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콩팥병, 투석환자에서의 BNP, Troponin I 기준수치 BNP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는 기본적으로 심실의 심근에서 합성되고 분비됩니다. BNP 는 혈관확장, 나트륨의 소변배설, 이뇨효과를 유발합니다. RAAS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의 반대 역할을 하며, 심장의 부피가 증가할 때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합니다. 따라서 BNP 는 심실 벽이 늘어나게 하는 심장의 압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심장이 늘어나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pre-proBNP 가 생성되고 이는 곧 2개로 나뉩니다. 하나는 활성을 가진 Active BNP 이고 하나는 활성이 없는 NT-proBNP 입니다. BNP의 반감기가 20분인 반면, NT..
야간발한 night sweat : 정의 발생기전 감별진단 원인약물 진단알고리즘 야간발한 (night sweat) 의 정의 sweating at night even when it is not excessively hot in your bedroom 발생기전 발한은 복잡한 방식으로 조절되는데, 역치 (thermoneutral zone, 온도중립범위) 이상으로 신체의 core temperature 상승했을 때 땀이 나면서 체온을 낮출 수 있게합니다. core temperature 가 올라가는 주요 원인으로 이불이나 옷을 두껍게 입었거나 외부의 온열장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땀이 나는 것은 신체의 적절한 반응입니다. 갱년기때는 이러한 체온의 역치 (thermoneutral zone, 온도중립범..
당뇨병 소모성 재료 처방전 요청하세요 : 요양비급여제도 지원대상 품목 기준금액 본인부담액 등록 청구 지급 필요서류 얼마전 지방에서 잠깐 올라오신 분인데, 마침 당뇨약이 다 떨어져서 약만 처방받으러 내원하신 분이계십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인슐린을 맞는데 인슐린 주사바늘 같은 소모품 비용이 너무 비싸다고 하소연을 하시네요. "어? 그래요? 당뇨병 소모성 재료처방전 받으시지 않으세요? 그걸로 하면 지원이 좀 되잖아요~" "그게 뭐에요? 아무도 이야기 안해주던데..." "인슐린 바늘이나 채혈침 같은 소모품들을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에요. 그런데 처방전 받으시려면 당뇨병 등록이 필요해요. 등록을 하려면 당뇨 검사를 해야하는데 검사를 하시겠어요?" "이제 곧 지방으로 내려가아해요." "그러면 당뇨 진단..
감기 Common cold : 원인바이러스 감별질환 급성기관지염 효과있는치료 효과없는치료 부루펜과타이레놀 급성인두편도염 Centor점수 Mclsaac점수 부비동염 항생제 감기 (common cold) 의 원인 바이러스 Rhinoviruses (30~50%) -- 가장 흔하다. Coronaviruses (10~15%) Influenza viruses (5~15%) Respiratory syncytial virus (5%) Parainfluenza viruses (5%) Adenoviruses (
60대 남성분 오른쪽 복통이 있다고 하여 오셨습니다. 위치가 좀 애매합니다. 배라고 하기에는 살짝 아래쪽, 옆구리 쪽에 가깝습니다. 눌렀을 때 통증도 확실히 있습니다. 아무래도 충수염이 중요하니 충수염과 관련된 신체 검사를 해봅니다. 몇 가지 테스트를 해봤는데 충수염에 관한 소견은 안나옵니다. '그럼 뭐지?' 오른쪽에는 중요한 장기들이 몰려있습니다. 우선 간, 담낭, 우측 신장을 확인해보기로 하고 바로 현장에서 검사가 가능한 초음파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초음파에서는 별 이상이 없습니다. 간, 담낭, 신장 모두 통증이 있을만한 이상은 없습니다. '그럼 뭐지?' CT 를 찍으면 좋으련만 외래에서 배아프다고 전부 CT를 촬영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다 응급실로 가시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서 복..
골다공증검사 골밀도검사 급여기준 보험기준 고시 제2019-28호(행위) 다334 골밀도검사의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이 함. - 다 음 - 1. 만18세 이상인 경우 가. 급여대상 1) 65세 이상의 여성과 70세 이상의 남성 2) 고위험 요소가 1개 이상 있는 65세 미만의 폐경 후 여성 (1) 저체중(BMI < 18.5) (2) 비외상성 골절의 과거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3) 외과적인 수술로 인한 폐경 또는 40세 이전의 자연 폐경 3) 비정상적으로 1년 이상 무월경을 보이는 폐경 전 여성 4) 비외상성(fragility) 골절 5)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6)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복용중이거나 장기간(3개월 이상) 투여 계획이 있는 경우 7) 기타 골다공증 ..
