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nkgo biloba extract 경구제(품명: 타나민정,기넥신에프정 등[ 고시 제2025-34호(약제) ]2025. 3. 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인지기능 장애를 동반한 치매(알츠하이머형, 혈관성)에 인지기능 개선목적으로 투여한 경우○ Ginkgo biloba extract제제를 아세틸콜린분해억제제(아리셉트, 레미닐, 엑셀론 등)나 Memantine제제(에빅사 등), Donepezil + Memantine 복합경구제(디엠듀오정 등)와 병용시 1종은 본인 일부부담하고, 투약비용이 저렴한 약제의 약값 전액은 환자가 부담함.나. 중추성 어지러움에 투여한 경우다. 간헐성파행증
최근에 코로나 확진이 많이 줄긴 했지만, (검사를 잘 안해서 그럴 수 있겠지만.)가끔 발열, 몸살로 컨디션이 매우 안좋지 않으신 분 검사해보면 간혹 코로나 양성으로 나오긴 했습니다.투석하시는 분께 팍스로비드를 사용할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그래도 혹시나 하는 기대에 효과가 적더라도 라게브리오를 처방했었습니다. 어느 날 약국에서 연락이 오네요. 지침이 바뀌어서 라게브리오 70세 미만에서 처방 안된다고.이럴수가. 언제 바뀌었지? 그럼 투석하시는 분은 고위험군인데, 드릴 약이 없단말인가?!찾아보니 작년 11월 27일부터 라게브리오 처방대상 변경 안내 공문이 있었네요.
만성콩팥병을 고치는 약이 없다보니, 치료의 주된 방향은 콩팥 기능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교육이 중요한데, 그 중 실생활에 바로 적용 가능한 것이 식이입니다. 대표적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식이로 저염식, 저단백식이 있습니다. 저단백식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나이가 많은 노인 환자분께는 영양결핍, 근육 소실 위험이 커서 저단백식을 크게 강조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비교적 젊고 인지가 좋은 만성콩팥병 환자분들께는 저단백식을 교육합니다. 하지만, 말로서 전달하기에는 잘 와닿지 않는 부분이 많고, 진료 시간의 제약이 있어 어려운 점이 많았습니다. 또한 영양학을 전공한 것은 아니다보니, 세밀한 부분까지는 잘 모르기도합니다. 고민을 하다 진료실에서 간단히 교육할 수 있는 웹 도구를 한번 만..
투석환자분들 중에 간혹 업무 때문에 지방에 장기간 출장을 가시거나, 손자를 돌보러, 또는 이사 때문에, 여행 때문에 타지역에 있는 투석실을 문의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 때마다 저는 신장학회에 접속하여 인공신장실 리스트를 보고 그 지역 투석실 리스트를 뽑아 드리곤 합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타지역의 생소한 지역이라 투석실의 주소만 봐서는 어디가 가장 가까운 투석실인지 알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때마다 '전국 투석실 위치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코딩 초보지만, chat GPT 의 도움을 (굉장히 많이) 빌려 투석실 검색 프로그램을 간단히 만들어보았습니다. 웹페이지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medcalc.co.kr/findhd/ 전국 투석실 ..
SGLT2 억제제의 비당뇨 심부전 환자의 요양급여 확대Dapagliflozin 경구제 / Empagliflozin 경구제 [고시 제2025-15호(2025.2.1.)]1. 제2형 당뇨병에 투여 시 [일반원칙] 당뇨병용제 “세부사항” 범위 내에서 요양급여를 인정함. 2. 각 약제별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상기 1. 이외에 비당뇨 환자에게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 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아 래 -○ 만성 심부전 환자(NYHA class Ⅱ∼Ⅳ)1) 좌심실 박출률(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이 40% 이하인 환자로서 표준치료*를 안정적인 용량(stable dose)으로투여 중인 경우 (*표준치료: ACE..
Tafamidis 경구제(품명: 빈다맥스캡슐61밀리그램)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아 래 -가. 투여대상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성 심근병증(ATTR-CM: Transthyretin Amyloidosis Cardiomyopathy)으로 확진※된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에서 다음 중 1) 또는 2)를 만족하는 경우- 다 음 -1)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형으로 진단받은 경우2) 정상형으로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다 음 -가) 최근6개월동안지속적으로NYHA(NewYorkHeartAssociation) class I∼Ⅲ나) 심부전으로 진단을 받고 최근 6개월 이내에 심부전으로 인한 1회 이상의..
