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예방주사 맞아야 하나? 성인 당뇨 환자에게 필요성이 강조되는 백신에는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Td 백신 등이 있습니다. 그 중 폐렴구균 백신은 다당질백신 (23가) 와 단백접합백신 (13가, e.g. 프리베나13) 두 가지가 있습니다. 23가 백신이 먼저 개발되었고, 이 후 13가가 개발되었습니다. 23가 백신이 더 많은 폐렴구균 종류를 커버할 수 있으니 더 좋은 것 아닌가요? 왜 나중에 13가 백신이 개발되었나요? 라고 궁금해 하실 수 있겠습니다. 그 이유는, 13가 백신이 원래 면역이 저하된 소아를 대상으로 개발된 백신이라 그렇습니다. 백신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실제 면역을 담당하는 항체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습니다. 23가 백신이 커버하는 균의 범위는 훨씬 넓지만, 면역이 약한 환자들에..
발트렉스 (valaciclovir) 적응증 및 용법, 용량 대상포진과 구순포진을 포함한 7가지 적응증에 급여 가능. * 작성일 : 2021. 12. 15 2020년 10월 부터 전신 작용 항감염제 등에 대한 전산심사 시작. 항바이러스제의 허가사항이나 급여기준을 잘 맞춰서 사용해야하고, 질병코드도 잘 입력해야합니다. 작성일 2022. 2. 28 약제별 허가사항 (발트렉스 / 팜시클로비르 / 아시클로비르) 약제별 주요적응증에 따른 사용량 및 급여상한가 (발트렉스 / 팜시클로비르 / 아시클로비르)
요즘 타이레놀 품절사태가 계속된다고 합니다. 타이레놀은 해열제의 한 상품명인데, 너무 유명하여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 보다도 더 널리, 쉽게 사용되는 듯 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타이레놀 먹으면 됩니다.' 라고 했더니, 너도나도 '타이레놀'만 고집하여 이런 사태가 생기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타이레놀을 먹으란 이유는, 타이레놀의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비교적 안전한 해열제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키우신다면 해열제 중에 부루펜 시럽을 아실텐데요. 부루펜도 해열제입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라고 해서 NSAIDs (엔세이드) 라고 통칭하기도 합니다. 부루펜 계열의 약은 아세트아미노펜 보다는 항염작용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장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서 아무에게나 사용할 수 없는데요... 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2020년 독감 백신 사태, 의사협회 공고, 지금 독감 예방주사를 맞아야 하나? 독감 백신 접종 이후 사망사건이 계속 발생함에 따라 전국이 공포에 휩싸여 있습니다. 어제 문자로 의사협회 공고가 왔었는데, 10월 23일 부터 29일까지 7일간 독감 백신을 잠정적으로 유보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의협에서까지 공고가 오니까 저 또한 불안한 마음이 드는데요. 우리 인류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에서 예방접종이라는 효과적인 방어 수단을 획득함에 따라 예전에 공포의 대상이었던 마마 (천연두) 도 이제 공식적으로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WHO 에서 공식적으로 선포하였죠. 다만 이 후로 공식적으로 지구상에서 사라진 또 다른 바이러스는 아직 없다는 것이 함정입니다.) 지난 수십년간 독감 백신의 효과는 입..
자궁암 예방접종 꼭 맞아야 하나요? 자궁경부암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가 일으킵니다. 이 바이러스는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흔한 바이러스인데, 처음 감염시에는 대부분 무증상이고, 12~24개월 이내에 저절로 소멸되지만, 3~10%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염이 되며, 수년에서 수십년 후 암을 발생시킵니다. 이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암은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이 있습니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PV) 는 여러가지 유형이 있는데, 점막친화형이 40가지에 달하고, 피부친화형은 80가지에 달합니다. 점막친화형이 생식기 병변을 일으키고, 그 중 HPV 16, 18 은 대표적인 고위험유형으로 자궁경부암을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피부친화형은 손, 발 피부의 사마귀를 생기게 합니다. 성생활을 시작하면,..
패혈증 치료 Sepsis 캠페인 내과에서 응급실로 오는 환자 중 가장 걱정되고 꺼려지는 환자는 아마도 패혈증 환자일 것입니다. 특히 패혈성 쇼크로 혈압이 떨어지고, 소변도 안나오고 의식도 혼미한 분을 새벽 1시에 맞이하였다면, 당직의사는 아마도 "오늘 잠은 다잤다" 라고 하면서 속으로 한 숨을 쉴지 모릅니다. (전공의의 경우 당직을 서도 다음날 수면시간이 보장된 것은 절대 아니고 당연히 정상 근무인 것은 다들 아시죠? 그래서 당직 틈틈이 잠을 자야합니다.)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Sepsis, Septic shock) 는 내과적 응급상황이므로,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제가 전공의 1년차 처음 시작할 때에도 패혈증 환자가 오면 어떻게 해야한다는 교육을 집중적으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패혈증은 생명..