만성콩팥병 저단백식 어떻게 해야하나? 만성콩팥병 환자나 단백뇨 환자의 경우 저단백식이가 필요한데 사실 이 내용을 말로 참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자칫 애매하게 설명하여 아예 단백질을 드시지 않으시면 영양결핍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영양분야에 대한 지식은 깊지 않다보니 식사에 대해 다양한 방식, 다채로운 예시를 들어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부분은 추후에 계속 공부를 해나가야겠습니다.) 그러던 중 신장학회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내 신장이콩팥콩팥' 이라는 곳의 한 영상에 나온 교수님께서 알기쉽게 저단백식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때마침 외래 진료를 오신 환자분이 저단백식 식이에 대해 문의를 하셨습니다. '도통 어떻게 먹어야할지 모르겠다.' '고기를 좋아하는데 먹지 말라는 것이냐' 어떻게 하면 쉽게 설..
급성 췌장염 / 췌장암의 증상 (feat. 복통의 진단학) "배도 아프고 등도 아픈데 췌장염은 아닌지 걱정되요." 외래에 췌장염이 걱정된다며 내원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아마도 대중매체, 유튜브, 인터넷 블로그 등 췌장염이나 췌장암에 대한 무서운 내용을 접하고 걱정되는 마음에 오셨을 것으로 생각이됩니다. 실제로도 췌장염과 췌장암은 무섭습니다. 더군다나 몸의 뒷부분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어서 초음파로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마른 체형의 환자분들은 잘보이지만, 살이 있으신 분이나 장에 가스가 많이 있는 분들은 전체 췌장을 관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우리가 그냥 막연하게만 알고있는 췌장이 더욱 두려워지는 이유입니다. 췌장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 여러 영양소를 소화시키는 소화효소들이 생..
장간막림프절염 증상 (feat. 복통의 진단학) 최근 외래로 오신 젊은 환자분이 내원하였습니다. 1주일 전부터 복통이 지속되어 CT 촬영을 하였고 장간막림프절염(mesenteric lymphadenitis) 이 확인되어 증상에 대해 리뷰해봅니다. 장간막림프절염의 경우 우하복부 통증 또는 그 주변부위로 애매하게 통증이 생기므로 충수염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설사, 구토, 구역, 발열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장간막림프절염으로 진단하려면 복부 초음파 또는 CT 에서 우하복부에 5mm 이상의 림프절이 3개 이상 보여야 하며 충수염 등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소견이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성인 장간막림프절염이 충수염이 다른 점 (1) 충수염에서는 설사가 드물지만 장간막림프절염에서는 설사가 비교적 흔합니다..
신장장애인 재판정 주기 2년에서 4년으로 변경 (2022. 1. 27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원문) 투석환자 중 한 분이 장애등급 재판정 할 때가 되었는데 우편으로 아무 서류도 도착한 것이 없다고 합니다. 그대로 있어도 되는지 문의를 하였습니다. 작년 1월에 신장장애인 재판정 주기가 4년으로 늘어났는데, 이를 모르고 계셨던 것입니다. 아마도 아직까지 모르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것 같아서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원문을 찾아 게시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강보험공단과는 전산시스템 연계를 통해 장애심사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재판정 심사 시에 제출해야하는 3개월간의 혈액투석기록지를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신장장애인의 장애정도 재판정 주기를 2년에서 4년으로 늘리고 3회 재판..
잠이 오는 원리 (수면 각성 주기의 모형, Two process model) 일주기 과정과 항상성 과정이 상호작용하여 수면과 각성을 조절한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 균형이 무너졌을때 불면증이 생깁니다. 이를 이해하면 불면증이 왜 생기는지 좀더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일주기 과정은 우리몸의 여러가지 호르몬 및 생리적 활동이 하루 사이클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화하면서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특히 멜라토닌의 경우 시각적으로 빛을 받는 동안 분비가 억제되고 있다가 어두워지면 억제가 풀리면서 분비량이 많아지고 신체적으로 밤이라는 것을 인식합니다. 잠을 안자고 계속 일을하고 깨어있으면 수면압력이 점점 증가하고 최고조에 달했을 때 무척 피곤하고 졸음이 쏟아집니다. 이러한 과정을 말합니다. 일주기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