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에서 염소 (chloride, Cl)를 체크하는 이유 보통 혈액검사에서 나트륨 (Na) 과 칼륨 (K) 과 비교하여 Cl (염소, chloride) 는 비주류로 취급을 받습니다. 그래서 Na 와 K 는 확인하지만 Cl 은 검사조차 안하는 의원이나 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장내과에서는 Na, K, Cl 은 항상 세트로 생각합니다. 이는 Cl 의 수치를 보고 산염기 상태의 중요한 힌트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Anion Gap (AG) = Na - (Cl + HCO3) AG = Na - Cl - HCO3 이므로 Na - Cl = AG + HCO3 가 됩니다. AG 의 정상 수치는 대략 12 정도이고 HCO3 의 정상 수치는 대략 24 정도가 기준입니다. 그러면 Na - Cl = 12 + 2..
3% Saline (3% NaCl) 만들기 심각한 저나트륨혈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3% saline 을 제조해서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이 다 알려져 있지만, 왜 3% saline 이 되는지 한번 풀어서 적어보았습니다. 먼저 생리식염수를 살펴보겠습니다. (0.9% NaCl 용액) NaCl 의 Molecular weight 은 58.44 g/mol 입니다. (Na : 22.99, Cl : 35.45) 0.9% 생리식염수 1L 에는 9g 의 NaCl 이 포함됩니다. (0.9% = 9g/1000mL) 9g 의 NaCl 은 0.154 mol (계산식 : 9 / 58.44) 이 되므로 mmol 로 바꾸면 154 mmol/L = 154 mEq/L Na 와 Cl 이 같이 있으므로 삼투질 농도..
칼륨 수치를 낮춰주는 칼륨약 4가지 (feat. 칼륨 결합제 신약) (1)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 나트륨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SPS) - 1950년대 도입, 서구권 국가에서 오랫동안 사용 (친숙한 약제, 저렴한 비용) - 나트륨을 칼륨 외 칼슘, 암모늄, 마그네슘으로 교환하는 양이온 수지 : 칼륨를 낮추는데 선택적이지 않음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유발 가능) : 낮은 pH 에서 sulfonate group 과 수소이온이 결합하므로 위에서는 약물 효과 없음. : 나트륨 축적에 의한 체액 과다 우려 - Distal colon 에서 주로 작용 (관장 또는 경구 섭취를 통해 직장으로 전달이 되어야 함) - 복용하기 불편하고 작용의 정도를 예측하기 어려움 - 무작위 임상 연..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져 있는 노인, 노화인가? 만성콩팥병인가? (HUGE 공식) 정상 노화의 과정 출생시 신장의 크기는 약 50g 인데 40대까지 점차 크기가 커져 400g 이상이되고 이 후 점점 크기가 작아져 90대에는 300g 이하가 됩니다. (주로 피질이 작아지고 수질은 보존됩니다.) 연간 한쪽 신장에서 6800개의 네프론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사구체 여과율도 출생시에는 낮았다가 40대까지 140 ml/min/1.73m2 까지 증가하고 이 후 10년마다 약 8 ml/min/1.73m2 씩 감소합니다. 만일 고혈압이나 당뇨, 흡연,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염증, 비만 등이 있을 경우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 속도는 더욱 빨라집니다. (만성콩팥병) 따라서 나이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한 것인지 만성콩팥..
추정 사구체 여과율 계산 (크레아티닌 Creatinine, 시스타틴씨 Cystatin-C) 크레아티닌 (Creatinine : Cr) 가장 흔하게 사용 검사 비용도 저렴한 편 근육 속 크레아틴 인산염의 분해 산물 따라서 근육량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음. 사구체에서 여과되나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을 통해 소량 추가로 더 분비 따라서 크레아티닌으로 계산한 사구체여과율은 실제보다 10~20% 과대평가될 가능성 있음. (특히 신장 기능이 나쁠 수록) * 크레아티닌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나이, 성별 - 근육량 - 식품 중 크레아티닌 섭취량 (육류, 단백질 보충제 등) - 세뇨관 분비에 영향을 주는 약제 (trimethoprim, cimetidine 등) - 피부, 장을 통한 소량의 배설량 - 사구체 여과율..
혈액투석 혈류속도 (Blood flow rate), High-efficiency hemodialysis, High-flux hemodialysis 효과적인 혈액투석을 위해 충분한 혈류량이 필요합니다. 혈류속도가 높아야 요독과 노폐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투석막 내부의 혈류 속도는 대략 200~500mL/min 정도가 되는데, 혈관 통로의 종류에 따라 혈류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카테터의 경우 동정맥루나 인조혈관보다 혈류속도가 낮습니다. 보통 혈류속도가 300 mL/min 까지는 속도에 비례하여 용질의 제거가 증가하나 혈류 속도가 400~500 mL/min 에 가까워지면 용질 제거속도의 증가는 줄어듭니다. (아래 그래프 참조) 일반적인 혈액투석 : 250~300mL/min 이상이면 큰 문제 ..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합병증에 대한 치료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1) 신대체요법 신대체요법 : 투석 (혈액/복막)..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보존적 치료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1) 고혈압 ARB 또는 ACEi 가 1차 약제 130/80 미만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 110/75 미만으로..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임상진단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은 보통 가족력과 나이에 따른 낭의 개수를 가지고 임상적으로 진단합니다. 보통염색체우성 다낭..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양상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1. ..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콩팥병,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4 - ADPKD (1) 특징, 관련 유전자 2023.03.06 - ADPKD (2) 임상양상 : 고혈압, 말기신부전, 통증, 혈뇨,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간 낭종, 뇌동맥류 2023.04.26 - ADPKD (3) 진단 : 임상진단, 고위험군 예측 2023.05.08 - ADPKD (4) 치료 : 보존적치료, 고위험군 치료 2023.05.09 - ADPKD (5) 합병증 : 신대체요법, 통증, 출혈, 요로감염, 낭 감염, 결석, 거대 간낭, 뇌동맥류 보통염색체우성 다낭콩팥병 양측 신장에 대수의 낭종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1000~4000명당 1명꼴로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유전성 ..
혈액투석 환자 가려움증 신약 difelikefalin 3상 임상연구 Difelikefalin kappa opioid 수용체의 agonist 말초 신경세포와 면역세포에 존제하는 kappa opioid receptor 을 활성화 시켜 가려움을 억제 difelikefalin 은 투석 시 IV 로 0.5 mcg/kg 주 3회 투여, 12주 기간 투여 difelikefalin 투여 그룹에서 발생한 흔한 부작용 : 설사, 현기증 및 구토 의존성 징후 및 금단증상 없었음. Quick take https://www.nejm.org/do/10.1056/NEJMdo005657/full/?requestType=popUp&relatedArticle=10.1056%2FNEJMoa1912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