담석의 자연경과무증상 (75%) : annual symptom rate 은 1~4% 정도로 5~20년까지 10~20% 에서 증상 발생간헐적으로 cystic duct 를 막아 biliary pain 을 유발 (20%)Cystic duct 를 막아 acute cholecystitis 를 발생 (10%)Mirizzi's syndrome (CBD 를 막아 cholangitis 또는 pancreatitis (5%)Cholecystoenteric fistula 를 통한 duodenum 으로 배출 (오랜 시간 뒤 GB cancer 가 발생 ( 담석의 치료증상이 없다면 reassurance증상이 있다면 laparoscopic cholecystectomy(증상이 애매할 수 있으나 70% 까지는 수술을 통해서 증상이 좋..
BNP 가 높지만 심부전이 아닌 경우(1) Old age(2) Anemia(3) Renal failure(4) Acute coronary syndrome(6) 일부 호흡기 질환 (Sleep apnea, Severe pneumonia, Pulmonary hypertension) BNP 가 낮지만 심부전인 경우(1) Obesity (BMI > 30)(2) 1~2시간 이내에 급격히 진행된 pulmonary edema(3) LV 상방의 원인으로 인한 심부전 (e.g. Acute MR, MS)(4) 안정되고 증상이 없는 심부전
칼슘과 비타민D 의 권장량비타민D가 감소한 시설에 있는 노인 : 하루 비타민D 는 600~800 IU + 칼슘 1000~1200mg일반인 인구 : 연구마다 비타민D 와 칼슘의 권장섭취량이 상이함. - 무조건 투여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비타민D + 칼슘 보충이 꼭 필요한 경우노인이나 요양 시설에서 지내는 분골다공증으로 치료 중일 때 (특히 강력한 IV bisphosphonate 나 denosumab, romosozumab, 장기간 steroid 사용하는 환자 등) 칼슘과 비타민D 의 적정 섭취량칼슘은 1000~1200mg/d (최대 2000mg 이내)비타민D 600~800IU/d (최대 4000IU 이내, 사실상2000IU 이내 - 2000단위 이상 줄 필요가 없다.) 비타민D 의 보충방법(1) ..
비타민D 만 보충한 연구골절 예방 효과는 차이 없었다. 특히 고용량의 비타민D 를 투여한 연구에서는 오히려 낙상의 빈도가 증가했었다. (50만 IU/year, 30만 IU/year 등) 비타민D 와 칼슘을 같이 보충한 연구6% 정도 골절 예방 효과가 있었다. (고관절 골절은 16% 예방효과)특히 Chapuy 연구가 골절 예방효과가 확실히 크게 나와 주목이 되었는데, 이 연구는 시설(요양원)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80세 이상 노인에서 비타민D 농도가 낮았던 경우 칼슘+비타민D 를 같이 보충했을 때, 그 예방효과가 확실했다. 칼슘과 비타민D 칼슘과 비타민D - 손닥터닷컴칼슘 칼슘 보충의 장점 1.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2. 임신중독증 예방 3. (젊은 사람에게서) 고혈압 예방 4. 위장..
비타민 D의 역할장에서 칼슘, 인 흡수를 촉진 (뼈의 원료가 칼슘과 인)뼈의 무기질화 촉진근육의 기능 유지 (낙상 예방)심혈관계, 면역계, 중추신경계, 소화기계에도 비타민D 수용체가 존재하고 있어 이로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나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함. 현대인의 체내 비타민D 농도가 감소하는 이유환경적 요인 : 대기 오염으로 UV-B 노출의 감소, 도시생활의 증가생활방식 요인 : 야외활동의 감소,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 섭취의 감소 비타민D 결핍의 진단 기준10 ng/mL 미만 : 칼슘의 흡수가 잘 되지 않으며, Rickets 가 발생할 수 있음.20 ng/mL 미만 : 골소실과 골절의 위험이 증가따라서 최소 20 ng/mL 이상은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음. 칼슘과 비타민D 칼슘과 비타민D - 손..
칼슘 보충의 장점1.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2. 임신중독증 예방3. (젊은 사람에게서) 고혈압 예방4. 위장관 질환 및 대장암의 예방 (칼슘이 담즙산(bile acid)과 결합)5. 신장 및 요로결석의 예방 (음식 속 칼슘이 oxalate 와 결합하여 흡수를 감소시킴) - 음식을 통해 칼슘을 섭취하거나, 칼슘보충제를 식사 중 섭취했을 때 음식 속 oxalate 와 결합하여 흡수를 저해시켜 요로결석의 위험을 예방 칼슘 보충의 단점1. 심혈관계 질환 (특히 신근경색) 위험 증가 (근거 없음, 고칼슘음식 및 칼슘보충제 투여 연구간 상이한 결과) - 연구 간 서로 결론이 달라 근거 없으나, 걱정이 된다면 칼슘 보충제보다는 음식을 통한 칼슘 보충을 권유2. 위장관계 부작용 (특히 탄산 칼슘) : 변비,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