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 및 인공신장실 지침 변화 (코로나바이러스-19 대응지침 3-2판) -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되면서 투석과 관련하여 약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우선 투석환자 격리 수가는 축소되고, 격리관리료도 종료되었으나, 환자의 안전을 위해 5일간 격리하는 것은 sondoctor.com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되면서 투석과 관련하여 약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아래 주요내용을 요약하였습니다. 인공신장실내 마스크 착용을 준수하고 취식을 금지한다. (무증상 또는 경증환자로 외래에서 투석하는 경우) 5일간 격리 권고는 그대로 유지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및 의료기관 입원 중 확진환자는 7일간 코호트격리투석 코로나19 투석 환자의 격리 관련 수가는 축소 (200% 인상에서 100..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의료기관 감염예방/관리 (2-2판, 2023. 5. 31) 중 인공신장실 파트 (feat. 코로나19 대응지침 2-7판 [인공신장실용], 2023. 5. 15) 코로나19 위기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방역조치도 완화되었으나 혈액투석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는 주 2-3회 외래혈액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가격리’에 제약이 따르고, 투석 환자들은 밀접한 공간에서의 투석을 시행해야 하므로 감염병 확산이 쉽고,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에 새로 업데이트된 인공신장실 대응지침 (2-7판, 대한신장학회)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의료기관 감염예방/관리 (2-2판) 에서는 투석환자 관련 사항이 크게 바뀐 것이 없습니다. 주요 내용 1. 인공신장실 내 취식..
이번에 신장학회에서 인공신장실 재난대응 매뉴얼이 나왔습니다. 얼마전 이천 인공신장실 화재 사건 이 후 화재대응 매뉴얼이 나온지 얼마 안된 시기지만, 아마도 초강력태풍 힌남노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뉴얼을 배포하였을 것입니다. 화재, 태풍, 정전, 단수 등 여러가지 상황에 대비해서 미리 시나리오를 만들어 임무별로 시뮬레이션해보고 소화기 위치, 비상구 위치, 손전등 위치, 비상발전기 위치 등을 사전에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인공신장실 재난대응 매뉴얼 (1-1판, 원문) 2022.08.15 - [투석실 이야기] 투석실 화재 대응 메뉴얼 (신장학회) [투석실 이야기] 투석실 화재 대응 메뉴얼 (신장학회) 투석실 화재 대응 메뉴얼 (신장학회) " 각 침상마다 가위 하나씩 놔주세요. " 이번 이천..