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 ADAM은 특수 임무를 수행 중입니다. 시카고의 거대한 OIL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 '조직 X' 를 조사중입니다. 이 조직의 실체는 아직 완전히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실소유주가 누구인지, BOSS 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상태입니다. ADAM은 장기간 공을 들인 끝에 '조직 X' 내부로 침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조직내에서는 ADAM이 형사인지 아무도 모릅니다. 신흥 OIL 강자 '조직 Y' 의 BOSS 직속 수행원으로 알려져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ADAM은 '조직 X' 의 고위 관계자들과 미팅을 가진 이 후 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다만 그의 품속에 쪽지가 확인되었는데, 여기에 중요한 정보가 숨어있습니다. '조직 X' 의 BOSS 는 누구일까요? 과거 애덤의 일정 4월 19일 : SMITH 와 만남 ..
하루 10분 투석실 교육 자료 : 혈액검사결과 해석(1) □ Blood chemistry 볼 때 주의사항 (1) ※ 예제 (어떤 조치를 취해줄 것인가?) (1) 빈혈 교정은 어떻게? (2) 알부민이 떨어진 이유? (3) 칼슘이 낮은 이유? (4) 나트륨이 떨어진 이유? (5) 다른 추가적으로 해야할 조치들은?
지난 수년간 흉악범죄가 없었던 안전한 도시로 알려진 미국의 'A도시'에서 살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피해자는 공원 벤치에 누워있던 한 남성입니다. 처음에는 잠을 자고 있는 줄 알았지만, 이른 저녁시간 지나가던 학생들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후두부에 둔기로 맞은 흔적이 있었으나 주변에 혈흔은 없었습니다. 아마도 다른곳에서 살해당한 뒤 이 곳으로 옮겨진 듯합니다. 경찰이 피해자의 몸을 수색하던 중 하나의 쪽지를 발견합니다. 쪽지를 보던 경찰은 눈이 커지며 탄식합니다. "앗 예고살인이다. 조만간 연쇄살인이 일어나겠어!" 경찰은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요? 다음 희생자는 누구일까요?
투석혈관 합병증 (비혈전성 혈류 관련 합병증) : 동맥류 / 가성동맥류 동맥류, 가성동맥류 투석을 오래 시행한 경우 발생 혈관 내부의 혈역학적 변화로 인해 혈관이 팽창하여 커진 것을 의미 파열로 인한 출혈 위험성, 감염, 혈관 내부에 혈전이 동반되어 천자를 할 수 있는 구간이 제한 혈전으로 인해 혈관기능 상실, 통증이나 미용상의 문제 * 동맥류 (Aneurysm) : 혈관의 내막, 중막, 외막이 모두 포함된 혈관벽이 확장된 것 * 가성동맥류 (Pseudoaneurysm) : 천자로 인한 손상으로 주변 연조직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확장된 것 * 동정맥루 (fistula) : 동맥류, 가성동맥류 모두 발생 가능 * 인조혈관 (graft) : 가성동맥류만 발생 동맥류 (Aneurysm) 동맥류의 원인 - 주된 ..
투석혈관 합병증 (혈전에 의한 혈류 관련 합병증) 투석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일은 흔히 발생할 수 있지만, 막상 겪으면 투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환자의 의료진 모두에게 큰 스트레스를 줍니다. 혈관의 협착이 발생하면 투석효율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바늘을 찌르는데 실패하고 혈관의 통증을 유발하므로 매우 불편합니다. 지혈이 잘안되고 팔이 부을 수도 있습니다. 또 협착이 더욱 진행하면 내부에 혈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협착만 있는 경우보다 재개통 성공률도 낮고 재발도 잘됩니다. (환자의 증상과 치료 비용, 시술 시간에서도 더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신체검사 상 이상이 있거나 협착이 의심된는 증상이 있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원인 협착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팔의 동맥 정맥 혈관의 해부학 팔의 동맥 subclavian artery - axillary artery - brachial artery - radial artery (노동맥) / ulnar artery (자동맥) - palmar arch axillary artery 는 teres major muscle 아랫면에서 brachial artery 로 되고, 팔오금에서 2cm 떨어진 부위에서 radial artery 와 ulnar artery 로 분지됨. 이러한 분지가 12~14% 에서는 더 위쪽에서 이루어짐. (고위분지 ; high bifurcation) 팔의 정맥 구조 Deep vein / Superficial vein / Perforating vein 팔의 정맥은 근막을 기준으로 deep vein 과 s..
