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질병관리청에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홍보자료가 나왔길래 한번 소개해봅니다. 사실상 심뇌혈관 예방수칙은 결국 자기 수명대로 오래오래 사는 비법과도 같습니다. (암이나 사고, 희귀병 등의 불가피한 경우는 제외) 결국 인생에서 큰 후유증을 남기는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병이 심근경색과 뇌졸중이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결국 건강하게 오래 살아가는 비결입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정의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과 뇌졸중(뇌출혈, 뇌경색)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 선행질환을 총칭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 건강하게 오래 사는 방법
(1)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담배는 무조건 좋지 않습니다. 담배를 끊기 어렵다면 금연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해보세요.

- 2023.08.14 – 챔픽스 금연약 담배맛을 정말 맛없게 바꿔줍니다.
- 2023.03.17 – [투석실 이야기] 이제 담배를 끊으세요.
- 2020.08.19 – 금연을 생각하고 계신가요?
(2) 술은 가급적 마시지 않습니다.
: 적당량의 술은 건강에 좋긴합니다만, 절제하기 어려우면 그냥 금주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안주를 너무 기름지고 짜게 드시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 2023.05.21 – [건강상담] 술을 많이 드시는 분께 설명드리는 것들
- 2023.01.18 – 내가 마시는 술의 양은 적절한가?
- 위험음주 알코올 계산기 (Alcohol calculator)
(3) 적당량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골고루, 짜지 않게 먹고, 통곡물, 채소, 콩,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 저염식은 혈압관리의 필수 전제조건입니다. 배달음식을 조심하세요!

- 2023.06.10 – 저염식, 고염식 확인하는 검사 방법 한 가지 (Urine Na/K ratio)
- 2019.04.03 – 만성콩팥병 환자의 식사요법 접근
- Urine Na-to-K Ratio 계산기 (고염식 저염식 확인)
(4) 규칙적으로 매일 30분 이상 운동하고 오래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을 줄입니다.
: 헬스장 끊고 PT 받으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강도 운동으로 30분 시행하는 것은 큰 효과가 있습니다. 중강도 운동이란, 옆사람하고 이야기할 때 약간 숨이 찰 정도의 강도입니다. 빠른 걷기 운동만으로도 효과 좋습니다.

(5) 적정한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 체중은 BMI 를 확인해보면 적정체중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6)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 정말 맞는 말 같습니다.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합니다.

(8)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약물치료 등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꾸준히 받습니다.
: 무조건 중요합니다. 나의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는 항상 어느 정도인지 알고, 그 변화와 추세를 관리하고 계셔야 합니다. 혈압이나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중 하나라도 좋지 않은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없이 시중에 영양제만 이것저것 사드시고 그러지 마세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이 훨씬 중요합니다! 비유하자면, 자동차 엔진은 망가져 가고 있는데 악세사리만 사서 달아놓는 격입니다.



- 2023.07.21 – 오메가3 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7가지 정보
- 2023.07.20 –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정확히 알기
- 2023.06.12 – 콜레스테롤이 높다고 하는데 식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feat.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5판)
- 2023.05.15 – 콜레스테롤약 고지혈증약 한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하나요?
- 2023.02.24 – 한국인의 콜레스테롤 분포 (feat.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5판)
- LDL 콜레스테롤 목표수치 자가 체크 도우미
- LDL 콜레스테롤 계산기 (Friedwald 공식)
- LDL-콜레스테롤 통합 계산기 (Friedewald / Martin-Hopkins / Sampson)
(9)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의 응급증상을 미리 알아두고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를 부릅니다.
: 물론 이런 일이 오지 않아야 합니다. 이미 질환이 발생하고 장애가 남은 상태에서 그 후유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치료하는 것을 ‘재활’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재활’ 보다는 ‘예방’에 더욱 정성을 다해야합니다.

- 2023.01.13 – [투석실 이야기] 3번 뇌신경 마비, 왼쪽 하지 마비
- 2022.09.16 – [투석실 이야기] 안면마비
- 2023.05.07 – [투석실 이야기] 혈압을 올리는 치료에도 좋아지지 않았던 2가지 사례
- 2020.04.24 – 김정은 심장 스텐트 시술을 받았다면 아직까지 공식 석상에 등장하지 않는 이유?
- 2020.11.02 – 심폐소생술에 하는 방법, 일반인을 위한, 정말 간단히, 요점만, 팁을 알려드립니다. (거제 중학생 사망사건 댓글을 보니 화가치밀어 오릅니다.)
- 2023.07.26 – [투석실 이야기] 건강해지는 법
- 2023.02.04 – 콩팥의 건강을 지키는 7가지 생활 습관
- 2022.08.25 – [투석실 이야기] 투석환자의 생존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