열의 형태 (패턴에 따른 분류) 열의 형태에 따라서 특정 감염질환을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힌트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열이 나는 환자가 있을 때 자주 체온을 체크해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열의 패턴에 따라 구분해보면, 재위열, 지속열, 간헐열, 이장열 등이 있습니다. (1) 재귀열 : 발열기간과 정상체온기간이 주기적으로 있는 발열 --> Malaria, brucellosis, Pel-Ebstein fever (Hodgkin's disease) ; 시험문제로 자주 출제되어 중요하게 외웠던 기억이 납니다. (2) 지속열 : 계속 발열이 나타남. --> Typhus, Paratyphus (3) 간혈열 : 일주기내에 정상체온으로 떨어질 때가 있는 형태 --> Hectic fever (소모열), Sept..
열이 났을 때 맥박수가 중요한 이유 주치의 일을 할 때 가장 흔하면서도 당혹스러운 일이, "선생님 000호 환자 열이나요. 38.5도씨에요" 라고 다급하게 이야기하는 열에 관한 노티일 것입니다. 감염때문에 열이 난 것인지, 아니면 약이나 다른 원인 때문인지, 혈액배양검사를 포함한 다른 검사를 해야할 지, 항생제를 시작해야할 지, 여러가지 고민이 주치의 머리 속에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환자를 평소에 잘 알았던 주치의라면 그래도 판단을 내리기 쉽지만, 당직을 서고 있던 중 다른 과 환자, 잘 모르는 환자라면 그 고민은 더욱 가중됩니다. 대부분 열이 난다고 노티를 받으면, "그 환자 Pulse (맥박수) 는 어때요?" 라고 맥박수를 체크합니다. 왜 맥박수가 중요할까요? Sponsor Link 우선 발열시 우리..
결핵예방접종 소결핵균 BCG 예방접종 BCG 의 기원 프랑스에서 Leon Charles Albert CAlmette 가 결핵성 유방암을 앓고 있는 소에서 소결핵균인 Mycobacterium bovis 균을 추출하여 13년간 3주마다 총 231번의 계대배양을 통해 독성이 소실된 균주를 만들었고, 1921년 사람에게 처음 접종한 것이 그 유래가 됩니다. 원래 BCG 균주는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보관했으나, 2차 세계대전 이후 소실이 되었고, 현재 사용되는 BCG 균주는 소실 전에 각 국가에 제공했었던 균주를 활용한 것입니다. BCG 의 균주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2가지 균주를 사용합니다. Strong 균주인 Danish 1331 균주가 우리나라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인정되는 균주이고, Weak 균주인..
성병 매독검사 해석방법 매독진단 알고리즘 잠복매독(latent syphilis) 이란 매독 감염의 혈청학적 증거는 있으나 임상적 증상이나 증후가 없는 경우로 정의합니다. 대부분 건강검진이나 수술전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복매독은 조기 잠복매독(early latent syphilis)과 후기 잠복매독(late latent syphilis)으로 나누는데, 이는 전염성이 있는 2기 매독(secondary syphilis)으로 거꾸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른 분류입니다. 대개 감염 시점에서 1년 경과를 기준으로 조기 잠복매독과 후기 잠복 매독으로 나눕니다.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은 2년 입니다.) 감염 시점을 알지 못하는 경우 1년 이상으로 간주하여 후기 잠복매 독으로 분류합니다...
Nafcillin Continous infusion 방법 Penicillins (eg, oxacillin, nafcillin) that are stable at room temperature for greater than 24 hours can be used in the outpatient setting with continuous infusion pumps. These agents are dosed by summing the total daily dose and then extending the infusion over 24 hours. As an example, nafcillin dosed intermittently at 2 grams every 4 hours with 30-minute infusio..
말라리아 약제 정리 헷갈리기만 한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약제 최근 국내 감염자수도 줄어 더욱더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국내 P. vivax 치료약 : Chloroquine + Primaquine (임산부일 경우 Primaquine 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Chloroquine 만 사용합니다.) --> SLE 일 때도 임산부에서 Hydroxychloroquine 은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Chloroquine 내성 지역 P. vivax (인도네시아), P. falciparum (동남아, 아프리카 지역) 예방약 : Mefloquine (임산부 사용 가능), Atovaquone-Proguanil, Doxycycline 치료약 :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나, Me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