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콩팥병 환자라면 정기적으로 하는 혈액검사를 통해 본인의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 변화에 일희일비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왠만한 의료전문가 못지않은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만성콩팥병 환자분 진료때는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을 메모지에 적어드리면서 수치를 기억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어떤 만성 콩팥병 환자분의 경우 크레아티닌 수치를 가지고 신장학회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 계산기로 계산해보는 분도 계신데, 가끔 병원에서 받은 검사결과지 상 추정 사구체 여과율 수치가 서로 다르다며 어떤 것을 기준으로 봐야 하는지 문의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사구체는 신장의 작은 필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사구체 여과율은 신장의 전체 사구체, 즉 필터가 얼마나 ..
만성콩팥병 환자의 식사요법 접근 제한식품을 생각하기 보다는 먹을 수 있는 식품을 우선 고려 체중변화를 확인하여 부종없이 체중이 증가하면 섭취량 과다를 의심하고, 체중이 감소하면 섭취량 부족을 의심. 영양이 불량할 경우 결국 예후가 좋지 않음. 영양 요구량 결정은 표준 체중에 나이 신체 활동량 등을 고려하여 보통 30~35 kcal 을 곱한 값이 하루 필요한 kcal 가 된다. 표준 체중은 키(m) 제곱에다가 남자는 22, 여자는 21을 곱한 값이다. 하루 필요 열량을 충족시키면서 부종을 줄이는 팁 고열량 조리방법을 활용한다. 같은 재료라도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볶음, 전, 튀김으로 조리한다. 곡류군 식품 또는 단순당을 활용한다. 곡류군 식품은 빵, 떡, 국수 등이며, 단순당은 사탕, 꿀, 젤리, 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