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관리료 산정방법 개요 고혈압, 당뇨병 등의 상병으로 당해 의료기관에 지속적으로 내원하는 재진환자에 대하여 교육∙상담 등을 통하여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수립한 경우에 산정함. (고혈압, 당뇨병은 부상병일 때도 산정가능, 부상병의 순위와도 무관, 그 외 다른 상병은 주상병일 경우만 산정됨.) 대상환자 대상환자는 의원급 요양기관(보건의료원 포함)의 외래에서 진료하는 환자로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표’에 의한 아래와 같은 질병코드를 주상병명으로 하는 자에 한함 ① 고혈압(주1) (Ⅰ10-Ⅰ13, Ⅰ15) ② 당뇨병(주1) ( E10-E14) ③ 정신 및 행동장애 (F00-F99, G40-41) ④ 호흡기 결핵 (A15-A16, A19) ⑤ 심장질환 (Ⅰ05-Ⅰ..
의학 단위변환 자료모음 특히 신장내과에서는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특정 계산을 해야합니다. 그런데 각 공식마다 다른 단위를 사용한 경우도 있어 헷갈리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또 유럽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해야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럴 때 단위가 달라서 어렵습니다. 그래서 단위변환에 대한 자료를 모아봅니다. (계속 업데이트 중입니다.) 표 아래 너무 작게 적혀있어 다시 크게 적어봅니다. Metric unit x Conversion factor = SI unit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설명용 신장 이미지 전체 신장과 요관, 방광의 모습입니다. 신장을 확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보입니다. 신장은 수많은 네프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네프론은 다음과 같은 모습을 띠고 있으며, 신장의 functional unit 입니다. 만성신장질환이 있는 경우 신장의 크기는 작아집니다. 신장 초음파나 CT 를 촬영하여 신장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신장 기능을 하는 세포들이 죽고 없어져 위축이 오는 것이지요. (단 몇 가지 예외는 있습니다. 당뇨나 다발성 골수종 등에서 생기는 만성신장질환은 신장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또한 덩치가 크고 키가 큰 사람이면 기본적으로 신장의 크기가 크며, 반대로 키가 작은 사람은 신장도 원래 작습니다.) 만성신장질환의 단계입니다..
[리플렛] Soliris 솔리리스주 요양급여 인정기준 2019-10-13
진료실 참고자료 - 혈액투석 / 복막투석 혈액투석 복막투석 끝. 2019. 3. 12 - SJH
진료실 참고자료 - 만성콩팥병의 단계 끝. 2019. 3. 12 - SJH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