히 문진해보니, 최근 직장 내 식당의 요리사가 바뀌었는데
노인분이라 그런지 음식이 매우 짜다고 합니다.
서로 불편해질까봐 짜더라도 그냥 묵묵히 식사를 했다고 합니다.
객관적인 지표로 설명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실제로 염분 섭취량이 정말 많은지 Urine Na/K ratio 를 구해보기로 합니다.
Urine Na 133 mmol/L
Urine K 22 mmol/L
Urine Na/K ratio = 133/22 = 6.04
결과적으로 Urine Na/K ratio 가 4 이상으로 확인됩니다.
현재 고염분식이를 하고 있는 상태란 것을 파악할 수 있음.
혈압약을 증량하되, 반드시 염분섭취량을 줄이시도록 안내하였습니다.
* 인용자료 :
가톨릭대학교 내과연수강좌 강의 자료,
Yatabe MS. et. al. Urinary Sodium-to-Potassium Ratio Tracks the Changes in Salt Intake during an Experimental Feeding Study Using Standardized Low-Salt and High-Salt Meals among Healthy Japanese Volunteers. Nutrients. 2017; 9(9):951.



- Reference : Yatabe MS. et. al. Urinary Sodium-to-Potassium Ratio Tracks the Changes in Salt Intake during an Experimental Feeding Study Using Standardized Low-Salt and High-Salt Meals among Healthy Japanese Volunteers. Nutrients . 2017; 9(9):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