혈액투석의 적절도 (Kt/V 공식유도과정) 투석 적절도 : 투석의 양이 적절하여 요독이 충분히 제거되는지를 보는 것 요독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투석량 < 가장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투석량 투석 환자가 특이 증상이 없다는 것만으로 투석량이 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없음. Kt/V 분획 요소청소율을 나타냄 단위가 없는 비 (ratio) 임 K : 투석막의 요소청소율 L/h t : 투석시간 h V : 요소의 체내 분포 용적 L 체액 순환 시스템을 단일의 통 (single-pool) 로 가정하면 아래의 식이 산출됨 spKt/V = -ln(R - 0.005 x T) + (4 - 3.5 x R) x UF / W R = 투석 후 BUN / 투석 전 BUN T = 투석시간 UF = 한외여과량 W = 투석 후 체중 *..
하루 10분 투석실 교육 자료 : 혈압 □ 투석 환자의 약 - 약 종류 (1)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CLOPD, Pleetal 등) / 와파린 등 항응고제 (2) 혈압약 (ARB, CCB, BB, Alpha-blocker, vasodilator) (3) 고지혈증약 / 갑상선호르몬약 (4) 신장약 : 신장비타민 / 철분제 / 이뇨제 / 인약 / 부갑상선약 (5) 기타약 : 당뇨약 / 위장약 / 변비약 (6) 칼륨약, 변비약(듀파락) 등 짜먹는 약 * 이 중 심부전 및 심근경색 예방에 효과가 입증된 약은? □ 혈압이 높을 때 - 투석환자 잘 조절 안된다. 일반 환자와 다르다. - Volume 평가를 먼저 (volume 평가 방법? ) → 건체중 낮추기 - 혈압약을 잘 복용하고 있는가? - 다른 원인은 없나..
콜레스테롤약 고지혈증약 한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하나요? 고지혈증약 꼭 먹어야하나요? 진료실에서 검진 혹은 혈액검사 결과를 설명하면서 "콜레스테롤이 높으시네요. 이 정도 수치면 고지혈증약을 드셔야겠어요." 라고 말씀드리면, 십중팔구 다음과 같은 대답이 돌아옵니다. "약을 먹어야되나요? 고지혈증약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한나면서요..." 각 상황별 고지혈증 수치의 목표치가 있기 때문에 약을 안드셔도 목표 수치를 유지할 수 있다면 안드셔도 됩니다. 다만 목표 수치를 약 없이 유지하기 위해서 음식 조절, 운동 관리, 체중 조절 등 생활습관을 열심히 관리해야 하는데 사실상 꾸준한 관리가 쉽지 않습니다. 또 체질적으로 타고난 경우 (유전적인 문제) 도 많기 때문에 생활습관만으로는 교정되기 어렵습니다. 예..
하루 10분 투석실 교육 자료 : 빈혈 □ 빈혈 - 말기신부전 환자 빈혈 목표 : ( ) - 빈혈의 원인 : EPO 생성 감소, Uremia 로 인해 적혈구 수명 감소 (1) ESA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s) - EPO 보험기준 : ( ) (무조건 암기) - EPO 종류 - 다른 종류의 ESA 로 conversion 시 참고 - EPO 최대용량에도 빈혈이 교정되지 않을 때 생각해야할 것들 * GI bleeding 을 의심할만한 증거 : ( ) - EPO 부작용 2가지 : ( ) (2) Iron - 철분의 부족상태를 어떻게 판단하나? : serum Iron, TIBC (≈Transferrin), Ferrtin - IV iron 보험기준 : ( ) (무조건 암기) (왜 ..
투석실 검사 A/G ratio 를 잘 살펴봐야 하는 이유 (A/G ratio,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여러가지 패턴, Monoclonal gammopathy, M-spike) A/G ratio (albumin to globulin) ratio Total Protein - albumin = Globulin A/G = Albumin/Globulin = Albumin / (Total Protein - albumin) A/G ratio 정상 범위 1.5~2.2 - Albumin, Globulin 모두 증가 : dehydration - Albumin, Globulin 모두 감소 : hydremia (수혈증; 혈액 수분 과잉) A/G ratio 증가 (2.2 이상) - Albumin..
혈당이 높을 때 저나트륨혈증 (Hyperglycemia-induced hyponatremia, Translocational hyponatremia) 이 생기는 이유 (hypertonic hyponatremia) 저나트륨 혈증의 분류 Isotonic (serum Osm 정상 : 가성저나트륨혈증, pseudohyponatremia) - Hyperproteinemia, Hyperlipidemia 원인 Hypertonic (serum Osm 증가 : Translocational hyponatremia) - Hyperglycemia, Mannitol 원인 Hypotonic (serum Osm 감소 : 진정한 의미의 hyponatremia) - Euvolemic hyponatremia (ECF 정상) : SI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